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表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錶#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겉 표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ヒョウ
일본어 훈독
おもて, あらわ-す, あらわ-れる, しるし
-
표준 중국어
biǎ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이체자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表는 '겉 표'라는 한자로, '겉', '표면(表面)', '나타내다', '(表)' 등을 뜻한다.

중국에서는 시계 표()의 간체자로 쓰인다.


2. 상세[편집]


글자의 자원은 가 합쳐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86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QMV(手一女)로 입력한다.

상대어로는 (속 리)가 있다.
파일:s05985.gif
소전체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30,743명, 전체 79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신창(新昌)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표(성씨) 문서 참조.


3.4. 지명[편집]




4. 이체자[편집]


  • 𧘝[⿳亠毛𧘇](U+2761D)
  • 𧘦[⿳亠王𧘇](U+27626)
  • 𧘰[⿱丿表](U+27630)
  • 𧜫[⿳亠鹿𧘇](U+2772B)
  • 𧞧[⿰衤麃](U+277A7)
  • 𧞱[⿰衤𪊘](U+277B1)
  • 𪊘[⿸鹿𧘇](U+2A298)
  • 𪊬[⿸鹿衣](U+2A2AC)


5. 유의자[편집]


  • (바깥 외)


6. 상대자[편집]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곤룡포 곤)
  • (속 리)[1]
  • (보리 맥)[2]
  • (성 배)
  • (모을 부)
  • (더러울 설)
  • (흴 소)
  • (쇠할 쇠)
  • (슬플 애)
  • (도울 양)
  • (옷 의)
  • (속마음 충)
  • (기릴 포)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3:14:3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방송사가 TV로 야구 중계방송을 할 때 表(선공)와 うら/ウラ(후공)로 표기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2] (보리 맥)의 신자체이자 간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