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의군

덤프버전 :



조선의 왕자
{{{-1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

목조 ~ 연산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 펼치기 · 접기 ]

추존
목조
]]
안천대군 ·
2
안원대군 ·
3
안풍대군 ·
4
익조 ·
5
안창대군 ·
6
안흥대군

추존
익조
]]
함녕대군 ·
2
도조 ·
3
함창대군 ·
4
함원대군 ·
5
함천대군 ·
6
함릉대군 ·
7
함양대군 ·
8
함성대군

추존
도조
]]
완창대군 ·
2
환조 ·
3
완원대군 ·
4
완천대군 ·
5
완성대군

추존
환조
]]
완풍대군 ·
2
영성대군 ·
3
태조 ·
4
의안대군

의평군 ·
2
순평군 ·
3
금평군 ·
4
선성군 ·
5
종의군 ·
6
진남군 ·
7
수도군 ·
8
임언군 ·
9
석보군 ·
10
덕천군 ·
11
임성군 ·
12
도평군 ·
13
장천군 ·
14
정석군 ·
15
무림군

폐세자(양녕대군) ·
2
효령대군 ·
3
세종(충녕대군) ·
6
성녕대군 ·
4
경녕군 ·
5
함녕군 ·
7
온녕군 ·
8
근녕군 ·
9
혜령군 ·
10
희령군 ·
11
후령군 ·
12
익녕군
덕종(의경세자) ·
3
예종(해양대군) ·
2
덕원군 ·
4
창원군

추존
덕종
]]
월산대군 ·
2
성종(자을산군)

인성대군 ·
2
제안대군

연산군 ·
8
중종(진성대군) ·
2
계성군 ·
3
안양군 ·
4
완원군 ·
5
회산군 ·
6
봉안군 ·
7
견성군 ·
9
익양군 ·
10
이성군 ·
11
경명군 ·
12
전성군 ·
13
무산군 ·
14
영산군 ·
15
운천군 ·
16
양원군

폐세자 이고 ·
3
창녕대군 ·
2
양평군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펼치기 · 접기 ]
>
사의척 四義戚
판돈녕부사 송현수 · 예조판서 권자신 · 영양위 정종 · 돈녕부판관 권완
>
삼중신 三重臣
이조판서 민신 · 병조판서 조극관 · 이조판서 김문기
>
양운검 兩雲劍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f2cb61; border-radius: 0 0 4px 4px"
도총부 도총관 성승 · 증 병조판서 박정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f2cb61; border-radius: 0 0 4px 4px"
우승지 성삼문 · 형조참판 박팽년 · 직제학 이개 · 예조참판 하위지 · 성균사예 유성원 · 도총부 부총관 유응부

기타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f2cb61; border-radius: 0 0 4px 4px"
형조판서 박중림 · 지평 하박 · 좌참찬 허후 · 수찬 허조 · 증 이조참판 박계우 · 순흥부사 이보흠 · 도진무 정효전 · 영월호장 엄흥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cb61, #f2cb61 20%, #f2cb61 80%, #f2cb61)"
단종생육신 틀사육신 틀






조선 세종의 왕자
화의군 | 和義君


화의군 묘 전경
출생
1425년 10월 25일(음력 9월 5일)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
1489년 이후
묘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46길 43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영(瓔)
부왕
세종
생모
영빈 강씨
형제자매
18남 4녀 중 6남
배우자
군부인 밀양 박씨[1]
자녀
7남 [ 펼치기 · 접기 ]
적장남 - 여흥군 이원(驪興君 李轅)
적차남 - 여성군 이번(驪城君 李轓)
적3남 - 금란수 이식(金蘭守 李軾)
서장남 - 이건리동(李件理同)
서차남 - 이수달(李修撻)
서3남 - 이팽수(李彭守)
서4남 - ?


양지(良之)
봉호
화의군(和義君)[2]
시호
충경(忠景)
[1] 계유정난을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에 책록되고 판서, 참찬 등을 지낸 밀산군(密山君) 박중손(朴仲孫)의 장녀.[2] 봉호는 경상도 선산의 별호인 ‘화의(和義)’에서 따왔다.

1. 개요
2. 생애
2.1. 초기
2.2. 세조 즉위 이후
3. 묘역
4. 가족 관계



1. 개요[편집]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자 서장남으로, 어머니는 영빈 강씨이다. 전주 이씨 화의군파의 파시조이다.

2. 생애[편집]



2.1. 초기[편집]


1433년(세종 15년) 화의군(和義君)에 봉해졌고# 1436년(세종 18년) 성균관에 입학했다.# 학문에 조예가 깊어 세종의 한글 창제에 협력했으며, 훈민정음처의 감독관을 맡기도 했다.

1441년(세종 23년)에 넷째 형 임영대군과 함께 평민 여성 2명에게 남자 옷을 입혀 궁 안으로 들이려다가 수문장에게 들켜서 실패한 후, 직첩과 과전을 몰수당했다.# 1447년(세종 29년)에 다시 화의군에 봉해졌으나 그 뒤로도 처백부[1] 박대손의 첩과 다른 신료들의 기첩을 빼앗은 일로 다시 직첩이 몰수되었다.# 이듬해에 큰형 문종이 즉위하면서 다시 복권되었다.

1455년(단종 3년)에는 이복동생 평원대군의 첩이었던 초요갱과 몰래 간통한 사건이 발각되면서 또 다시(...) 직첩을 몰수당하고 가벼운 유배형을 받았다가 곧 방면되었다.

2.2. 세조 즉위 이후[편집]


화의군은 안평대군, 금성대군 등과 함께 세조를 지지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왕족이었다. 이에 1456년(세조 2년) 세조사육신을 친국할 때, 화의군을 떠보려고 “성삼문 등을 파직함이 옳으냐”고 물었는데, 화의군은 대답하지 않아 세조의 눈 밖에 났다. 거기에다 그 다음해에 금성대군이 유배지에서 부사인 이보흠과 모의한 단종복위운동에 연루되었다. 이후 어머니와 아들과 함께 익산에 유배되었다.

그의 후손들은 뿔뿔이 흩어졌고 비참하게 생활하였다. 성종 때에는 화의군의 아들 이원이 먹고 살기 힘들어 성종에게 도움을 청하기까지 할 정도였다.

1482년(성종 13년) 성종의 호의로 외방으로 가서 살았고, 2년 뒤에는 어디든 원하는 곳에서 살 자유를 얻었다.

정확한 사망일은 알 수 없으나 《성종실록》의 이 기사를 볼 때 1489년(성종 20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1518년(중종 13년) 화의군의 손자 이윤의 건의로 복권되었고 자손도 종친록에 이름을 올렸다. 1791년(정조 15년) 단종의 능인 장릉의 충신단에 배식되었다.


3. 묘역[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23호

24호

25호
해공 신익희 가옥
화의군 이영 묘역
숙용 심씨 묘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4호
화의군 이영 묘역
和義君 李瓔 墓域

소재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46길 43(진관외동)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수량 / 면적
분묘 1基, 석물 10基, 토지 265㎡
지정연도
2005년 12월 8일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소유단체)

전주 이씨 화의군파 종회

화의군 이영 묘역[2]


묘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외동 산60-2동에서 있으며 화의군 자손들의 묘도 함께 있다. 묘역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정려문과 사당 충경사, 재실 1채가 있다. 2005년 12월 8일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받았다.


4. 가족 관계[편집]


화의군이 여자 노비 3명과의 사이에서 낳은 건리동, 수달, 팽수 등의 서자들과 서손들은 1489년(성종 20년) 5월, 성종의 특명으로 노비 신분에서 면천되었다.


  • 정부인 : 군부인 밀양 박씨(郡夫人 密陽朴氏) - 참판 증찬성 박중손(參判 贈贊成 朴仲孫)의 딸
    • 적장남 : 여흥군 이원(驪興君 李轅)
    • 며느리 : 보성 노씨(寶城 盧氏) - 노문손(盧文孫)의 딸
      • 손자 : 재양군 이급(載陽君 李級)
      • 손녀 : 박량(朴良)의 처
    • 며느리 : 금산 이씨(金山李氏) - 참봉 이득형(㕘奉 李得亨)의 딸
      • 손자 : 대곡부령 이신(大谷副令 李紳)
      • 손자 : 회인부령 이수(懷仁副令 李綬, 1480 ~ 1543)
      • 손녀 : 김윤례(金允禮)의 처
    • 차남 : 여성군 이번(驪城君 李轓, 1451 ~ ?)
    • 며느리 : 개성 송씨(開城 宋氏) - 판관 송세련(判書 宋世連)의 딸
      • 손자 : 평성부령 이집(枰城副令 李緝, 1484 ~ ?)
      • 손자 : 풍무부령 이륜(風茂副令 李綸)
    • 3남 : 금란수 이식(金蘭守 李軾, 1455 ~ 1512)
    • 며느리 : 개성 고씨(開城 高氏) - 고민(高敏)의 딸
      • 손자 : 흥안부수 이릉(興安副守 李綾)
      • 손자 : 환주부수 이문(還珠副守 李紋)
      • 손자 : 평천부수 이기(平川副守 李綺)
      • 손자 : 연천부수 이사(漣川副守 李紗)
  • 첩부인 : 아난(阿難)
    • 서장남 : 이건리동(李件理同) → 여흥군 이원으로 추정됨
    • 며느리 : 명가(命加) - 금산(錦山)의 관비 출신
      • 손녀 : 진금(眞金)
      • 손녀 : 유금(有金)
  • 첩부인 : 내은금(內隱今)
    • 차남 : 이수달(李修撻) → 여성군 이번으로 추정됨
    • 며느리 : 제석(弟石) - 봉상시(奉常寺)의 여종
      • 손자 : 이억년(李億年)
      • 손자 : 이억만(李億萬)
  • 첩부인 : 감지(甘之) - 금산(錦山)의 관비 출신
    • 서3남 : 이팽수(李彭守) → 금란수 이식으로 추정됨
  • 첩부인 : 성씨 미상 - 아내 박씨의 큰아버지 박대손(朴大孫)의 노비 출신
    • 서4남 : 이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