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두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부여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모수왕부루왕금와왕대소왕
해두국갈사국
말대초대제2대제3대
해두왕갈사왕 1세갈사왕 2세도두왕
중국사서
초대시조계보 미상칭왕 초대
영품리왕동명왕부여왕
계보 미상초대제2대제3대
시왕부태왕위구태왕
제4대제5대제6대제7대
간위거왕마여왕의려왕의라왕
제8대제9대계보 미상말대
현왕울왕잔왕
졸본부여
말대말대
연타발추모성왕
남부여문헌상 언급두막루
초대왕족수령
성왕위거낙개제





[ 펼치기 · 접기 ]

원삼국시대 이전
단군조선위만조선진국삼한연맹
단군역대 군주진왕천군
예맥
부여예맥족장최씨낙랑국비류국
역대 군주남려최리송양
고리국졸본부여비류백제온조백제
영품리추모비류온조
마한
초대제2대제3대제?대
준왕마한왕 2세마한왕 3세마한왕
진한
실직국감문국골벌국음즙벌국
안일왕금효왕아음부타추간
진한변한탐라
사로국금관국반파국탐라국
거서간김수로이진아시역대 군주




해두국 말대 군주
海頭王 | 해두왕
출생
(음력)
연대 미상
해두국
사망
(음력)
22년 4월
해두국
재위기간
(음력)
말대 군주
~ 22년 4월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海頭國王
? ~ 서기 22년 음력 4월

해두국의 마지막 군주. 이름은 전해지지 않으며, 삼국사기 원문에는 그냥 해두국의 왕이란 뜻으로 '해두왕(海頭王)'이라고만 쓰여있다.


2. 생애[편집]


여름 4월에 부여왕 대소의 아우가 갈사수(曷思水)가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고 왕을 칭하였다. 이 사람은 부여왕 금와의 막내 아들인데 역사책에는 그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다. 전에 대소가 죽임을 당하자 (그는)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알고, 따르는 자 백여 명과 함께 압록곡에 이르렀다. (그는) 해두국왕(海頭國王)이 사냥 나온 것을 보고 결국 그를 죽이고 그 백성들을 빼앗아 이곳에 와서 비로소 도읍하였는데. 이 사람이 갈사국왕(曷思國王)이 되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22년 4월


부여대소왕고구려와의 전쟁에서 전사한 뒤, 부여는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1] 금와왕의 막내아들은 마침 사냥하고 있던 해두왕을 발견해 그를 죽이고 백성들을 빼앗아 갈사수가를 도움으로 삼아 갈사국을 건국했다.


3. 기타[편집]


갈사왕이 이끌고 온 무리는 1백여명에 지나지 않았는데 해두국이 맥없이 멸망한 점, 압록곡이라는 지명으로 볼 때 해두국은 압록강 부근에 있었던 작은 국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0:12:59에 나무위키 해두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소왕의 사촌동생 낙씨는 고구려에 투항했으며, 금와왕의 막내아들은 자신을 따르는 사람 1백여 명과 함께 압록곡에 이르렀다고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