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품리왕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원삼국시대 이전
단군조선위만조선진국삼한연맹
단군역대 군주진왕천군
예맥
부여예맥족장최씨낙랑국비류국
역대 군주남려최리송양
고리국졸본부여비류백제온조백제
영품리추모비류온조
마한
초대제2대제3대제?대
준왕마한왕 2세마한왕 3세마한왕
진한
실직국감문국골벌국음즙벌국
안일왕금효왕아음부타추간
진한변한탐라
사로국금관국반파국탐라국
거서간김수로이진아시역대 군주




[ 펼치기 · 접기 ]

부여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모수왕부루왕금와왕대소왕
해두국갈사국
말대초대제2대제3대
해두왕갈사왕 1세갈사왕 2세도두왕
중국사서
초대시조계보 미상칭왕 초대
영품리왕동명왕부여왕
계보 미상초대제2대제3대
시왕부태왕위구태왕
제4대제5대제6대제7대
간위거왕마여왕의려왕의라왕
제8대제9대계보 미상말대
현왕울왕잔왕
졸본부여
말대말대
연타발추모성왕
남부여문헌상 언급두막루
초대왕족수령
성왕위거낙개제





고리국의 군주
寧禀離王 | 영품리왕
출생연대 미상
고리국
사망기원전 60년
고리국
능묘미상
재위기간제?대 군주
? ~ 기원전 60년
[ 펼치기 · 접기 ]

성씨해(解)
영품리(寧禀離)? / 부루(扶婁)?[1]
왕후시비?
왕자동명왕
왕호영품리왕(寧禀離王)

[1] 해부루왕은 단군왕검의 아들이란 설도 있다. 자세한건 부루 항목 참조.

1. 소개
2. 기록



1. 소개[편집]


고리국 군주인 동시에 일부 사료에서 확인되는 기록으론 부여왕 해모수의 아들 해부루를 지칭하는 명칭.


2. 기록[편집]


삼국유사 권1 기이1 고구려조에는 주림전(珠林傳)을 인용하여 이렇게 서술되었다.

此卒本扶餘 亦是北扶餘之別都 故云扶餘王也 寧稟離乃夫婁王之異稱也

이 졸본부여는 또한 북부여의 별도이므로 부여왕이라 이른 것이다. 영품리는 부루왕의 다른 칭호이다.


다만 삼국지 열전 동이 부여 편과, 후한서 열전 동이 부여국, 『북사』 열전 백제지국(百濟之國)에는 영품리왕을 고리국왕(槀離國王)으로 보았다.

삼국유사의 설을 채택하면 영품리왕은 해부루왕의 이명이 되며, 기타 삼국지, 후한서, 북사 등의 기록을 채택하면 고리국의 군주가 된다. 고리국의 군주라는 설을 채택하면 영품리왕의 계집종(侍婢, 시비)가 아이를 베어서 영품리왕이 시비를 죽이려 하니 시비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달걀만한 크기의 기운이 하늘에서 저에게로 와 임신하게 되었습니다" 하였다. 후에 시비가 아이를 낳자 영품리왕은 그 아이를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하늘의 아들인가 싶어 그 어미가 거두어 기르게 하였고, 아이의 이름은 부여 시조 동명(東明)이란 것이다.

삼국유사의 설은 아마 주몽 설화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주몽 설화와 동명왕의 설화는 거의 같으며 현재는 주몽 설화가 동명왕의 설화를 차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영품리왕을 동부여의 초대 군주인 해부루왕으로 보고 탁리국(고리국)을 동부여로 보면 설화의 내용은 일치한다. 고려시대 이후에는 동명왕동명성왕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보는 시각이 많았기 때문이다.

동명왕 설화는 1세기 후한의 저서인 《논형(論衡)》 권2 길험편에서 부여 동명왕 설화가 처음으로 언급된다.

북이(北夷) 탁리국[(고리국이라고도 한다.) 왕의(영품리왕, 寧禀離王) 시비가 임신을 하였다. 왕이 죽이려 하니, 시비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달걀만한 크기의 기운이 하늘에서 저에게로 와 임신하게 되었습니다." 하였다. 후에 아들을 낳자 돼지우리에 던져두었으나, 돼지가 입김을 불어넣으니 죽지 않았다. 다시 마굿간에 두어 말이 밟아 죽이도록 하였으나, 말이 또한 입김을 불어넣어 죽지 않았다. 왕이 하늘의 아들[天子]인가 여겨, 그 어미가 거두어 기르도록 하였다. 이름을 동명(東明)이라 하고 소와 말을 기르도록 하였다.

동명이 을 잘 쏘았기에 왕은 나라를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여 죽이고자 하였다. 이에 동명이 남쪽으로 도망하여, 엄호수에 이르러 로 물을 치니 물고기와 자라가 다리를 만들었다. 동명이 건너자 물고기와 자라가 다리를 풀어버리니 추격하던 병사들이 건널 수 없었다. 부여에 도읍을 정하고 왕 노릇을 하였다.

동명의 어미가 처음 임신했을 때, 기가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을 보고 동명을 낳고, 버렸으되 돼지와 말이 입김을 불어주어 죽지 않았고, 성장하자 왕이 죽이려 함에 로 물을 치니 물고기와 자라가 다리가 되어 주었다. 이는 천명이 그 죽음을 마땅치 않게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한 까닭에 돼지와 말이 목숨을 구해줘 부여에 도읍하여 왕이 된 것이며, 물고기와 자라가 다리를 만들어주는 도움이 있었던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0:31:16에 나무위키 영품리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