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2013년

덤프버전 : (♥ 0)

||




2013 한국야쿠르트 7even 프로야구
파일:2013 한국야쿠르트 7even 프로야구 엠블럼.svg
파일:한국야쿠르트 7even 프로야구 워드마크.svg
기간2013년 3월 30일 ~ 2013년 10월 5일 (정규시즌)
2013년 10월 8일 ~ 2013년 11월 1일 (포스트시즌)
참가팀넥센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NC 다이노스, SK 와이번스 이상 9개팀.
스폰서한국야쿠르트 7even[1]

1. 스토브 리그
1.1. 코칭 스태프 변경
1.2. 트레이드
1.3. 신규 영입
1.3.1. 신고 선수
1.4. 외국인 선수
1.5. 방출 및 임의탈퇴
1.6. 은퇴
1.7. 신생팀 지원 및 FA 이적
1.8. 해외 진출
1.9. 국내 복귀
1.10. FA
1.10.1. FA 대상자
1.10.2. FA 신청자
1.10.3. FA 잔류 선수
1.11. 상무 및 경찰청 및 입대
1.12. 군 제대
2. 경기 일정
3. 중계 방송
3.1. 정규시즌 중 지상파 방송 경기
4. 팀 유니폼
5. 2013 팀별 캐치프레이즈
5.1. 넥센 히어로즈
5.2. 두산 베어스
5.3. 롯데 자이언츠
5.4. 삼성 라이온즈
5.5. 한화 이글스
5.6. KIA 타이거즈
5.7. LG 트윈스
5.8. NC 다이노스
5.9. SK 와이번스
6. 시범 경기
6.1. 시범 경기 순위
7. 정규 시즌
7.1. 코칭 스태프 변경
7.2. 선수 이동
7.2.1. 신규 영입
7.2.2. 방출 및 임의탈퇴
7.2.3. 트레이드
7.2.4. 군 제대
7.3. 신인드래프트
7.4. 2차 드래프트
7.5. 주요 사건 및 기록
7.5.1. 3월
7.5.2. 4월
7.5.3. 5월
7.5.4. 6월
7.5.5. 7월
7.5.6. 8월
7.5.7. 9월
7.5.8. 10월
7.6. 구단별 시즌 기록
8. 최종 순위
9. 정규 시즌 기록 1위
9.1. 타자
9.2. 투수
10.1. MVP, 신인왕, 골든글러브 수상자




1. 스토브 리그[편집]


  • 시즌 시작 전의 변경사항만을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시즌 중의 변경사항은 아래 '2013 시즌' 부분에 적어주세요.


1.1. 코칭 스태프 변경[편집]


삼성 라이온즈
직책 이름
1군 투수코치김현욱
(트레이닝코치 겸직)
2군 타격코치이종두
(前 한화 잔류군코치)
2군 투수 인스트럭터카도쿠라 켄
2군 포수 인스트럭터조범현
(前 KIA 감독)[2]
SK 와이번스
직책이름
1군 타격코치맥스 베너블
(前 샌디에이고 AAA 타격코치)[3]
2군 수비코치백재호
(前 한화 수비코치)
3군 수비코치손지환
(前 SK 프런트)
두산 베어스
직책 이름
1군 수석코치황병일
(前 삼성 2군 타격코치)
1군 주루코치김민재
(前 한화 수비코치)
1군 배터리코치강성우
(前 한화 2군 배터리코치)
2군 감독송일수
(前 라쿠텐 스카우터)
2군 투수코치고다 이사오
(前 요미우리 투수코치)
보직 미정가득염
(前 롯데 투수코치)
문동환
(前 한화 재활군코치)
조원우
(前 롯데 작전·주루코치)
롯데 자이언츠
직책 이름
1군 감독김시진
(前 넥센 감독)
1군 수석코치권영호
(前 삼성 스카우트)
1군 투수코치정민태
(前 넥센 투수코치)
1군 불펜코치염종석
(재활군코치에서 보직변경)
1군 타격코치박흥식
(前 넥센 타격코치)
1군 수비코치공필성
(2군 수비코치에서 보직변경)
1군 작전/주루코치박계원
(수비코치에서 보직변경)
1군 트레이닝 코치장재영
2군 감독권두조
(수석코치에서 보직변경)
2군 투수코치주형광
(1군 투수코치에서 보직변경)
2군 타격코치김응국
(前 김해고 타격코치)
육성군 코치양용모
(前 2군 배터리코치)
KIA 타이거즈
직책 이름
1군 투수코치조규제
(1군 불펜 투수코치에서 보직 이동)
1군 타격코치김용달
(前 한화 타격코치)
1군 트레이닝 코치하나마스 고지
(前 한화 트레이닝코치)
1군 불펜코치홍우태
(프론트 권역별 스카우터에서 보직 이동)
2군 총괄코치한대화
(前 한화 감독)
2군 타격코치박철우
(2군 총괄코치에서 보직 이동)
2군 외야 수비코치김창희
(前 삼성 전력분석원)
3군 투수코치김정수
(전력분석팀장에서 보직 이동)
3군 타격코치이명수
(前 두산 타격코치)
3군 재활코치홍세완
(1군 타격코치에서 보직 이동)
넥센 히어로즈
직책 이름
1군 감독염경엽
(주루코치에서 승격)
1군 수석코치이강철
(前 KIA 투수코치)
1군 타격코치허문회
(前 상무 타격코치)
1군 불펜코치김수경
(선수 은퇴)
1군 작전 및 주루코치심재학
(외야수비코치에서 보직 이동)
1군 외야수비코치최만호
(前 한화 작전코치)
2군 감독김성갑
(수석코치 겸 감독대행에서 보직 이동)
2군 타격코치강병식
(선수 은퇴)
2군 재활코치이근엽[4]
LG 트윈스
직책 이름
재활군 코치경헌호
(선수 은퇴)
잔류군 책임/투수코치계형철
(前 SK 재활코치)
2군 수비코치김민호
(前 두산 주루코치)
한화 이글스
직책 이름
1군 감독김응용
(前 삼성 고문)
1군 수석코치김성한
(前 KBO 기술위원)
1군 타격코치김종모
(前 KIA 타격코치)
1군 투수코치이대진
(선수 은퇴)
1군 주루코치이종범
(선수 은퇴)
1군 수비·작전코치오대석
(前 포철공고 감독)
2군 감독이정훈
(前 북일고 감독)
2군 타격코치장종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코치연수에서 복귀)
2군 투수코치이선희
(前 삼성 스카우트)
2군 수비·작전코치강석천
(2군 타격코치에서 보직 이동)
2군 배터리코치전종화
(前 NC 불펜코치)
3군 감독전대영
(前 경찰청 수석코치)
3군 타격코치이영우
(1군 주루코치에서 보직 이동)
3군 투수코치이상군
(스카우트에서 보직 이동)
3군 수비·작전코치임수민
(前 북일고 코치)
3군 배터리코치김기남
(선수 은퇴)
NC 다이노스
직책이름
2군 수석코치한문연
(배터리코치와 겸직)
2군 타격코치양승관
(前 넥센 2군 감독)
2군 수비코치구천서
(前 한화 2군 수비코치)
재활군 코치양후승
(스카우트에서 보직 이동)


1.2. 트레이드[편집]


2012년 11월 18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넥센차화준 + 임창민김태형NC
2012년 11월 27일[5]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롯데송창현장성호한화
2012년 12월 14일[6]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삼성현재윤 + 김효남 + 손주인김태완 + 정병곤 + 노진용LG
2013년 3월 1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한화이상훈길태곤삼성


1.3. 신규 영입[편집]


외국인 선수는 해당 항목 참조.
SK 와이번스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민경수투수LG 트윈스

KIA 타이거즈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강귀태포수넥센 히어로즈
이대환투수LG 트윈스

LG 트윈스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권용관유격수SK 와이번스
조영민투수

한화 이글스
이름포지션 이전 소속팀
김일엽투수롯데 자이언츠


1.3.1. 신고 선수[편집]


  • 삼성 : 강원형(내야수, 경성대), 김종석(포수, 부천고), 이영수(내야수, 前 KIA), 정승인(외야수, 인하대)
  • SK : 김영롱(투수, 前 LG), 김원준(내야수, 동강대), 김제성(포수, 한양대), 신창명(외야수, 전 NC)
  • 두산 : 곽용섭(내야수, 前 LG), 김진영(내야수, 고려대), 박종기(투수, 청주고), 서두원(투수, 중앙대), 유창준(투수, 일본 삭신대), 정수환(외야수, 성균관대 중퇴), 홍재용(내야수, 고양 원더스)
  • 롯데 : 김광용(투수, 동아대)[7], 김종민(내야수, 부경고), 박상신(외야수, 前 KIA), 이동희(포수, 경남대), 이명진(외야수, 고려대), 장익호(포수, 연세대)
  • KIA : 강하승(내야수, 고양 원더스), 김광(투수, 상무 전역(동강대 졸)), 김광연(내야수, 송원대), 김민성(투수, 강릉영동대), 김승현(투수, 코리안해치(홍익대 졸)), 나담주(내야수, 경희대), 류기훈(외야수, 연세대), 박정훈(인하대, 포수), 박효승(외야수, 도쿄정보대), 배장원(외야수, 홍익대), 서용주(외야수, 동의대), 송원호(투수, 동국대 중퇴)[8], 안우주(투수, 동국대), 이다샘(투수, 원광대), 이동훈(외야수, 동국대), 이왕기(투수, 前 롯데), 장준성(내야수, 강릉영동대), 황수현(내야수, 제주산업정보대)
  • 넥센 : 김사연(내야수, 前 한화), 김진웅(내야수, 前 고양 원더스), 박태균(외야수, 성균관대), 신정윤(내야수, 세계사이버대 중퇴), 윤정호(외야수, 단국대 졸), 조승범(내야수, 인하대), 최유건(투수, 前 LG)[9], 최현정(투수, 前 두산)
  • LG : 곽무균(투수, 영남대), 김훈영(내야수, 강릉영동대), 박범열(투수, 중앙대), 유원석(투수, 인하대), 유재상(포수, 성균관대), 이찬원(투수, 동아대), 조근종(투수, 원광대), 허재영(포수, 강릉영동대)
  • 한화 : 강철민(투수, 前 LG)[10], 김동조(투수, 세한대), 노민성(외야수, 제물포고), 노수광(외야수, 건국대), 명재철(투수, 前 삼성), 박한결(내야수, 경동고), 백승준(투수, 경북고), 신승원(포수, 북일고), 이태균(내야수, 경찰청 전역(성균관대 졸)), 조우상(투수, 원광대)
  • NC : 강동호(투수, 동의대), 강병우(외야수, 前 넥센), 강성호(외야수, 경찰청 전역(경희대 졸)), 구본욱(내야수, 성균관대), 김건우(투수, 성균관대), 김도환(포수, 호원대), 김주현[11](내야수, 前 삼성), 김성호(내야수, 동의대), 김정운(투수, 진흥고), 김준완(외야수, 고려대), 김희원(투수, 부경고), 박진우(투수, 건국대), 변강득(투수, 前 KIA), 손정훈(내야수, 前 KIA), 이준평(포수, 건국대), 이태초(포수, 송원대), 이호성(내야수, 前 두산), 이효준(투수, 제물포고), 임제우(내야수, 경남대), 장동웅(포수, 경찰청 전역(고려대 졸))


1.4. 외국인 선수[편집]


삼성 라이온즈
이름 포지션 이름 포지션
아네우리 로드리게즈투수릭 밴덴헐크투수
신규영입
SK 와이번스
이름 포지션 이름포지션
크리스 세든투수조조 레예스투수
신규영입
두산 베어스
이름 포지션 이름 포지션
더스틴 니퍼트투수개릿 올슨투수
재계약신규영입
롯데 자이언츠
이름 포지션 이름 포지션
셰인 유먼투수크리스 옥스프링투수
재계약신규영입
KIA 타이거즈
이름 포지션 직책 이름
앤서니 르루투수헨리 소사투수
재계약
넥센 히어로즈
이름 포지션 이름 포지션
브랜든 나이트투수앤디 밴 헤켄투수
재계약
LG 트윈스
이름 포지션 이름 포지션
벤자민 주키치투수레다메스 리즈투수
재계약
한화 이글스
이름 포지션 이름 포지션
데니 바티스타투수대나 이브랜드투수
재계약신규영입
NC 다이노스
이름포지션이름포지션이름포지션
아담 윌크투수찰리 쉬렉투수에릭 해커투수
신규영입


1.5. 방출 및 임의탈퇴[편집]


시즌 중 방출된 선수 포함. 외국인 선수 제외. NC의 20인 보호선수 외 지명이 이루어진 2012년 11월 15일 이후에야 공시가 가능하다. 11월 30일 보류선수 제외자가 발표되었으며 KBO의 제외자 명단에는 시즌 중 방출되었거나 신고선수 상태에서 방출된 경우는 집계가 되지 않으므로 유의해서 보아야 한다.


1.6. 은퇴[편집]




1.7. 신생팀 지원 및 FA 이적[편집]


NC 다이노스 8개 구단 20인 보호선수 외 지명[13]
이름포지션원소속팀
김종호외야수삼성 라이온즈
모창민내야수SK 와이번스
이승호투수롯데 자이언츠
고창성투수두산 베어스
조영훈내야수KIA 타이거즈
이태양투수넥센 히어로즈
김태군포수LG 트윈스
송신영투수한화 이글스

김주찬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
계약내용4년 50억 원 (옵션 4억 원 포함)으로 FA이적
홍성흔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계약내용4년 31억 원 으로 FA이적
정현욱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계약내용4년 28억 6천만 원 (옵션포함)으로 FA이적
이호준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
계약내용3년 20억원 으로 FA이적
이현곤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
계약내용3년 10억 5천만 원 (옵션 3억 원 포함)으로 FA이적
이승우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계약내용정현욱의 FA 보상선수
홍성민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계약내용김주찬의 FA 보상선수
김승회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계약내용홍성흔의 FA 보상선수


1.8. 해외 진출[편집]


류현진한화 이글스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계약내용포스팅 금액 25,737,737.33달러
계약금 포함 6년 계약 총액 3600만 달러


1.9. 국내 복귀[편집]


류제국텍사스 레인저스
(방출)
LG 트윈스
계약내용계약금 5억 5천, 연봉 1억


1.10. FA[편집]



1.10.1. FA 대상자[편집]




1.10.2. FA 신청자[편집]



21명 중 11명이 신청했고 이로 인해 타팀 소속 FA는 2명까지 영입이 가능했다. 단, NC 다이노스는 신생팀 선수 수급 및 전력평준화의 일환으로 타 팀 소속 FA를 3명까지 영입할 수 있었다.


1.10.3. FA 잔류 선수[편집]



이적 선수는 위 항목에 있음


1.11. 상무 및 경찰청 및 입대[편집]




1.12. 군 제대[편집]




2. 경기 일정[편집]


KBO에서는 2012년 11월 30일에 경기일정을 확정, 발표하였다. 그러나 휴식 전후 팀의 배분 불공정 문제가 제기되어서 다시 일정을 재편성하여 2013년 1월 7일에 발표하였다.
DOC 파일이므로 MS워드에서 열어야 한다.

13시즌부터는 NC의 1군 참여로 인해 9구단 체제가 성립되어 팀간 16차전(홈 8, 원정 8)으로 거행됨에 따라 3-3, 3-3, 2-2연전으로 하여 568경기가 우선 편성되었다. 그외 경기는 우천순연 경기 추가 편성시 포함될 예정. 휴식일 순서는 개막부터 4월 28일 경기까지는 NC를 시작으로 해서 2011년 순위대로 휴식일을 가지며 이후에는 랜덤으로 한달에 1~2번씩 휴식일은 가진다.

3월 30일 개막전은 두산-삼성, LG-SK, 한화-롯데, 넥센-기아 전으로 열리고 NC의 경기가 없으며, 1997년 이후 16년만에 잠실야구장 개막전이 열리지 않는다.


3. 중계 방송[편집]


지상파 TV
방송 채널 캐스터 해설위원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김현태 유지철이용철
파일:MBC 로고.svg한광섭허구연
파일:SBS 로고.svg박찬민양준혁 김정준 김재현
유료방송
파일:KBS N SPORTS 로고(2006~2014).svg권성욱 이기호하일성 이용철 이병훈
파일:MBC SPORTS+ 로고(2012~2018).svg한명재 정우영 정병문허구연 양상문 박재홍 손혁
파일:SBS ESPN 로고.svg윤성호 이동근김정준 김재현 안경현 양준혁
파일:XTM 로고.svg임용수 김수환이효봉 이숭용 마해영 민훈기
FM 라디오
KBS 제2라디오김관동 김현태 유지철 표영준이용철 동봉철[16]
KBS대전 제2라디오김연선김병준[17]
부산MBC 표준FM김세원최효석[18]
대구MBC 표준FM이동훈 서상국홍승규[19]
대전MBC 표준FM김학선 김경섭 임세혁여정권[20]
MBC경남 창원본부 표준FM김진철한만정 김형표[21]
파일:1035.png박찬민 염용석 김환이광권 김정준 안경현[22]
KNN 라디오현승훈 이현동이성득[23]
TBC 드림FM김대진서석진[24]
kbc MyFM양원경최해식[25]
TJB 파워FM이광성김성호[26]
원음방송소대수김형표 곽연수[27]

3.1. 정규시즌 중 지상파 방송 경기[편집]


  • 3월
    • 3월 30일 (토, 개막전) | 광주 - 넥센 VS KIA (KBS2) / 대구 - 두산 VS 삼성 (MBC) / 사직 - 한화 VS 롯데 (SBS)
  • 4월
    • 4월 18일 (목) | 포항 - SK VS 삼성 (KBS2)
  • 5월
    • 5월 17일 (금) | 대전 - 두산 VS 한화 (MBC) / 문학 - 롯데 VS SK (SBS)
  • 6월
    • 6월 6일 (금) | 사직 - KIA VS 롯데 (KBS2) / 목동 - 삼성 VS 넥센 (SBS)
  • 9월
  • 10월

4. 팀 유니폼[편집]


팀명제작업체
넥센 히어로즈나이키
두산 베어스필라
롯데 자이언츠아디다스
삼성 라이온즈데상트
한화 이글스미즈노
KIA 타이거즈ZETT
LG 트윈스해지스
NC 다이노스Wilson
SK 와이번스


5. 2013 팀별 캐치프레이즈[편집]



5.1. 넥센 히어로즈[편집]


파일:attachment/goforthechampionship.jpg
2013년도 팀 슬로건
Go for the Championship


5.2. 두산 베어스[편집]


파일:external/www.doosanbears.com/130206105714398.jpg
2013년도 팀 슬로건
Hustle Doo Go! 봐라 2013!


5.3. 롯데 자이언츠[편집]


파일:attachment/2013lottecach.png
2013년도 팀 슬로건
열정과 투지의 롯데 자이언츠!


5.4. 삼성 라이온즈[편집]


파일:external/www.samsunglions.com/13626767567055img_1(3).png
2013년도 팀 슬로건
YES, KEEP GOING!!!


5.5. 한화 이글스[편집]


파일:external/www.sportsworldi.com/20130214022238_0.jpg
2013년도 팀 슬로건
독수리여! 투혼을 불태워라!


5.6. KIA 타이거즈[편집]


파일:/image/311/2013/03/17/1363516142893_59_20130317193303.jpg
2013년도 팀 슬로건
Pitch Our Passion ! Catch Our V11!


5.7. LG 트윈스[편집]


파일:external/www.lgtwins.com/main_visual_2.png
2013년도 팀 슬로건
승리를 향한 열정! 새롭게 뛰는 2013![28]


5.8. NC 다이노스[편집]


파일:attachment/2013ncdinoscach.jpg
2013년도 팀 슬로건
거침없이 가자!


5.9. SK 와이번스[편집]


파일:external/www.sksports.net/rtxt.gif
2013년도 팀 슬로건
Touch Wyverns! Go V4!


6. 시범 경기[편집]



6.1. 시범 경기 순위[편집]


순위승차승률
1KIA9020.00.818
2두산6142.50.600
2넥센6142.50.600
2SK6142.50.600
5LG5164.00.455
5NC5164.00.455
7한화4175.00.364
8롯데3175.50.300
9삼성2365.50.250


7. 정규 시즌[편집]



7.1. 코칭 스태프 변경[편집]


KIA 타이거즈
날짜직책 이름
3월 15일
[29]
2군 투수코치 → 1군 불펜코치신동수
3군 투수코치 → 2군 투수코치김정수
1군 불펜코치 → 3군 투수코치홍우태
한화 이글스
날짜직책 이름
7월 17일1군 주루코치 → 1군 주루·작전코치이종범
7월 18일1군 투수코치 → 2군 투수코치송진우
1군 타격코치 → 2군 타격코치김종모
1군 수비코치 → 2군 수비코치오대석
1군 배터리코치 → 2군 배터리코치조경택
2군 투수코치 → 1군 투수코치정민철
2군 타격코치 → 1군 타격코치장종훈
2군 수비코치 → 1군 수비코치강석천
2군 배터리코치 → 1군 배터리코치전종화
KIA 타이거즈
날짜직책 이름
8월 17일1군 타격코치 → 2군 타격코치김용달
1군 투수코치 → 2군 투수코치조규제
1군 배터리코치 → 2군 배터리코치정회열
1군 주루코치 → 3군 코치김평호
2군 투수코치 → 1군 투수코치김정수
2군 배터리코치 → 1군 배터리코치김지훈
3군 타격코치 → 1군 타격코치이명수
넥센 히어로즈
날짜직책 이름
8월 28일1군 작전주루코치 → 1군 외야수비코치심재학
1군 외야수비코치 → 1군 작전주루코치최만호


7.2. 선수 이동[편집]



7.2.1. 신규 영입[편집]


삼성 라이온즈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에스마일린 카리대투수없음(아이오와 컵스 방출)
두산 베어스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데릭 핸킨스투수톨레도 머드헨스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산하 트리플 A)
넥센 히어로즈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김정록내야수고양 원더스
한화 이글스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송주호외야수고양 원더스
NC 다이노스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손민한투수없음(신고선수 계약)
김용성투수고양 원더스
이승재포수고양 원더스
윤병호외야수고양 원더스
이원재외야수고양 원더스
KIA 타이거즈
이름 포지션 이전 소속팀
듀웨인 빌로우투수마이애미 말린스


7.2.2. 방출 및 임의탈퇴[편집]


삼성 라이온즈
이름 포지션 구분
아네우리 로드리게스투수웨이버 공시
박재근투수임의탈퇴
두산 베어스
이름 포지션 구분
개릿 올슨투수웨이버 공시
KIA 타이거즈
이름 포지션 구분
앤서니 르루투수웨이버 공시


7.2.3. 트레이드[편집]


2013년 4월 18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넥센박정준
지석훈
이창섭
송신영
신재영
NC
2013년 4월 24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넥센최경철서동욱LG
2013년 5월 6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SK송은범
신승현
김상현
진해수
KIA


7.2.4. 군 제대[편집]


한화 이글스
이름 포지션 구분
송광민내야수공익근무요원 소집 해제


7.3. 신인드래프트[편집]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


7.4. 2차 드래프트[편집]


KBO 리그 2차 드래프트/2014년


7.5. 주요 사건 및 기록[편집]


  • KBO 기록 규정에 따라 경기 중 달성된 기록 사항을 추가하실 경우, 홈팀을 뒤에 기재(예를 들어 대구구장 삼성 라이온즈 vs 두산 베어스의 경기 → 두산 대 삼성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7.5.1. 3월[편집]


  • 3월 30일 : 개막전, 2년 전 정규시즌 순위에 따라 개막 2연전 시리즈는 두산-삼성(대구), LG-SK(문학), 한화-롯데(사직), 넥센-KIA(광주)전으로 구성되었다.
    • 두산 대 삼성전에서 1회초 두산 손시헌시즌 1호 안타를 기록했다. 이후 이어진 만루 상황에서 오재원이 삼성 선발 배영수를 상대로 시즌 1호 홈런만루홈런으로 장식했다. 3루에 있던 손시헌이 홈을 밟아 1호 득점을 기록. 두산은 시즌 1호 안타, 홈런, 득점, 타점을 한꺼번에 기록했다. 4회초 만루 상황에서 두산 김현수가 배영수로부터 다시 만루포를 뽑아냈다. 개막전 한 경기 만루홈런 2개는 역대 최초.
    • LG 대 SK전에서 7회말 SK 조성우데뷔 첫 타석에서 대타 홈런(데뷔 첫 타석 홈런 역대 13번째, 첫 타석 대타 홈런 역대 4번째)을 기록했다. 시즌 1호 대타홈런(역대 678호, 개막전 대타홈런 역대 5번째).
    • 한화 대 롯데전에서 9회말 롯데 박종윤시즌 1호 끝내기 희생플라이를 기록했다. 개막전에서 끝내기 희플은 역대 최초. 롯데의 6-5 승리. 한화 김응용 감독은 3099일만에 치른 감독 복귀전을 역전패로 마무리했다. 이날 나머지 세 구장이 일찌감치 매진된 데 비해 사직구장 입장 관중은 2만 6708명으로 매진에 실패, 롯데는 2007년부터 이어온 6년 연속 사직 개막전 매진 기록이 중단되었으며, 동시에 프로야구 또한 5년 연속 이어진 개막전 매진 기록이 중단되었다.
    • 개막전 4경기에서 총 54점이 나오며 역대 개막전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 종전 기록은 2000년의 52점.
    • 넥센 대 KIA전에서 KIA 타이거즈가 10-9로 재역전승을 거두며 개막전 8연패에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7.5.2. 4월[편집]


  • 4월 2일
    • 김동주가 SK 대 두산 전 선발출전으로 1600경기 출전 기록을 달성하였다. (역대 18번째)
  • 4월 3일
    • 박진만홍성흔이 SK 대 두산 전 출전으로 각각 1800경기(10번째), 1600경기(19번째) 출전 기록을 달성하였다.
  • 4월 4일
    • KIA 대 한화 전에서 KIA 타이거즈가 9회초 11안타를 기록하면서 프로야구 역대 한 이닝 최다 안타 타이기록(6번째)을 달성하였다. 이는 타이거즈 역사상 첫 번째 기록이기도 하다. 또한 이 경기에서 한화 이글스 선발투수 데니 바티스타는 13개의 탈삼진을 기록, 외국인 투수 최다 탈삼진 타이 기록을 세웠다.
  • 4월 5일
    • KIA 대 롯데 전에서 이용규가 개인통산 1000안타를 달성했다. (역대 64번째)
    • 두산 대 LG 전에서 홍성흔이 심판의 판정에 항의하면서 시즌 첫 퇴장을 기록했다.
  • 4월 7일
    • NC 대 삼성 전에서 오승환이 통산 250세이브를 기록하였다. (역대 최초)
  • 4월 9일
    • 한화 대 삼성 전에서 김경언이 한화의 통산 3100번째 홈런을 기록하였다. (역대 3번째)
  • 4월 10일
    • NC 대 LG 전에서 NC 다이노스가 창단 첫 승을 거뒀다. 첫 승리투수는 이재학.
    • 반면 한화는 삼성전에서 패배하며 한국프로야구가 생긴지 31년만에 첫 9위를 기록한 팀이 되었다.
  • 4월 14일
    • 한화가 개막전 13연패를 기록하며, 2003년 롯데가 기록한 개막전 연패 기록인 12연패를 뛰어 넘었다. [30]
  • 4월 16일
  • 4월 19일
    • NC 대 넥센 전에서 박병호가 시즌 첫 끝내기 홈런을 기록했다.
    • KIA 대 SK 전에서 이용규가 KIA의 통산 3800번째 도루를 기록하였다. (역대 최초)
  • 4월 21일
    • 신명철이 롯데 대 삼성 전 선발출전으로 1100경기 출전 기록을 달성하였다. (역대 77번째)
    • 롯데 대 삼성 전에서 삼성 라이온즈가 승리하면서 팀 통산 2100승 고지를 달성했다. (역대 최초)
    • 한화 대 두산 전에서 김동주가 개인통산 1700안타를 달성했다. (역대 10번째)
  • 4월 25일
    • KIA 대 NC 전에서 이호준이 개인 통산 250개의 2루타를 기록하였다. (역대 26번째)
    • SK 대 롯데 전에서 크리스 옥스프링이 복귀 후 1698일만에 한국에서 승을 기록하였다.
  • 4월 28일
    • 한화 대 SK 전에서 김태균이 한 경기 최다 볼넷 타이 기록(6개)을 세웠다.
    • 한화 대 SK 전에서 윤근영임경완을 상대로 중전 안타를 얻어내며 시즌 첫 투수 대타 안타를 기록했다.
    • 한화 대 SK 전에서 김응용 감독이 통산 2700경기 감독 출장 기록을 세웠다. (역대 최초)
  • 4월 30일
    • 이호준이 LG 대 NC 전 선발출전으로 1500경기 출전 기록을 달성하였다. (역대 29번째)
    • 넥센 대 삼성 전에서 손승락이 11경기만에 10세이브를 달성하였다. (역대 최소기록)


7.5.3. 5월[편집]


  • 5월 5일
    • 박한이가 삼성 대 롯데 전 교체출전으로 1500경기 출전 기록을 달성하였다. (역대 30번째)
  • 5월 8일
  • 5월 15일
    • 이승엽이 삼성 대 두산 전 선발출전으로 1300경기 출전 기록을 달성하였다. (역대 50번째)
  • 5월 16일
    • 박진만이 광주에서 열린 대 KIA 전에서 2회초 솔로홈런을 기록, 통산 150 홈런을 달성 하였다.[31] (역대 29번째) 허용 투수는 윤석민.


7.5.4. 6월[편집]




7.5.5. 7월[편집]


  • 7월 1일
    • NC와 KT를 제외한 나머지 8개 구단의 1차 지명이 실시되었다.
  • 7월 8일
    • NC와 KT의 1차 지명이 실시되었다.


7.5.6. 8월[편집]


  • 8월 26일
    • 2014년 신인드래프트 2차 지명이 실시되었다. KT 특별지명선수를 포함하여 총 105명이 지명을 받았다.
  • 8월 27일
    • 미편성된 8경기와 우천순연된 49경기를 조합하여 잔여경기 일정을 확정 발표하였다.


7.5.7. 9월[편집]


  • 9월 26일
    • 8월 27일부터 9월 25일까지 우천순연된 4경기를 재편성하여 잔여경기 일정을 확정 발표하였다. 이로써 정규시즌은 10월 5일에 종료된다. 이와 동시에 포스트시즌 경기일정을 발표하였다. 준플레이오프는 10월 8일~14일, 플레이오프는 10월 16일~22일, 한국시리즈는 10월 24일~11월 1일에 열린다.


7.5.8. 10월[편집]




7.6. 구단별 시즌 기록[편집]


||





2013년 팀 타격 누적 스탯 파이 차트
2013년 팀 투수 누적 기록 파이 차트
한눈으로 보는 2013년 팀별 투수 기록(선발)
한눈으로 보는 2013년 팀별 투수 기록(구원)


8. 최종 순위[편집]


순위경기수게임차승률
1삼성 라이온즈128752510.00.595
2두산 베어스128713543.50.568
3LG 트윈스128740542.00.578
4넥센 히어로즈128722543.00.571
5롯데 자이언츠128664588.00.532
6SK 와이번스1286236312.50.496
7NC 다이노스1285247222.00.419
8KIA 타이거즈1285137423.50.408
9한화 이글스1284218533.50.331

삼성-SK-두산-롯데-KIA가 4강을 나눠먹던 구도가 마침내 깨진 시즌. 5년동안 6~8위만 맴돌던 LG와 넥센이 돌풍의 선봉장이 되었다. LG는 한화, NC와 3약을 형성하면서 7등을 기록할 것이라는 여러 전문가들과 야구팬들의 예상을 깨고 비밀번호를 끊는데 성공했다. 넥센도 창단 첫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1990년 시즌, 1996년 시즌과 함께 상위권 팀의 순위경쟁이 심했던 시즌으로 삼성은 어렵게 3년 연속 정규시즌 우승에 성공하고 두산도 마지막 LG전에서 패해서 4위로 마감했다.

다만 두산 베어스가 한국시리즈로 진출하는 바람에 정규 시즌 최종 순위가 2위가 되고 LG가 3위, 넥센이 4위가 되었다.

또한 류현진이 빠져나간 한화가 개막 13연패라는 기록을 세우면서 압도적인 꼴찌로 추락하며 1993년 시즌, 2002년 시즌 못지 않은 승률 인플레를 야기하고 말았다. 이 여파로 롯데 자이언츠는 역대 최고 승률로 포스트시즌 탈락을 경험한 팀이 되고 말았다.[32] 1군 첫 시즌을 맞은 NC는 신생팀 최다승 타이기록을 세우고[33], 선발 방어율 1위를 기록하며, 여러 전문가들과 야구팬들의 예상을 깨고 7등으로 선전했다. KIA는 1위에서 8위까지 떨어지는 역대급 DTD를 겪으며 본격적인 암흑기가 도래하고 말았다.

파일:attachment/20131005_프로야구_승차_그래프_for_rigvedawiki.jpg

2013년 팀 순위 (득점/실점/기대승률을 중심으로)


9. 정규 시즌 기록 1위[편집]



9.1. 타자[편집]





9.2. 투수[편집]





10. 포스트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프로야구/2013년 포스트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1. MVP, 신인왕, 골든글러브 수상자[편집]



[1] 2012년의 스폰서를 팔도가 맡았다가 그야말로 대박 홍보효과를 보자 결국 본사 격인 한국야쿠르트가 나섰다고 볼 수 있겠다. 2012년 팔도가 거둔 광고효과는 액수로 환산하면 무려 450억 원에 이르렀다고 보고되었다. 그리고 세븐갤은 스폰서가 공식 언론보도된 2월 28일 오후부터 여지없이 털리기 시작했다. 아마도 시즌 내내 털리겠지[2] 2013년 8월에 신생팀 kt wiz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하면서 물러났다.[3] 그의 큰아들이 파드리스의 주전 우익수로 활약하고 있는 윌 베너블이다.[4] 전 현대,쌍방울 선수, 현역시절 염경엽의 백업 유격수였으나, 박진만이 입단하고서 백업자리마저 그보다 실력이 좋은 염경엽에게 밀리고말았다, 결국 박경완 트레이드때 쌍방울로 이적해 1999년을 끝으로 은퇴[5] 송창현이 신인선수인 관계로, 야구규약 109조에 따라 양 선수의 선수등록은 2013년 2월 1일에 행해진다.[6] 이 트레이드는 LG가 프로야구에 뛰어든 지 22년 만에 삼성을 상대로 이루어진 첫 트레이드다. 재계 라이벌이란 특수관계로 인해 이 두 구단은 그동안 암묵적으로 상대팀 간 트레이드를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전신인 MBC 청룡 시절에는 두 차례 트레이드가 있었다.[7] 2013년 5월 31일 신고선수 계약 해지로 방출. kt wiz 트라이아웃에 합격한 후 군입대.[8] 전 해태 투수인 송유석의 아들. 시즌 끝나고 방출.[9] 최종인에서 개명[10] 시즌 중 신고선수 계약 해지로 방출[11] 시즌 중 김동현에서 김주현으로 개명[12] 롯데 자이언츠의 원정 기록원이 되었다.[13] 전력평준화 및 선수 수급을 위해 2012년 11월 15일 실시되었다. 해당 선수의 원소속팀은 보상금으로 10억원을 받았다.[14] 당초 공익행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재검을 받아 면제 판정을 받았다. 이로서 2013년 두산 베어스의 내야 포화 상태는 더욱 심해진 상황.[15] 전태현에서 개명[16] 일요일 경기 중계[17] 한화 이글스 홈 일부 경기 중계[18]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 중계[19] 삼성 라이온즈 홈 경기 중계[20] 한화 이글스 홈 경기 중계[21] NC 다이노스 홈 경기 중계[22] 월 1회 토요일 경기 중계[23]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 중계[24] 삼성 라이온즈 전 경기 중계[25] KIA 타이거즈 홈 경기 중계[26] 한화 이글스 홈 경기 중계[27] 주말 잠실 경기 중계[28] 그리고 이는 LG가 기나긴 암흑기를 끊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며 현실이 되었다.[29] 정규 시즌 이전이지만 보직 임명 뒤 이동이므로 이곳에 표기[30] 참고로 한시즌 최다 연패기록은 1985년 삼미가 기록한 18연패, 2위가 1999년 쌍방울이 기록한 17연패, 3위가 2002년 롯데, 2010년 기아가 기록한 16연패.[31] 유격수 포지션으로는 최초.[32] 특히, 롯데는 한화 상대로 14승 2패라는 경이로운 성적을 거두었다. 바꿔말하면 한화 아니었으면 4강 경쟁할 팀 수준이 아니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지만....[33] 다른 하나는 1991년 쌍방울 레이더스.[34] 완투 순위는 에릭(NC)이 3회로 단독 1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12:21에 나무위키 한국프로야구/2013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