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농구/2022-23 시즌

덤프버전 : (♥ 0)

||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svg
한국프로농구 역대 시즌 일람
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


1. 오프시즌
1.1. 코칭 스태프 변경
1.2. 트레이드
1.3. 외국인 선수
1.4. 은퇴
1.5. FA
1.5.1. FA 대상자
1.5.2. FA 계약
1.5.3. 계약 미체결
1.6. 군 입대
2. 경기 일정
3. 달라지는 점
4. 정규시즌
4.1. 중계 방송
4.2. 라운드별 경기 결과
4.3. 코칭 스태프 변경
4.4. 선수 이동
4.4.1. 트레이드
4.5. 신인 드래프트
4.6. 주요 사건 및 기록
4.6.1. 10월
4.6.2. 11월
4.6.3. 12월
4.6.3.1. 군 전역
4.6.4. 1월
4.6.5. 2월
4.6.6. 3월
4.6.7. 4월
4.7. 구단별 시즌 기록
5. 정규 시즌 순위 및 상대전적
6.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6.1. 정규 시즌 기록 1위
6.1.1. 국내선수
6.1.2. 외국인 선수
6.2. 시상식
6.2.1. 정규시즌 MVP
6.2.2. 베스트 5
6.2.3. 수비 5걸[1]
6.2.4. 식스맨 상
6.2.5. MIP
6.2.6. 이성구 페어플레이상
6.2.7. 포카리스웨트 인기상
6.2.8. KBL 신인왕
6.2.9. KBL 감독상
7. 플레이오프



1. 오프시즌[편집]



1.1. 코칭 스태프 변경[편집]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안양 KGC인삼공사
직책 이름
감독김상식
(前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
코치최승태
(前 창원 LG 세이커스 코치)
코치조성민
(前 창원 LG 세이커스 선수)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
수원 kt 소닉붐
직책 이름
코치송영진
(前 휘문고 코치)
코치김도수
(前 부천 하나원큐 여자농구단 코치)
파일:고양 캐롯 점퍼스 엠블럼.svg
고양 캐롯 점퍼스
직책 이름
감독김승기
(前 안양 KGC인삼공사 감독)
코치손규완
(前 안양 KGC인삼공사 코치)
코치손창환
(前 안양 KGC인삼공사 코치)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직책 이름
총감독유재학
(감독에서 보직 변경)
감독조동현
(수석코치에서 보직 변경)
수석코치양동근
(코치에서 보직 변경)
코치맥클린
(前 울산 현대모비스 외국인선수)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
창원 LG 세이커스
직책 이름
감독조상현
(前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
코치임재현
(前 배재고 코치)
코치김동우
(前 국가대표 농구대표팀 코치)
코치박유진
(前 창원 LG 세이커스 전력분석원)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서울 삼성 썬더스
직책 이름
감독은희석
(前 연세대학교 감독)
코치김보현
(前 군산고 코치)
매니저천재민
(前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선수)



1.2. 트레이드[편집]


  • 정규시즌 개막 전 트레이드만 기재.

2022-23 비시즌 중 트레이드
일자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
2022년 6월 3일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무상박경상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2022년 6월 9일파일:고양 캐롯 점퍼스 엠블럼.svg이대성현금 (6억원)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2021~2023).svg


1.3. 외국인 선수[편집]


팀명이름포지션비고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자밀 워니센터재계약
리온 윌리엄스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오마리 스펠맨센터재계약
대릴 먼로포워드
렌즈 아반도가드신규영입[아시아쿼터]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랜드리 은노코센터신규영입
EJ 아노시케포워드
---
파일:고양 캐롯 점퍼스 엠블럼.svg디드릭 로슨포워드신규영입
데이비드 사이먼센터
모리구치 히사시가드신규영입[아시아쿼터]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저스틴 녹스포워드신규영입
게이지 프림센터
론 제이 아바리엔토스가드신규영입[아시아쿼터]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2021~2023).svg유슈 은도예센터신규영입
머피 할로웨이
SJ 벨란겔가드신규영입[아시아쿼터]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아셈 마레이센터재계약
단테 커닝햄포워드신규영입
저스틴 구탕가드신규영입[아시아쿼터]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레너드 프리먼포워드재계약
드완 에르난데스센터신규영입
이선 알바노가드신규영입[아시아쿼터]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라건아센터재계약[귀화선수]
론데 홀리스제퍼슨포워드신규영입
---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이매뉴얼 테리센터신규영입
마커스 데릭슨포워드
크리스찬 데이비드신규영입[아시아쿼터]


1.4. 은퇴[편집]




1.5. FA[편집]



1.5.1. FA 대상자[편집]


  • 서울 SK 나이츠: 김선형(보상), 배병준, 송창무[은퇴], 이원대, 이현석, 장문호

  • 안양 KGC인삼공사 : 박재한, 박형철[은퇴], 양승면[은퇴], 양희종, 우동현, 전성현(보상)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강병현[은퇴], 김형진[은퇴], 박병우[은퇴], 박지훈, 이현민[은퇴], 홍순규[은퇴]

  • 고양 캐롯 점퍼스 : 오용준[은퇴], 이승현(보상), 최승욱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두경민(보상), 민성주, 정영삼[은퇴], 홍경기

  • 창원 LG 세이커스 : 강병현[은퇴], 김영현[은퇴], 변기훈[은퇴], 정해원, 한상혁

  • 원주 DB 프로미 : 김영훈, 김철욱, 나카무라 타이치, 맹상훈[은퇴], 박찬희, 정준원, 허웅(보상)

  • 전주 KCC 이지스 : 송창용, 이정현, 정창영, 함승호[은퇴]

  • 서울 삼성 썬더스 : 김동량, 배수용[은퇴], 정준수


1.5.2. FA 계약[편집]


2022-23 FA 계약
원 소속팀이름포지션새 소속팀계약일자계약 기간보수총액보상선수 / 금액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이원대가드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2021~2023).svg2022년 5월 22일3년1억 2천만원없음[A]
이현석가드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2022년 5월 23일3년1억 8천만원
김선형가드잔류2022년 5월 24일3년8억원-
장문호포워드2022년 5월 24일1년4천 5백만원
배병준가드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2022년 5월 24일1년9천만원없음[A]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양희종포워드잔류2022년 5월 23일3년2억 2천만원-
전성현포워드파일:고양 캐롯 점퍼스 엠블럼.svg2022년 5월 23일4년7억 5천만원5억 6천만원
박재한가드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2022년 5월 25일2년6천만원없음[A]
우동현가드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2021~2023).svg2022년 5월 25일3년5천 2백만원없음[A]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김영환포워드잔류2022년 5월 25일2년2억원-
김현민포워드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2022년 5월 28일1년8천만원없음[A]
파일:고양 캐롯 점퍼스 엠블럼.svg이승현포워드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2022년 5월 23일5년7억 5천만원12억원
최승욱포워드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2022년 5월 24일2년1억 1천만원없음[A]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박지훈포워드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2021~2023).svg2022년 5월 22일2년2억 2천만원없음[A]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2021~2023).svg두경민가드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2022년 5월 23일4년5억원8억원
홍경기가드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2022년 5월 24일2년1억 2천만원없음[A]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한상혁가드잔류2022년 5월 25일3년1억 2천만원-
정해원포워드파일:고양 캐롯 점퍼스 엠블럼.svg2022년 5월 28일1년5천만원없음[A]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박찬희가드잔류2022년 5월 23일2년2억 1천만원-
허웅가드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2022년 5월 23일5년7억원유현준 / 1억 6천 5백만원
김철욱센터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2022년 5월 24일2년1억 2천만원없음[A]
정준원포워드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2022년 5월 24일3년9천만원없음[A]
김영훈포워드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2022년 5월 28일2년7천만원없음[A]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이정현가드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2022년 5월 19일3년7억원없음[A]
송창용포워드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2022년 5월 24일2년7천만원없음[A]
정창영포워드잔류2022년 5월 25일3년2억 5천만원-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김동량센터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2022년 5월 23일3년1억 7천만원없음[A]


1.5.3. 계약 미체결[편집]


계약 미체결자는 2022-23 시즌에는 뛸 수 없고 다음 시즌 FA를 신청한다면 다시 한 번 모든 팀과 협상할 수 있다.



1.6. 군 입대[편집]




2. 경기 일정[편집]


  • 1라운드: 2022년 10월 15일 ~ 2022년 11월 10일
  • 2라운드: 2022년 11월 12일 ~ 2022년 12월 8일
  • 3라운드: 2022년 12월 9일 ~ 2023년 1월 1일
  • 4라운드: 2023년 1월 2일 ~ 2023년 2월 1일
  • 5라운드: 2023년 2월 2일 ~ 2023년 3월 4일
  • 6라운드: 2023년 3월 7일 ~ 2023년 3월 29일
  • 재편성 경기: 미정
  • 플레이오프 및 챔피언결정전: 2023년 4월 ?일 ~ 2023년 5월 ?일
라운드는 경기번호를 기준으로 나눈다.(ex. 1~45번 1라운드, 46~90번 2라운드, ..., 226~270번 6라운드)

3. 달라지는 점[편집]


  • 샐러리캡 상향 : 25억이 샐러리캡이었는데 26억원으로 1억원 증액되었다.
  • 아시아 쿼터제 확대 : 기존에는 일본 국적에 한해서 국내 선수 취급 아시아 쿼터 영입이 가능했으나 22-23 시즌부터는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선수 또한 영입이 가능해진다.
  • 구단 해체 및 신규 가입 : 프로농구 원년구단이던 오리온이 농구단을 데이원자산운용에 매각함에 따라 2022-23 시즌부터는 고양 캐롯 점퍼스[2]라는 새로운 이름을 달고 뛰게 된다. 그런데 왜 해체 및 가입이냐 하면 캐롯은 오리온의 색채 뿐만 아니라 우승 등 통산 기록도 승계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말 그대로 사람만 인수하였기에 공식 역사는 오리온 해체, 캐롯 신규 창단이다.
  • 전후반 진영 교체 : 이번 시즌부터 1~2쿼터 상대 팀 벤치, 3~4쿼터 본인 팀 벤치 측이 팀 진영이 된다. 따라서 슛 연습도 경기 시작 전엔 본인 팀 벤치에서, 하프 타임 때는 상대 팀 벤치 쪽에서 해야 한다. 사실 이게 원년부터 2005-2006 시즌까지 시행된 규칙이었는데 16년만에 복구된 것이다.
  • 코로나19 방역 수칙 관련 : 지난 시즌까지 금지됐던 육성응원과 경기장 내 취식이 다시 가능해진다. 다만 마스크 착용 의무는 2023년 1월 29일까지 유지되었다.
  • SPOTV 해설진 변화
파일:SPOTV 로고.svg
영입이규섭 해설위원
김태술 해설위원
정영삼 해설위원
배길태 해설위원
종료추일승 해설위원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 부임

이 이외에도 이상윤 해설위원도 배재고등학교 농구부 코치와 해설 겸직 형태로 활동한다.

4. 정규시즌[편집]


2022년 10월 15일 토요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리는 서울 SK 나이츠 vs 안양 KGC 인삼공사[3]의 공식 개막전을 시작으로 2023년 3월 29일까지 165일간 팀당 54경기 총 270경기가 펼쳐진다.

경기 시간은 평일 19:00 주말 경기는 14:00, 16:00에 펼쳐진다. 2012~17 다섯 시즌 이후 6년만에 다시 14시, 16시로 돌아갔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1경기, 금요일은 2경기가 열린다. 주말 및 공휴일에는 3경기씩 펼쳐진다. 2∼5라운드는 평일 1경기, 주말 및 공휴일 4경기가 열린다.

지난 시즌 우승팀인 서울 SK와 준우승팀 안양 KGC는 농구판 AFC 챔피언스리그격인 EASL(동아시아 슈퍼 리그)에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대회가 취소되면서 무산되었고 일정에 변동 사항이 생기게 된다.

4.1. 중계 방송[편집]




4.2. 라운드별 경기 결과[편집]


해당 라운드가 끝난 시점을 기준으로 하되, 경기 취소로 인한 추후 편성 경기는 포함하지 않음.

[1라운드]
일정 조정으로 인해, 삼성, KGC는 10경기를, LG, SK는 8경기를 치른다.

[2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2라운드 전적비고
1안양 KGC인삼공사19154.789-7승 2패
2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18117.6113.56승 3패
3고양 캐롯 점퍼스18108.5564.54승 5패
4창원 LG 세이커스18108.5564.56승 4패
5서울 SK 나이츠1899.5005.57승 3패
6서울 삼성 썬더스19811.4217.02승 7패
7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17710.4127.05승 3패
8원주 DB 프로미17710.4127.01승 7패
9전주 KCC 이지스18711.3894.54승 5패
10수원 kt 소닉붐18612.3338.53승 6패

[3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3라운드 전적비고
1안양 KGC인삼공사27198.704-4승 4패
2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271611.5933.05승 4패
3창원 LG 세이커스261511.5773.55승 3패
4서울 SK 나이츠271512.5564.06승 3패
5전주 KCC 이지스271314.4816.06승 3패
6고양 캐롯 점퍼스271314.4816.03승 6패
7수원 kt 소닉붐271215.4447.06승 3패
8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271116.4078.04승 6패
9원주 DB 프로미271116.4078.04승 6패
10서울 삼성 썬더스281018.3579.52승 7패

[4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4라운드 전적비고
1안양 KGC인삼공사362511.694-6승 3패
2창원 LG 세이커스362313.6392.08승 2패
3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362214.6113.06승 3패
4서울 SK 나이츠362016.5565.05승 4패
5고양 캐롯 점퍼스361917.5286.06승 3패
6전주 KCC 이지스361620.4449.03승 6패
7수원 kt 소닉붐361620.4449.04승 5패
8원주 DB 프로미361620.4449.05승 4패
9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361323.36112.02승 7패
10서울 삼성 썬더스361026.27815.00승 8패4라운드 전패

[5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5라운드 전적비고
1안양 KGC인삼공사463412.739-9승 1패
2창원 LG 세이커스453015.6673.57승 2패
3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452718.6006.55승 4패
4서울 SK 나이츠452718.6006.57승 2패
5고양 캐롯 점퍼스442321.52310.04승 4패
6전주 KCC 이지스452025.44413.54승 5패
7수원 kt 소닉붐451926.42214.53승 6패
8원주 DB 프로미441727.38616.01승 7패
9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461630.34818.03승 7패
10서울 삼성 썬더스451233.26721.52승 7패

[6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6라운드 전적비고
1안양 KGC인삼공사543717.685-3승 5패
2창원 LG 세이커스543618.6671.06승 3패
3서울 SK 나이츠543618.6671.09승 0패6라운드 전승
4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543420.6303.07승 2패
5고양 캐롯 점퍼스542826.5199.05승 5패
6전주 KCC 이지스542430.44413.04승 5패
8원주 DB 프로미542232.40715.05승 5패
8수원 kt 소닉붐542133.38916.02승 7패
9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541836.33319.02승 6패
10서울 삼성 썬더스541440.25923.02승 7패


4.3. 코칭 스태프 변경[편집]




4.4. 선수 이동[편집]



4.4.1. 트레이드[편집]



4.5. 신인 드래프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6. 주요 사건 및 기록[편집]


10월 11일 KBL에서 캐롯에게 가입금 15억 중의 일부인 5억 원을 13일 오후 12시까지 납부를 안 하면 리그 참가를 불허한다고 했다. 창단 때부터 구단 운영에 물음표가 붙은 캐롯은 리그 출전 무산 위기를 맞았으나 12일 오후 5억 원을 납부하면서 리그에 정상적으로 참여하게 됐다.

4.6.1. 10월[편집]




4.6.2. 11월[편집]


1라운드 MVP로 고양 캐롯 점퍼스전성현이 선정됐다.


4.6.3. 12월[편집]


2라운드 MVP로 안양 KGC의 변준형이 선정됐다.

4.6.3.1. 군 전역[편집]




4.6.4. 1월[편집]


3라운드 MVP로 고양 캐롯의 전성현이 1라운드에 이어 시즌 두번째로 선정됐다.

1월 15일 KBL 올스타전이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에서 열렸다.


4.6.5. 2월[편집]


4라운드 MVP로 대구 한국가스공사의 이대성이 선정됐다.

4.6.6. 3월[편집]


안양 KGC인삼공사서울 SK 나이츠가 일본에서 열리는 동아시아슈퍼리그(EASL)에 출전해서 결승전에서 맞붙었고, KGC가 90-84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4.6.7. 4월[편집]




4.7. 구단별 시즌 기록[편집]


||




5. 정규 시즌 순위 및 상대전적[편집]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비고
1안양 KGC인삼공사5437170.685-
2창원 LG 세이커스5436180.6671.0[LG-SK]
3서울 SK 나이츠5436180.6671.0[LG-SK]
4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5434200.6303.0
5고양 캐롯 점퍼스5428260.5199.0
6전주 KCC 이지스5424300.44413.0
7원주 DB 프로미5422320.40715.0
8수원 kt 소닉붐5421330.38916.0
9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5418360.33319.0
10서울 삼성 썬더스5414400.25923.0[4]

TeamSKKGCkt현대모비스가스공사LGDBKCC삼성캐롯
SK-3:34:23:35:13:35:14:25:14:2
KGC3:3-5:14:24:23:36:04:24:24:2
kt2:41:5-1:55:11:53:31:54:23:3
현대모비스3:32:45:1-6:02:44:26:05:11:5
가스공사1:52:41:50:6-0:62:44:24:24:2
LG3:33:35:14:26:0-4:24:24:23:3
DB1:50:63:32:44:22:4-3:35:12:4
KCC2:42:45:10:62:42:43:3-4:24:2
삼성1:52:42:41:52:42:41:52:4-1:5
캐롯2:42:43:35:12:43:34:22:45:1-

(팀간 마지막 대결이 끝난 후 기재할 것.)


6.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편집]



6.1. 정규 시즌 기록 1위[편집]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6.1.1. 국내선수[편집]


타이틀성명소속팀기록비고
평균 득점 1위
평균 어시스트-
리바운드
스틸-
블록슛-
3점슛 성공률-
자유투 성공률
야투 성공률-


6.1.2. 외국인 선수[편집]


타이틀성명소속팀기록비고
평균 득점 1위
평균 어시스트
리바운드
스틸
블록슛
3점슛 성공률
자유투 성공률
야투 성공률


6.2. 시상식[편집]



6.2.1. 정규시즌 MVP[편집]


KBL 국내선수 MVP
김선형

KBL 외국선수 MVP
자밀 워니


6.2.2. 베스트 5[편집]




6.2.3. 수비 5걸[5][편집]


KBL 수비 5걸
김영현김진유오재현문성곤 [최우수]하윤기아셈 마레이


6.2.4. 식스맨 상[편집]


KBL 식스맨 상
박지훈


6.2.5. MIP[편집]


KBL 기량발전 상
하윤기


6.2.6. 이성구 페어플레이상[편집]


KBL 페어플레이 상
정창영


6.2.7. 포카리스웨트 인기상[편집]


KBL 인기상
허웅


6.2.8. KBL 신인왕[편집]


KBL 최우수 신인상
론 제이 아바리엔토스


6.2.9. KBL 감독상[편집]


KBL 감독상
김상식


7. 플레이오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프로농구/2022-23 시즌 플레이오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0:50:03에 나무위키 한국프로농구/2022-23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투표 수 동률로 6인 수상[아시아쿼터] A B C D E F G [귀화선수] 특별규정 적용[은퇴]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보수총액 20위 이하 또는 만 35세 이상 FA 선수의 이적이므로 보상 없음[2] 모기업이 아닌 메인스폰서의 이름을 단다. KBO 리그 서울 히어로즈와 같은 케이스.[3] 1번 경기는 직전 시즌 챔피언 결정전에서 상대했던 팀의 대결이 편성된다.[LG-SK] A B 상대전적 3승 3패 동률, 공방률에서 LG 5점 우세[4] KBL 역대 최초 두 시즌 연속 40패[5] 투표 수 동률로 6인 수상[최우수] 수비선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