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프로농구/2020-21 시즌

덤프버전 :

||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svg
한국프로농구 역대 시즌 일람
2019-20 시즌2020-21 시즌2021-22 시즌

파일:한국프로농구/2020-21 시즌 타이틀 스폰서 엠블럼.svg
2020-2021 현대모비스 프로농구
기간2020년 10월 9일 ~ 2021년 4월 6일
참가팀원주 DB 프로미, 서울 SK 나이츠, 안양 KGC인삼공사, 전주 KCC 이지스,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부산 kt 소닉붐, 서울 삼성 썬더스,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창원 LG 세이커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스폰서현대모비스[1][2]

1. 오프시즌
1.1. 코칭 스태프 변경
1.2. 트레이드
1.4. 은퇴
1.5. FA
1.5.1. FA 대상자
1.5.2. FA 계약
1.5.2.1. 이적
1.5.2.2. 잔류
1.5.3. 계약 미체결
1.6. 군 입대
1.7. 군 전역
2. 경기 일정
3. 달라지는 점
3.1. 아시아 쿼터 제도 시행
3.2. 소프트캡 도입
3.3. 신인 선수상 자격 기준 확대
3.4. 불가항력에 대한 가이드라인 설정
3.5. 외국 선수 교체 관련
3.6. 월요일 경기 시행
3.7. FA 보상 적용 순위 확대
3.8. 주말·공휴일 경기 시간 변경
4. 정규시즌
4.1. 중계 방송
4.2. 라운드별 경기 결과
4.3. 코칭 스태프 변경
4.4. 선수 이동
4.4.1. 트레이드
4.5. 신인 드래프트
4.6. 주요 사건 및 기록
4.6.1. 10월
4.6.2. 11월
4.6.3. 12월
4.6.4. 1월
4.6.4.1. 군 전역
4.6.5. 2월
4.6.6. 3월
4.6.7. 4월
4.6.7.1. 군 전역
4.7. 구단별 시즌 기록
4.8. 정규 시즌 최종 순위
5.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5.1. 정규 시즌 기록 1위
5.1.1. 국내선수
5.1.2. 외국인 선수
5.2. 시상식
5.2.1. 정규시즌 MVP
5.2.2. 베스트 5
5.2.3. 수비 5걸
5.2.4. 식스맨 상
5.2.5. MIP
5.2.6. 이성구 페어플레이상
5.2.7. 포카리스웨트 인기상
5.2.8. KBL 신인왕
5.2.9. KBL 감독상
6. 플레이오프



1. 오프시즌[편집]



1.1. 코칭 스태프 변경[편집]


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직책 이름
코치강혁
(前 창원 LG 세이커스 코치)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서울 삼성 썬더스
직책 이름
단장김재산
(前 BE전문위원)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
창원 LG 세이커스
직책 이름
감독조성원
(前 명지대 농구부 감독 및 KBSN WKBL 해설위원)
코치이병석
(前 명지대 코치)
코치최승태
(前 전주 KCC 이지스 코치)
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직책 이름
감독강을준
(前 창원 LG 세이커스 감독)
수석코치김병철
(감독대행에서 보직변경)
코치윤지광
(전력분석원에서 승격)


1.2. 트레이드[편집]


  • 정규시즌 개막 전 트레이드만 기재.

2020년 5월 25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SK우동현배병준KGC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SK무상양우섭LG

2020년 5월 29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삼성무상배수용현대모비스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KCC무상김창모DB

2020년 6월 1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전자랜드무상장태빈오리온


1.3. 외국인 선수[편집]


팀명이름포지션비고계약연봉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타이릭 존스센터신규영입24만 달러
저스틴 녹스포워드신규영입25만 달러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자밀 워니센터재계약45만 달러
닉 미네라스포워드신규영입24만 달러(팀 이적)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얼 클락포워드신규영입43만 달러
라타비우스 윌리엄스센터신규영입26만 달러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라건아센터[3]48만 달러
타일러 데이비스센터신규영입34만 달러
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헨리 심스센터신규영입37만 달러
에릭 탐슨포워드신규영입22만 달러
파일:부산 kt 소닉붐 엠블럼.svg마커스 데릭슨포워드신규영입40만 달러
존 이그부누센터신규영입27만 달러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아이제아 힉스센터신규영입45만 달러
제시 고반센터신규영입20만 달러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숀 롱센터신규영입48만 달러
자키넌 간트센터신규영입20만 달러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캐디 라렌센터재계약44만 달러(↑)
리온 윌리엄스센터신규영입26만 달러(팀 이적)
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제프 위디센터신규영입45만 달러
디드릭 로슨포워드신규영입25만 달러


1.4. 은퇴[편집]




1.5. FA[편집]



1.5.1. FA 대상자[편집]




1.5.2. FA 계약[편집]



1.5.2.1. 이적[편집]

모든 팀과의 협상기간 중 계약
선수명원소속팀이적팀계약날짜계약 기간보수 총액보상선수 / 금액
장재석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2020.05.115년5억 2천만원해당없음
김민구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2020.05.112년2억 3천만원해당없음
기승호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2020.05.112년1억 9천만원해당없음
이현민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2020.05.111년7천만원해당없음
함준후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2020.05.123년8천만원해당없음
배강률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2020.05.131년5천만원해당없음
이대성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2020.05.133년5억 5천만원해당없음
박경상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2020.05.143년2억원해당없음
최승욱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2020.05.143년2억원해당없음
정준원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2020.05.141년6천만원해당없음
김지완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2020.05.155년4억원5억 6천만원
유병훈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2020.05.155년2억 5천만원해당없음
유성호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2020.05.153년1억 2천만원해당없음
오용준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파일:부산 kt 소닉붐 엠블럼.svg2020.05.151년8천만원해당없음
김수찬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파일:부산 kt 소닉붐 엠블럼.svg2020.05.151년5천만원해당없음


1.5.2.2. 잔류[편집]

소속팀선수명계약 일시계약 기간보수 총액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강병현2020.05.072년2억원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김건우2020.05.123년3억원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박형철2020.05.123년1억 5천만원
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민성주2020.05.132년8천만원
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홍경기2020.05.132년6천만원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김태술2020.05.131년1억원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윤호영2020.05.133년3억원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김현호2020.05.133년2억 2천만원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김동욱2020.05.131년1억 5천만원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이관희2020.05.131년3억 5천만원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장민국2020.05.133년3억 5천만원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송창무2020.05.142년1억 5백만원
파일:부산 kt 소닉붐 엠블럼.svg조상열2020.05.151년7천만원
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김정년2020.05.151년3천 5백만원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김창모2020.05.223년6천만원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양우섭[4]2020.05.221년3천 5백만원


1.5.3. 계약 미체결[편집]




1.6. 군 입대[편집]











1.7. 군 전역[편집]





2. 경기 일정[편집]




3. 달라지는 점[편집]



3.1. 아시아 쿼터 제도 시행[편집]


2020년 5월 27일 KBL 제3차 임시총회에서 아시아 쿼터 제도 시행을 일본 B-리그 선수들을 대상으로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국내 프로농구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시행된다. 선수 영입 기준은 일본 선수[5]를 대상으로 구단 자율 영입이며, 팀당 1명을 보유할 수 있다. 해당 일본 선수는 외국인 선수 출전이 아닌 국내선수 기준으로 출전하게 된다. 샐러리캡 및 선수 정원에 포함된다. 아울러, 국내 선수의 일본 B-리그 진출 또한 할 수 있게했다. #

이후 2020년 6월 16일, 원주 DB 프로미가 일본의 가드인 나카무라 타이치와 1년간 보수총액 5천만원에 계약을 체결해 역대 1호 아시아 쿼터 선수가 되었다.

국내 선수 중에는 양재민이 일본 B리그의 신슈 브레이브 워리어즈와 계약했다는 소식을 밝히며, 일본 프로리그 아시안쿼터 1호 한국선수가 되었다.


3.2. 소프트캡 도입[편집]


소프트 캡이란 샐러리 캡 제도에 있어서 일종의 예외를 둔다는 의미다. 이전까지는 샐러리 캡을 절대로 넘길 수 없는 하드 캡이 적용됐다. 2021~2022시즌부터 각 구단은 샐러리 캡을 초과해서 선수단을 운영할 수 있다. 대신 초과한 금액에 대해 일정 부분을 KBL에 기금으로 납부해야 한다. 특정 구단이 샐러리 캡을 10% 미만으로 초과하면 초과금의 30%, 10~20% 초과하면 초과금의 40%, 20%를 초과하면 초과금의 50%를 기금으로 납부하는 식이다. 모인 기금은 유소년 농구 발전을 위해 사용된다.

현재 프로농구 샐러리 캡은 25억 원으로 정해져 있다. 각 구단은 차기 시즌부터 원하면 샐러리 캡 이상으로 선수들과 계약을 해 전력을 대거 보강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미국프로농구(NBA)처럼 리그를 대표하는 슈퍼스타들이 한솥밥을 먹는 경우가 KBL에서도 가능해졌다.


3.3. 신인 선수상 자격 기준 확대[편집]


직전에는 해당 시즌 등록 신인 선수들만이 신인상 수상 대상자가 될 수 있었다.이때문에 매년 수준급 신인들이 입단이 적어지면서 민망한 성적으로 신인상을 수상하는 케이스가 많아졌고 이에 기준을 확대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많았었다.

결국 KBL에서는 자격 기준을 프로 2년차까지 확대했다. 대신 프로 1년차에 출전이 가능한 경기에 50% 이상을 출전하지 않아야 2년차에도 신인상 수상 대상자가 될 수 있다. 해외 프로리그 경력자의 경우 아시아쿼터제 적용을 받는 한국 국적이 아닌 선수는 프로 경력 한 시즌 이하, 2분의1 미만 출전 선수여야 신인상 대상이 될 수 있다. 한국 국적 선수 중 해외 프로리그 경험이 있는 선수는 국내 신인 드래프트를 거친 선수들만이 신인상 자격을 갖춘다.


3.4. 불가항력에 대한 가이드라인 설정[편집]


정규리그 54경기와 플레이오프부터 챔피언결정전까지 치른다는 계획이지만 코로나19 등 불가항력에 의해 리그 일정이 변동되면 정규리그 3라운드 27경기 이상 진행 시 순위 결정을 하고, 플레이오프도 실시하기로 했다. 경기 일정이 26경기까지 진행되면 취소 시점 기준의 순위를 적용하고, 플레이오프는 개최하지 않는다. 이에따라 직전 시즌인 2019-20 시즌 처럼 플레이오프를 진행 하지 않고 우승팀 없는 시즌이 되지는 않고 순위대로 우승팀을 가린다.


3.5. 외국 선수 교체 관련[편집]


외국 선수 교체 횟수 소진 관련해서는 천재지변, 전염병, 전쟁 등 불가항력 상황으로 인해 리그가 중단된 기간 내에 선수 의사로 계약이 파기될 경우 교체 횟수에서 제외한다. 기존에는 등록 마감일 전 선수 귀책 사유로 인한 계약 파기, 약물 검사 양성 반응, 선수 자격에 대한 결격 사유가 확인될 경우에 한해 교체 횟수를 제외했다.


3.6. 월요일 경기 시행[편집]


이번 시즌에는 2014-15시즌 이후 6년만에 월요일 경기가 부활한다. 지난 시즌 '화~목요일 1경기, 금요일 2경기' 체제에서 '월~금요일 1경기' 체제로 변경된 것. 이로써 이번 시즌 프로농구는 매일 경기가 열린다. 토요일과 일요일 및 공휴일에는 3~4경기씩 개최된다.


3.7. FA 보상 적용 순위 확대[편집]


자유계약선수(FA) 보상 적용을 받는 선수가 30명에서 50명으로 늘어난다. 왜 50위가 기준이 된 이유가 무엇일까?

KBL은 지난 28일 KBL 이사회를 개최해 FA 보상의 범위를 30위에서 50위로 확대했다. 보수 순위 30위 이내 FA를 영입한 팀은 보상선수 1명과 전 시즌 보수 50% 또는 전 시즌 보수 200%를 원소속 구단에 내주는 건 똑같다. 여기에 31위부터 40위 선수를 영입하면 전 시즌 보수 100%, 41위부터 50위 선수는 전 시즌 보수 50%를 줘야 한다.

50위까지가 보수 평균과 비슷한 1억 5000만원이기 때문이다.

2020년 5월 FA 선수들은 자신이 원하는 구단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역대 가장 많은 15명이 이적했다. 이번 보상 FA 범위 확대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2021년 FA 시장을 지켜봐야 알 수 있다.


3.8. 주말·공휴일 경기 시간 변경[편집]


평일 경기는 기존처럼 오후 7시에 시작한다. 그러나 주말과 공휴일 경기는 무관중 으로 열린 개막 첫주에는 오후 2시& 오후 4시에 열렸고 개막 2번째주부터는 관중 입장을 일부 허용해 기존 오후 3시 & 5시에 열린다.


4. 정규시즌[편집]


2020년 10월 9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리는 서울 SK vs 울산 현대모비스의 공식개막전을 시작으로 2021년 4월 6일까지 179일간 팀당 54경기 총 270경기가 펼쳐진다.


4.1. 중계 방송[편집]




4.2. 라운드별 경기 결과[편집]


해당 라운드가 끝난 시점을 기준으로 하되, 경기 취소로 인한 추후 편성 경기는 포함하지 않음.

[1라운드]

[2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2라운드 전적비고
1전주 KCC 이지스18117.611-6승 3패
2안양 KGC인삼공사18117.6110.06승 3패
3고양 오리온 오리온스18108.5561.06승 3패
4서울 SK 나이츠18108.5561.04승 5패
5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1899.5002.04승 5패
6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1899.5002.02승 7패
7부산 kt 소닉붐1899.5002.06승 3패
8서울 삼성 썬더스18810.4443.05승 4패
9창원 LG 세이커스18810.4443.04승 5패
10원주 DB 프로미18513.2786.02승 7패

[3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3라운드 전적비고
1전주 KCC 이지스27198.704-8승 1패
2안양 KGC인삼공사261511.5773.54승 5패
3고양 오리온 오리온스271512.5564.05승 4패
4부산 kt 소닉붐261412.5384.06승 3패
5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271413.5195.05승 4패
6서울 삼성 썬더스271413.5195.06승 3패
7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271413.5195.05승 4패
8서울 SK 나이츠271215.4447.02승 7패
9창원 LG 세이커스271017.3709.02승 7패
10원주 DB 프로미27720.25912.02승 7패

[4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4라운드 전적비고
1전주 KCC 이지스362511.667-6승 3패
2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362214.6113.08승 1패
3안양 KGC인삼공사362115.5834.05승 4패
4고양 오리온 오리온스362115.5834.06승 3패
5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361818.5007.04승 5패
6부산 kt 소닉붐451818.5007.03승 6패
7서울 삼성 썬더스361620.4449.02승 7패
8서울 SK 나이츠361620.4449.04승 5패
9창원 LG 세이커스361224.33313.02승 7패
10원주 DB 프로미361224.33313.05승 4패

[5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5라운드 전적비고
1전주 KCC 이지스453114.689-5승 4패
2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452817.6222.06승 3패
3고양 오리온 오리온스452619.5784.05승 4패
4부산 kt 소닉붐452421.5336.06승 3패
5안양 KGC인삼공사452421.5336.04승 5패
6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452322.7.05승 4패
7서울 삼성 썬더스452025.44410.04승 5패
8서울 SK 나이츠451827.40012.02승 7패
9원주 DB 프로미451728.13.05승 4패
10창원 LG 세이커스451530.33315.03승 6패

[6라운드]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6라운드 전적비고
1전주 KCC 이지스543618.667-6승 3패
2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543222.5934.04승 5패
3안양 KGC인삼공사543024.5566.06승 3패
4고양 오리온 오리온스542826.5198.02승 7패
5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452727.5009.04승 5패
6부산 kt 소닉붐542628.48110.02승 7패
7서울 삼성 썬더스542430.44412.04승 5패
8서울 SK 나이츠542430.44412.06승 3패
9원주 DB 프로미542430.44412.07승 2패
10창원 LG 세이커스541935.35217.04승 5패


4.3. 코칭 스태프 변경[편집]




4.4. 선수 이동[편집]



4.4.1. 트레이드[편집]


2020년 11월 11일
팀명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팀명
현대모비스이종현, 김세창↔️최진수, 강병현, 신인 드래프트 우선 지명권[6]오리온
KCC권혁준↔️김상규현대모비스
KCC최현민↔️무상오리온
2021년 1월 11일
KGC무상↔️이우정DB
2021년 2월 4일
삼성이관희, 케네디 믹스↔️김시래, 테리코 화이트LG


4.5. 신인 드래프트[편집]


코로나-19로 인해 대학농구리그도 취소된 상태라 드래프트를 11월 23일에 한다는 계획이다. 얼리로 나오는 고려대 3학년 196cm 장신가드 이우석과 연세대 192cm 가드 박지원, 중앙대 센터 박진철, 스트레치형 포워드 연세대 한승희 등이 유력한 로터리픽 후보로 점쳐지고 있다. 한편, 지명 순위는 19-20시즌에 공동 1위로 조기 종료되어 2팀은 순위를 기준으로 1순위~4순위 지명 확률이 1%, 3위~6위팀은 5%, 7위~10위팀은 16%이다.


4.6. 주요 사건 및 기록[편집]



4.6.1. 10월[편집]


  • 10월 9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KBL 창설 이후 사상 최초로 무관중경기로 개막을 시작하였다. 다만 개막은 늦어지지 않고 예년처럼 10월 초에 개막하였다.



  • 10월 17일
    • 10월 11일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완화되면서 10월 17일 부터 유관중 체제로 전환되었다.

  • 10월 29일
    • 부산 kt 소닉붐존 이그부누를 교체한다고 밝히면서 외인 1호 퇴출되었다. 동시에 대체 외국인 선수로 브랜든 브라운을 영입했다. 다만 브라운의 자가격리 기간 때문에 공식적으로 이그부누는 11월 8일까지 kt 소속으로 경기에 출장하게 된다.



4.6.2. 11월[편집]





4.6.3. 12월[편집]


  • 12월 5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적용 단계가 수도권 지역에 한해 12월 28일까지 2.5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수도권 지역 체육관에서 열리는 홈경기가 모두 관중 없이 치러지게 됐다. 2.5단계가 적용되지 않은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그대로 10%의 관중 입장이 허용된다.[7] 이로 인해 12월 31일에 열릴 예정이던 농구영신 경기도 정상 시간대인 7시에 경기를 했고, 올스타전도 취소되었다.
  • 12월 8일
    • 서울 SK의 최준용이 인스타그램 라이브방송 도중 동료 선수인 최성원의 성기를 노출시키면서 5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받았다.


4.6.4. 1월[편집]



4.6.4.1. 군 전역[편집]










4.6.5. 2월[편집]



4.6.6. 3월[편집]




4.6.7. 4월[편집]




4.6.7.1. 군 전역[편집]



4.7. 구단별 시즌 기록[편집]


||



4.8. 정규 시즌 최종 순위[편집]


순위경기수게임차승률비고
1전주 KCC 이지스543618-0.667
2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5432224.00.593
3안양 KGC인삼공사5430246.00.556
4고양 오리온 오리온스5428268.00.519
5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5427279.00.500
6부산 kt 소닉붐54262810.00.481
7서울 삼성 썬더스54243012.00.444[삼성]
8서울 SK 나이츠54243012.00.444[SK]
9원주 DB 프로미54243012.00.444[DB]
10창원 LG 세이커스54193517.00.352[8]


5.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편집]



5.1. 정규 시즌 기록 1위[편집]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5.1.1. 국내선수[편집]


타이틀성명소속팀기록비고
평균 득점 1위허훈부산 kt 소닉붐15.63 득점
평균 어시스트허훈부산 kt 소닉붐7.51개
리바운드양홍석부산 kt 소닉붐6.69개
스틸이대성고양 오리온 오리온스1.87개
블록슛김종규원주 DB 프로미0.76개
3점슛 성공률김동욱서울 삼성 썬더스43.92%역대 최고령 1위
자유투 성공률이관희창원 LG 세이커스83.33%
야투 성공률오세근안양 KGC인삼공사55.47%


5.1.2. 외국인 선수[편집]




5.2. 시상식[편집]



5.2.1. 정규시즌 MVP[편집]


KBL 국내선수 MVP
송교창

KBL 외국인 선수 MVP
숀 롱


5.2.2. 베스트 5[편집]




5.2.3. 수비 5걸[편집]


KBL 수비 5걸
이승현차바위장재석문성곤[최우수]최성원


5.2.4. 식스맨 상[편집]


KBL 식스맨 상
장재석


5.2.5. MIP[편집]


KBL 기량발전 상
정창영


5.2.6. 이성구 페어플레이상[편집]


KBL 페어플레이 상
정영삼


5.2.7. 포카리스웨트 인기상[편집]


KBL 인기상
허웅


5.2.8. KBL 신인왕[편집]


KBL 최우수 신인상
오재현


5.2.9. KBL 감독상[편집]


KBL 감독상
전창진


6. 플레이오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한국프로농구/2020-21 시즌 플레이오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0:46:45에 나무위키 한국프로농구/2020-21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코로나-19로 2019-20 시즌이 조기종료 되면서 2018-19 시즌 우승팀인 현대모비스가 챔피언 자리를 유지하면서 타이틀 스폰서를 연이어 맡게 되었다.[2] 현대모비스가 우승팀 자격으로 타이틀 스폰서를 맡았지만, 그래도 2019-20 시즌 공동 1위였던 SK와 DB가 서로 페인트 존 광고를 나눠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왼쪽 페인트 존에는 SK 텔레콤의 SKT 5GX 오른쪽 페인트 존에는 DB손해보험, 모든 구단이 그런건 아니고 SK 홈구장에서는 SK 텔레콤의 SKT 5GX를 DB 홈구장에서는 DB손해보험만 페인트존에 광고를 넣었다. 하프라인 및 프로농구 명칭은 현대모비스가 차지했다.[3] 귀화선수 특별규정 적용[4] 공식적으로는 창원 LG 세이커스와 FA 계약을 맺었지만 계약 후 사인 앤드 트레이드 방식으로 서울 SK 나이츠로 이적했다.[5] 귀화, 이중국적, 혼혈선수 제외[6] 현대모비스가 3순위, 오리온이 7순위가 나오면서 의미가 없어졌다.[7] 단 확진자가 많은 비수도권 광역단체부산울산은 제외. 즉, 전주, 창원, 원주 경기만 유관중 경기를 진행한다.[삼성] DB(3승 3패)+SK(4승 2패) 상대 3자대결 상대전적 7승 5패 우세로 7위.[SK] DB 상대 3승 3패, 득실 +7[DB] SK 상대 3승 3패, 득실 -7[8] 역대 꼴찌팀 최고 승률[최우수] 수비선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