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 vs 자위대/총 해군 전력 비교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한국군 vs 자위대





1. 개요
2. 주력 전투 수상함: 방공 능력 비교
2.1. 8개 이상의 동시교전 능력이 있는 방공함(이지스함, 준이지스함): 기본 분석
2.2. 이지스 시스템이 있는 방공함: 총계 비교
2.3. 40km 이상의 대공 미사일을 보유한 방공함: 기본 분석
2.4. 준이지스급, 19km 이상의 대공 미사일을 보유한 방공함: 총계
2.5. 일반 전투함의 대공 체계 방어 능력 비교
3. 주력 전투 수상함: 대잠수함전 능력 비교
3.1. 소나: 동급소나를 장착한 수상함과 성능[1][2]
4. 한일 양국의 항공모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 수송함
4.1. 한일 양국의 수평 갑판이 있는 헬기항모, 강습상륙함, 수송함 전력: 기본 분석
4.2.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전차상륙함, 기타 수송전력: 배수량별 비교
5. 한일 양국의 잠수함
5.1. 한일 양국의 잠수함 전력: 기본 분석
5.2. 한일 양국의 잠수함 전력: 배수량별 비교
6. 해군 소속 항공, 기타 전력 비교[3]
8. 함포 전력
9. 각국의 노후화 정도
10. 양국의 주력 전투 수상함과 전체 비교
10.1. 양국의 주력 수상함 비교[4]
1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일단 이 항목을 보기 전에, 현대 전면전은 타 군의 개입 없는 순수한 해군 vs 해군의 싸움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항공자위대와 대한민국 공군의 전력과 육지로 둘러싸인 사실상의 내해인 한국과 일본의 주변 해역을 고려했을때 양측 해군 전력의 전략-전술적 기동은 제한받게 된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서 실제 해전에서는 양국의 전략적 목표 또는 타 군의 협조나 분전에 따라 한국군이 예상했던 것보다 선전할 수도 있고, 그 차이가 더욱더 벌어질 수도 있다.

한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1

한국 해군은 옛날에 비해 격차가 많이 줄었고 지금도 열심히 전력을 증강시키고 있지만 세계적인 전력을 자랑하는 일본 해상자위대에 비하여 열세에 있다. 플랫폼, 즉 함정들의 총 배수량과 숫자와 그 성능에 있어서 한국 해군은 해상자위대에 크게 뒤처진다.그나마 하이급에서 한국함정의 배수량이 더 크고, 성능도 더 우월한 경우는 세종대왕급 이지스함(11,000톤)을 3척이 있지만 이를 제외하면 대부분 열세.[5] 거기에, 하이급의 숫자 역시 한국 해군이 열세에 있다. 그나마 일본이 영토분쟁인 쿠릴 열도, 센카쿠 열도에 해상 자위대의 전력를 다방면으로 분산해야 하는 반면 대한민국 해군은 열악한 북한해군 때문에 일본에게 더 전력을 집중적으로 투입이 가능하는게 위안이다. 근데 웃기게도 해군에서 육군으로 바꾸면 정반대로 내용이 같아진다. [6]


2. 주력 전투 수상함: 방공 능력 비교[편집]



2.1. 8개 이상의 동시교전 능력이 있는 방공함(이지스함, 준이지스함): 기본 분석[편집]


대한민국: 8개 이상의 동시교전 능력: 전투수상함일본: 8개 이상의 동시교전 능력: 전투수상함
파일:(2008_9_27)세종대왕함.jpg파일:(2015.10.23)_2015관함식.jpg파일:320px-Maya_Class_Destroyer_20180703.jpg파일:320px-JS_Atago(2012_c).jpg
세종대왕(DDG-991): 11,000톤Mk.41 VLS: 80셀율곡 이이(DDG-992): 11,000톤Mk.41 VLS: 80셀마야(DDG-179): 10,414톤Mk.41 VLS: 96셀아타고(DDG-177): 10,000톤Mk.41 VLS: 96셀
K-VLS: 48셀K-VLS: 48셀
파일:독도_일출(20541841839).jpg파일:320px-Ashigara_(DDG-178)_in_de_Stille_Oceaan_tijdens_Dawn_Blitz_2015,_-4_september_2015_a.jpg파일:320px-DDG173_JDS_Kongo.jpg
서애류성룡(DDG-993): 11,000톤Mk.41 VLS: 80셀아시가라(DDG-178): 10,000톤Mk.41 VLS: 96셀공고(DDG-173): 9,500톤Mk.41 VLS: 90셀
K-VLS: 48셀
파일:JDS_Kirishima(1998).jpg파일:Myoko.jpg
기리시마(DDG-174): 9,500톤Mk.41 VLS: 90셀묘코(DDG-175): 9,500톤Mk.41 VLS: 90셀
파일:320px-JS_Chōka(2009).jpg파일:320px-JS_Asahi(DD-119)2017_02.jpg
초카이(DDG-176): 9,500톤Mk.41 VLS: 90셀아사히(DD-119): 6,800톤Mk.41 VLS: 32셀
파일:320px-JS_Shiranui(DD-120).jpg파일:320px-JS_Akizuki_(DD-115).jpg
시라누이(DD-120): 6,800톤Mk.41 VLS: 32셀아키즈키(DD-115): 6,800톤Mk.41 VLS: 32셀
파일:320px-Teruzuki_(DD-116).jpg파일:JMSDF_December_2016_09.jpg
테루즈키(DD-116): 6,800톤Mk.41 VLS: 32셀스즈츠키(DD-117): 6,800톤Mk.41 VLS: 32셀
파일:320px-Fuyuzuki(DD-118).jpg파일:5262ED7E-98B8-40AC-AC30-C287A5464EC7.jpg
후유즈키(DD-118): 6,800톤Mk.41 VLS: 32셀하구로(DDG-180): 10,414톤Mk.41 VLS: 96셀


2.2. 이지스 시스템이 있는 방공함: 총계 비교[편집]


국가10,000톤 이상
~ 13,000톤 미만
8,000톤 이상
~ 10,000톤 미만
6,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준이지스급/이지스급
전투수상함 총계
일본44614 [7]
대한민국33 [8]


2.3. 40km 이상의 대공 미사일을 보유한 방공함: 기본 분석[편집]


대한민국: 40km 이상의 대공 미사일을 보유한 방공함일본: 40km 이상의 대공 미사일을 보유한 방공함
파일:320px(DDH-975).jpg파일:320px_(DDH_976).jpg파일:320px(Takanami_2006).jpg파일:Ōnami_(DD-111)2009.jpg
충무공 이순신(DDH-975): 5,520톤Mk.41 VLS: 32셀문무대왕(DDH-976): 5,520톤Mk.41 VLS: 32셀다카나미(DD-110): 6,300톤Mk.41 VLS: 32셀오오나미(DD-111): 6,300톤Mk.41 VLS: 32셀
대공: SM-2 block IIIAK-VLS: 32셀대공: SM-2 block IIIAK-VLS: 32셀대공: ESSM대공: ESSM
파일:320px(DDG_977).jpg파일:320px-Wang_Geon[DDH_978].jpg파일:320px[Makinami]_(DD_112).jpg파일:JS_Sazanami_[DD-113)].jpg
대조영(DDH-977): 5,520톤Mk.41 VLS: 32셀왕건(DDH-978): 5,520톤Mk.41 VLS: 32셀마키나미(DD-112): 6,300톤Mk.41 VLS: 32셀사자나미(DD-113): 6,300톤Mk.41 VLS: 32셀
대공: SM-2 block IIIAK-VLS: 32셀대공: SM-2 block IIIAK-VLS: 32셀대공: ESSM대공: ESSM
파일:320px-(DDH_979).jpg파일:320px-(DDH-981).jpg파일:320px_Suzunami_(DD-114).jpg파일:320px_Murasame_(DD-101).jpg
강감찬(DDH-979): 5,520톤Mk.41 VLS: 32셀최영(DDH-981): 5,520톤Mk.41 VLS: 32셀스즈나미(DD-114): 6,300톤Mk.41 VLS: 32셀무라사메(DD-101): 6,200톤Mk.48 VLS: 16셀
대공: SM-2 block IIIAK-VLS: 32셀대공: SM-2 block IIIAK-VLS: 32셀대공: ESSM대공: ESSMMk.41 VLS: 16셀
파일:320px-DD102harusame.jpg파일:320px-(DD-103).jpg
하루사메(DD-102): 6,200톤Mk.48 VLS: 16셀유우다치(DD-103): 6,200톤Mk.48 VLS: 16셀
대공: ESSMMk.41 VLS: 16셀대공: ESSMMk.41 VLS: 16셀
파일:JS_Kirisame(DD-104)-2016.jpg파일:320px-JDS_Inazuma_DD105.jpg
기리사메(DD-104): 6,200톤Mk.48 VLS: 16셀이나즈마(DD-105): 6,200톤Mk.48 VLS: 16셀
대공: ESSMMk.41 VLS: 16셀대공: ESSMMk.41 VLS: 16셀
파일:320px-[Samidare_DD106].jpg파일:320px-Ikazuchi(DD-107).jpg
사미다레(DD-106): 6,200톤Mk.48 VLS: 16셀이카즈치(DD-107): 6,200톤Mk.48 VLS: 16셀
대공: ESSMMk.41 VLS: 16셀대공: ESSMMk.41 VLS: 16셀
파일:320px_Akebono_(DD_108).jpg파일:320px-Ariake(DD109).jpg
아케보노(DD-108): 6,200톤Mk.48 VLS: 16셀아리아케(DD-109): 6,200톤Mk.48 VLS: 16셀
대공: ESSMMk.41 VLS: 16셀대공: ESSMMk.41 VLS: 16셀
파일:320px-Hatakaze_(DDG_171).jpg파일:320px-JS_Shimakaze(2006).jpg
하타카제(DDG-171): 6,000톤Mk.13 단장 발사대시마카제(DDG-172): 6,000톤Mk.13 단장 발사대
대공: SM-1 MR(40발 적재)대공: SM-1 MR(40발 적재)


2.4. 준이지스급, 19km 이상의 대공 미사일을 보유한 방공함: 총계[편집]


준이지스급, 대공 능력 중심으로 비교[9]
국가준이지스급/이지스급 전투수상함일반적인 전투수상함(동시 교전능력이 미약한 전투함)총계
대공 미사일 사거리: 40km 이상 전투수상함대공 미사일 사거리: 19km 이상 ~ 40km 미만 전투수상함
일본14 [10]121440
대한민국3 [11]61020


2.5. 일반 전투함의 대공 체계 방어 능력 비교[편집]


한국 vs 일본: 최대 방공망을 보유한 함선의 비교
최대 망공망일본대한민국
SM-2: 170 km9척9척
ESSM: 50 km19척
해궁: 20km 이상1척
SM1 MR: 38 km2척
시스패로우: 19 km19척3척
: 10 km6척

대공방어 능력은 현재는 일본이 압도적이다. 일단 50km급의 ESSM을 보유한 일반 구축함만 15척이다. 추가로 ESSM 장비하는 4척의 아키즈키급아사히급 2척도 진수되었다. 또한 19km급의 시스패로우을 보유한 함선도 18척에 달한다. 또한 아키즈키급이나 아사히급은 준이지스급에 필적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12여척의 이지스급, 준이지스급을 한국은 9척의 주력 수상함이 상대하는 것을 상정해야 하는 것이다. 이 수량을 제외한다면 남는 것은 19km급의 광개토대왕급 3척만 남는다. 물론 9km급의 램을 보유한 인천급이나 4km급인 다수의 중소함들이 존재하나 대공 전력만을 상정한다면 유명무실한 전력이다. 공격, 수비상황과 기타 전력의 참여를 감안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 해군은 일본 해상자위대가 보유한 50km급의 ESSM(20척)과 19km급의 시스패로우(19척)에 대응되는 전력이 공백상태다. 여기에 일본은 38km급의 SM1 MR을 보유한 하타카제급도 추가로 2척 존재한다. 다만, 현재 대한민국 해군도 사정거리 170km급의 이지스, 준이지스급 방공구축함을 9척 이상, 20km급의 해궁 대공미사일을 장비한 인천급 batch-2, 3 호위함을 모두 13척 대량 건조하려 하고 있지만 일본도 계속 군함을 건조하고 있기때문에 이 우위는 당분간은 유지될 것이다. 하지만 한국 해군은 해상자위대 같은 대양해군이 아니라 상륙 거부등에 중점을 둔 연안해군이기 때문에 항공전력의 엄호를 상정하고 싸울 수 있다. 문제는 일본도 똑같다는 점... 오히려 공대함 능력이 우세일 정도이다. 이렇게 되면 양상은 제공권 싸움으로 가는데, 상위 문서에 있듯이 항공자위대도 똑같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비등비등해진다. 현재는 한국 해군도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은 3척, KDDX 계획은 6척과 인천급 호위함 batch-3를 계획함으로서 어느 정도 일본의 수상함 전력을 따라가려 하는 중이다. 다만 일본 해상자위대 역시도 마야급 이지스함 추가건조와 33DD 신형 구축함 건조 그리고 30FFM 대량 건조 계획이 잡혀있다. 다만 30FFM도 인천급처럼 초도함에는 VLS가 안 달리는 상황.

한국 vs 일본: 최대 방공망과 배수량의 상대적의 비교[12][13][14]
최대 방공망해상자위대대한민국 해군
만재 배수량1만톤급 이지스9천톤급 이지스7천톤급6천톤급 준이지스6천톤급5천톤급4천톤급2천5백톤급1만1천톤급 이지스9천톤급5천톤급3천톤급2천톤급1천톤급4백톤급
SM-2: 170 km4척 : 마야급, 아타고급5척: 공고급3척 + (3척): 세종대왕급0척 + (6척): KDDX6척: 충무공 이순신급
ESSM: 50 km6척: 아키즈키급, 아사히급[15]14척: 다카나미급, 무라사메급
해궁: 20 ~ 49 km6척: 대구급 + (13척) - 인천급 호위함 배치2,3
SM1 MR: 38 km
시스패로우: 19 km2척: 시라네급16척: 아사기리급, 하츠유키급3척: 광개토대왕급
: 9 km6척: 인천급
미스트랄: 6 km6척: 울산급14척: 포항급18척: 윤영하급
팰렁스: 3.6 km6척: 아부쿠마급

일본은 다수의 함정들이 시스패로우를 장비하고 있다. 시스패로우는 19km의 사거리를 가진 대공 미사일 체계이다. 이것을 보유한 일본의 군함들은 16척의 아사기리급하츠유키급 등으로 모두 4천톤급의 배수량을 가진 전투수상함으로 일선에서 퇴역하거나 지방대로 밀려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아직도 일본의 숫적 주력이다. 헬기구축함인 시라네급 2척도 시스패로우를 보유하고 있다. 그에 비해 한국은 3천톤급인 광개토대왕급 3척만이 시스패로우를 보유한다. 일본의 수상함들은 미들급의 방공망에 치중해서 시스패로우 말고도 50km의 유효사거리를 보유한 ESSM을 도입하고 있으며 6천톤급의 군함들에 다량 배치하고 있다. 10여개의 동시교전 능력을 보유하며 준이지스급의 성능을 보이는 6척의 아키즈키급과 아사히급도 여기에 해당한다. 그리고 실질적 주력인 14척의 다카나미급무라사메급도 둘 다 6천톤급이며 ESSM을 장비하고 있다. 그에 비하여 한국 해군은 극단적인 모습을 많이 보여준다. 충무공 이순신급만 하더라도 배수량은 일본의 중간급에 밀리는 5천톤급이지만 SM2 미사일을 장비하여 최대 74~167km 방공망을 구축하고 있다. 그에 반해 인천급 배치1을 보면 배수량만은 일부 소스에서 3천톤급에도 달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건조하는 동급의 군함들에 비하여 없다시피한 방공망을 가지고 있어 후속함인 대구급에서 KVLS와 해궁을 장비하고다. 그 아래급인 울산급(2천톤급), 동해급(1천톤급)은 초기에 건조한 문제도 있겠지만 더욱 열악한 모습을 보여준다. 사실상 대간첩선 임무를 띄고 있기 때문에 4km 남짓한 사거리의 미스트랄을 보유하여 사실상 헬기 등에 겨우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종합하면 일본의 경우에 4천~6천톤급의 수상함들이 숫적 주력인 동시에 19~50km에 달하는 방공망을 가진 함선들이 다수다. 이에 비하여 한국은 소수의 5천톤~1만2천톤급 함선들이 하이급의 방공망을 추구하는 동시에 다수의 1백~2천톤급 함선들이 로우급을 추구하거나 방공망을 포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을 중심으로 생각하면 일본 해자대에 대응하는 열쇠는 미들급 방공망에 있다. 일본 해자대는 높은 배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의 방공망인 미들급에 다수 의존하고 있기는 하지만 일단 많은 숫자를 자랑한다. 또한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공무기체계의 혁신적인 변화[16]가 일어나는 중이다.[17] 때문에 빠른 시간안에 가성비가 높은 해상형 미들급 대공무기체계를 구축하는 게 한국 해군에게 시급하다.


3. 주력 전투 수상함: 대잠수함전 능력 비교[편집]


국가대한민국일본
이름세종대왕급충무공 이순신급광개토대왕급인천급마야급아타고급공고급아키즈키급아사히급다카나미급무라사메급아사기리급하츠유키급아부쿠마급
이지스 유무이지스 이지스 이지스 이지스 준이지스 준이지스
동급함정 보유 수량3척 6척3척6척2척 2척 4척 4척 2척 5척9척8척5척6척
만재배수량(톤)11,0005,5203,8853,25110,25010,0009,5006,8006,8006,3006,2005,2004,0002,900
소나(헐마운트)DSQS-21 BZ-MDSQ-23DSQS-21BZSQS-240KAN/SQS-53DAN/SQS-53CNEC OQS-102(SQS-53라이선스)OQQ-22 대잠 시스템OQQ-24 대잠 시스템OQS-5-1OQS-5OQS-4AOQS-4OQS-8
예인소나SQR-220KSQR-220K미공개MFTAOQR-2 (SQR-19 라이선스)OQR-4OQR-2OQR-2OQR-1


3.1. 소나: 동급소나를 장착한 수상함과 성능[18][19][편집]


소나 이름소나 개발시기소나를 장착한 수상함만재배수량보유 국가초도함 취역소나의 탐지 범위
OQQ-242010년대아사히급 구축함6,800톤일본2018년0 m ~100.0 km
AN/SQS-53D1990년대마야급 구축함10,250톤일본2018년 진수0 m ~74.1 km
AN/SQS-53C1990년대아타고급 구축함10,000톤일본2007년0 m ~74.1 km
OQS-102(SQS-53라이선스)1990년대공고급 구축함9,500톤일본1993년0 m ~74.1 km
OQS-52000년대다카나미급 구축함6,300톤일본2003년0 m ~74.0 km
OQS-52000년대무라사메급 구축함6,200톤일본1996년0 m ~74.0 km
DSQS-24D1990년대Naresuan급 호위함[20]2,985톤태국1994년0 m ~44.0 km
DSQS-24C1990년대Kasturi급 초계함(FS 1500 초계함)1,850톤말레이시아1984년0 m ~44.0 km
Thales UMS 41322000년대Martadinata급 호위함(SIGMA 10514)[21]2,365톤인도네시아2017년0 m ~29.6 km
DSQS-21C1980년대Tapi급 초계함[22]1,191톤태국1971년0 m ~29.6 km
DSQS-21C1980년대Ratanakosin급 초계함[23]960톤태국1986년0 m ~29.6 km
DSQS-21 BZ-M1980년대세종대왕급 구축함11,000톤한국2008년0 m ~29.6 km
DSQS-21 BZ1980년대광개토대왕급 구축함3,885톤한국1998년0 m ~29.6 km
DSQS-21B1980년대Lütjens급 구축함(Type 103)4,720톤독일1969년0 m ~29.6 km
SQS-240K2010년대인천급 호위함3,885톤한국2011년0 m ~10.0 km
PHS-321980년대포항급 초계함1,220톤한국1984년0 m ~7.4 km


4. 한일 양국의 항공모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 수송함[편집]



4.1. 한일 양국의 수평 갑판이 있는 헬기항모, 강습상륙함, 수송함 전력: 기본 분석[편집]


대한민국: 헬기항모, 강습상륙함일본: 헬기항모, 강습상륙함
파일:640px-해군_독도함.jpg파일:DDH-183[이즈모]-600.jpg
독도(LPH-6111): 19,000톤유도레이더: SMART-L이즈모(DDH-183): 27,000톤위상배열 레이더: OPS-50
길이: 200m항공기: 12대(헬기)길이: 248m항공기: 20대
파일:마라도함-01.jpg파일:640px-DDH-184_かが.jpg
마라도(LPH-6112 ): 19,000톤위상배열 레이더: EL/M-2248 MF-STAR카가(DDH-184): 27,000톤위상배열 레이더: OPS-50
길이: 200m항공기: 12대(헬기)길이: 248m항공기: 20대
파일:DDH-181-휴우가.jpg
휴우가(DDH-181): 18,000톤위상배열 레이더: FCS-3
길이: 197m항공기: 10대(헬기)
파일:(640px)DDH_182_Ise.jpg
이세(DDH-182): 18,000톤위상배열 레이더: FCS-3
길이: 197m항공기: 10대(헬기)
파일:640px-LST-4001.jpg
오오스미(LST 4001): 14,000톤레이더:OPS-14C/OPS-28D
길이: 178m항공기: 6대(헬기)
파일:640px-LST-4002.jpg
시모키타(LST 4002): 14,000톤레이더:OPS-14C/OPS-28D
길이: 178m항공기: 6대(헬기)
파일:640px-LST-4003_Kunisaki.jpg
쿠니사키(LST 4003): 14,000톤레이더:OPS-14C/OPS-28D
길이: 178m항공기: 6대(헬기)

※ 수평갑판: 여기서 수평갑판은 항공모함과 같이 함교와 상부구조물이 함의 중앙을 차단하지 않는 갑판을 말한다. 한국의 LST-2, 고준봉급은 여기에 해당하지 못하므로 제외한다.


4.2.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전차상륙함, 기타 수송전력: 배수량별 비교[편집]


함종대한민국 해군해상자위대
보유 대수추가 주문기타보유 대수추가 주문기타
3만톤 이상 ~ 4만톤 미만 항모1척[24]
2만5천톤 이상 ~ 3만톤 미만 헬기항모2척이즈모급
1만5천톤 이상 ~ 2만톤 미만 헬기항모2척휴우가급
1만5천톤 이상 ~ 2만톤 미만 LHD2척독도급
LPD4척LST-23척오오스미급 수송함
LST4척고준봉급
500톤급 수송함6척3척물개급 상륙정4척
50톤 이하 수송정12척
100톤 이상 ~ 200톤 미만 공기부양정3척무레나급6척미국의 LCAC
95톤 공기부양정2척2척솔개급
60톤 공기부양정

일본이 이즈모급 헬기항모 2대를 개조하여 고정익 항공기를 탑재하는 정식 항모로서 운용하겠다는 방침과 F-35B도입을 확정했다. 이에따라 개조가 완료된후 F-35B에 공대함 미사일을 탑재하여 운영하기 시작하면 안그래도 해상자위대에 비해 방공전력이 후달리는 대한민국 해군에 매우 위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군도 현재 항모 도입을 천명했기에 항공모함에 관해서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 현재 대한민국 해군도 2020~2024년까지 국방증기계획으로 경항공모함를 추진하고 F-35B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5. 한일 양국의 잠수함[편집]



5.1. 한일 양국의 잠수함 전력: 기본 분석[편집]


대한민국: 디젤 잠수함일본: 디젤 잠수함
파일:손원일급-위키백과.jpg파일:320px_Jangbogo_SS-61.jpg파일:320px-JS_Hakuryu_(SS-503).jpg파일:320px_Oyashio_SS590.jpg
손원일/AIP수중 1,860톤장보고수중 1,285톤소류/AIP수중 4,200톤오야시오수중 4,000톤
(SS-072)(SS-061)(SS-501)(SS-590)훈련함
정지/AIP수중 1,860톤이천수중 1,285톤운류/AIP수중 4,200톤미치시오수중 4,000톤
(SS-073)(SS-062)(SS-502)(SS-591)훈련함
안중근/AIP수중 1,860톤최무선수중 1,285톤하쿠류/AIP수중 4,200톤우즈시오수중 4,000톤
(SS-075)(SS-063)(SS-503)(SS-592)
김좌진/AIP수중 1,860톤박위수중 1,285톤켄류/AIP수중 4,200톤마키시오수중 4,000톤
(SS-076)(SS-065)(SS-504)(SS-593)
윤봉길/AIP수중 1,860톤이종무수중 1,285톤즈이류/AIP수중 4,200톤이소시오수중 4,000톤
(SS-077)(SS-066)(SS-505)(SS-594)
유관순/AIP수중 1,860톤정운수중 1,285톤코쿠류/AIP수중 4,200톤나루시오수중 4,000톤
(SS-078)(SS-067)(SS-506)(SS-595)
홍범도/AIP수중 1,860톤이순신수중 1,285톤진류/AIP수중 4,200톤쿠로시오수중 4,000톤
(SS-079)(SS-068)(SS-507)(SS-596)
이범석/AIP수중 1,860톤나대용수중 1,285톤세키류/AIP수중 4,200톤야에시오수중 4,000톤
(SS-081)(SS-069)(SS-508)(SS-598)
신돌석/AIP수중 1,860톤이억기수중 1,285톤세이류/AIP수중 4,200톤세토시오수중 4,000톤
(SS-082)(SS-071)(SS-509)(SS-599)
쇼류/AIP수중 4,200톤모치시오수중 4,000톤
(SS-510)(SS-600)
오류/리튬이온수중 4,200톤
(SS-510)

5.2. 한일 양국의 잠수함 전력: 배수량별 비교[편집]


수중 배수량 기준 비교
수중 배수량대한민국 해군해상자위대
보유 대수진수(전투불가)기타보유 대수진수(전투불가)기타
수중 4,200톤소류급: 10척소류급: 1척소류급 1척은 취역준비 중으로 전투 불가
수중 4,000톤오야시오급: 11척오야시오급 2척은 훈련함
수중 3,705톤KSS-III: 1척KSS-III 1척은 취역준비 중으로 전투 불가
수중 1,860톤214급 잠수함: 7척214급 잠수함: 2척214급 2척은 취역준비 중으로 전투 불가
수중 1,285톤209급 잠수함: 9척
수상 배수량 기준 비교
수상 배수량 기준 함종대한민국 해군해상자위대
보유 대수추가 주문기타보유 대수추가 주문기타
2,750톤~3,000톤 잠수함9척KSS-III.21척4척[25]10척(+2척)(소류급), 11 척(오야시오급),29SS
2,300톤~2,400톤 잠수함
1,475톤~1,900톤 잠수함9척214급 잠수함.
1,080톤~1,300톤 잠수함9척209급 잠수함.

역시 일본이 우세이다. 우선 잠수함의 톤수 부터 차이가 난다. 우리 해군은 다 1800톤급 이하인 잠수함들로만 이루어져 있는 반면 일본은 배수량이 최소 3000톤급 이상인 잠수함들만을 최전선에서 굴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수중배수량이 4200톤이나 되는 소류급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현재 3000톤급인 장보고-3을 이제 취역하는 수준이다. 물론 작은 톤수로 은밀성 정도에서만은 우세할 수도 있지만 덩치 차이를 극복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이다.

향후 전망으로 kss-lll급을 9척을 배치하고 그거보다 더 큰 BATCH-2형을 건조하며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원자력 잠수함 건조가 성사될 경우에는 차이를 많이 줄일 수 있다.[26][27]


6. 해군 소속 항공, 기타 전력 비교[28][편집]


파일:320px-P-3_ROK-Jakarta.jpg파일:320px-P-3c_03l.jpg
해상자위대의 P-3C
파일:320px-JMSDF_P-1.jpg
대한민국 해군의 P-3C해상자위대의 P-1

종류대한민국 해군의 항공기해상자위대의 항공기
보유 대수세부 사항보유 대수세부 사항
해상초계기16기P-3C: 8대93기P-3(P-3C): 68기
P-3(EP-3C): 4기
P-3(OP-3C): 5기
P-3(UP-3C): 1기
P-3(UP-3D): 3기
P-3CK: 8대P-1: 12기
기타항공기5기표적예인용 CARV-ll87기후지 T-5 훈련기: 35기


파일:320px-2012._9._인천상륙작전.jpg파일:320px-Kawasaki_MCH-101.jpg
대한민국 해군의 링스해상자위대의 MCH-101
파일:320px-해군_해난구조대.jpg파일:320px-SH-60J.jpg
대한민국 해군의 의 SH-60P해상자위대의 SH-60J

종류대한민국 해군의 헬기해상자위대의 헬기
보유 대수세부 사항보유 대수세부 사항
헬기51기AW159: 8기137기UH-60J 시호크: 15기
슈퍼링스 Mk.99A: 11기SH-60J 시호크: 42기
링스 Mk.99: 11기SH-60K 시호크: 53기
UH-60P: 8기MCH-101: 10기
UH-1H: 8기CH-101: 2기
SA-319B(훈련용): 5기TH-135(훈련용): 15기

일단 P-3의 보유대수 차이는 5배수 이상이며, 이는 P-3가 공대함 미사일을 한번에 4발씩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했을 때 굉장히 위협적이다. 대잠 헬기 또한 마찬가지로 한국 해군의 경우 수송용인 8기정도의 UH-60P, 그 비슷한 수의 UH-1H, 훈련용인 알루엣-3 5기를 제외하면 대잠헬기는 겨우 링스 20여대 뿐인데 SH-60 시리즈에 비하면 대잠 능력과 체공시간등등 여러부분에서 열세를 보인다. 한국 해군은 차기 대잠헬기 역시 링스 계열로 선택해 여론의 비판을 받았는데, 예산 문제 상 어쩔 수 없는 선택인 것으로 보인다. 숫자도 훨씬 떨어지는데 성능까지 많이 떨어지는 부분이다.거기다 일본은 새 대잠기인 P-1을 제작해서 생산, 운영까지 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는 향후 등장할 수리온 대잠 버전에 기대를 걸어야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일본은 성능이 좋은 SH-60 계열의 성능 향상 프로그램을 추진중이기 때문에# 앞으로 한일간의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예측된다.[29]


7. 대함 미사일 플랫폼 비교[편집]


(한국 vs 일본) 대함 미사일 플랫폼(전투수상함) 비교
일본대한민국
이름배수량동급 함선 수량척당 미사일동급 함선 대함 미사일 총 수량이름배수량동급 함선 수량척당 미사일동급 함선 대함 미사일 총 수량
아타고급 이지스함10,000톤2816세종대왕급 이지스함10,600톤31648
공고급 이지스함9,500톤4832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5,600톤6848
아키즈키급 준이지스함6,800톤4832광개토대왕급 구축함3,900톤3824
다카나미급 구축함6,401톤5840대구급 호위함3,800톤6864
무라사메급 구축함6,198톤9872인천급 호위함3,600톤6848
하타카제급 구축함5,900톤2816울산급 호위함2,180 ~ 2,350톤6848
아사기리급 구축함4,900톤8864포항급 초계함1,220톤14456
하츠유키급 구축함4,064톤6848윤영하급 미사일 고속함(PKX-A형)570톤18472
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4,064톤6848인천급 Batch-3 호위함
아사히급 준이지스함7,000톤2816
마야급 이지스함10,250톤188
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240톤6424
총계56척416발 57척352발

일본이 함대함 미사일 수로도 상당수 앞서있는 상황이다.일본은 55척에서 416발의 대함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으며 한국은 57척에서 352발을 발사 할 수 있다.하지만 이게 다가 아니다.P-3P-1에도 하푼등의 공대함 미사일들을 탑재하여 대함임무를 할 수 있는데 한마디로 낮은 확률로 항공자위대가 제공권을 확보할 경우 일본의 그 많은 P-3, P-1들이 엄청난 하푼 및 ASM 공세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함 임무를 주 목표 중 하나로 상정하는 일본 항공력 또한 엄청난 양의 공대함 체계를 운용하며[30] XASM-3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은 개발 완료되었지만 미션 컴퓨터의 문제로 현재는 운용하지 않는다. 다만 제대로된 지대함 미사일을 거의 운용하지 않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대량의 지대함 미사일까지[31]운용하는 것을 보면 총 대함미사일 수는 완전 열세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한국은 전체 대함미사일 플랫폼의 70% 이상이 다 초계함 및 고속함등 연안전력이라는 문제점도 있다.


8. 함포 전력[편집]


함포 전력 비교
함포 구경일본대한민국
127mm1612

수적으로 일본이 유리한 상황이다. 다만 대한민국 해군의 경우에는 오랫동안 북한과 대치하느라 자연스럽게 함포가 발달하게 되었다. 그런 덕에 일단 해상자위대보다 해상사격훈련이 빈도가 높은 편이다. 그리고 5인치 함포의 경우 한국 해군은 구축함급 12척으로 해상자위대보다 16척 보다 밀리지만[32]추후 FC,PCC들이 FFG(인천급)을 교체하면 5인치 함포를 갖춘 함선이 20척을 넘게 된다.다만 차기고속정(PKX-B)은 3인치로 확정되었다.하지만 일본의 구축함, 고속정들의 합 수가 더 많기 때문에 당연 함포의 숫자로 본다면 해자대가 위며 아키즈키급아사히급에서 보듯 지속적으로 새 함에 127mm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다.


9. 각국의 노후화 정도[편집]


(한국 vs 일본) 2,500톤급 이상 주력 전투수상함들의 취역 년도 비교
일본대한민국
이름만재배수량(톤)취역 년도이름만재배수량(톤)취역 년도
하구로(마야급) 이지스함(27DDG)10,250톤2019년
마야(마야급) 이지스함(27DDG)10,250톤2018년
시라누이(아사히급) 준이지스함(DD-120)7,000톤2017년
아사히(아사히급) 준이지스함(DD-119)7,000톤2016년광주(인천급) 호위함(FFG-816)3,251톤2016년
충북(인천급) 호위함(FFG-816)3,251톤
강원(인천급) 호위함(FFG-815)3,251톤
후유즈키(아키즈키급) 준이지스함(DD-118)6,800톤2014년전북(인천급) 호위함(FFG-813)3,251톤2014년
스즈츠키(아키즈키급) 준이지스함(DD-117)6,800톤경기(인천급) 호위함(FFG-812)3,251톤
테루즈키(아키즈키급) 준이지스함(DD-116)6,800톤2013년인천(인천급) 호위함(FFG-811)3,251톤2013년
아키즈키(아키즈키급) 준이지스함(DD-115)6,800톤2012년서애 유성룡(세종대왕급) 이지스함(DDG-993)11,000톤2012년
율곡 이이(세종대왕급) 이지스함(DDG-992)11,000톤2010년
2010년대
아시가라(아타고급) 이지스함(DDG-178)10,000톤2008년세종대왕(세종대왕급) 이지스함(DDG-991)11,000톤2008년
최영(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DDH-981)5,520톤
아타고(아타고급) 이지스함(DDG-177)10,000톤2007년강감찬(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DDH-979)5,520톤2007년
스즈나미(다카나미급) 구축함(DD-114)6,401톤2006년왕건(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DDH-978)5,520톤2006년
사자나미(다카나미급) 구축함(DD-113)6,401톤2005년대조영(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DDH-977)5,520톤2005년
마키나미(다카나미급) 구축함(DD-112)6,401톤2004년문무대왕(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DDH-976)5,520톤2004년
오오나미(다카나미급) 구축함(DD-111)6,401톤2003년충무공 이순신(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DDH-975)5,520톤2003년
다카나미(다카나미급) 구축함(DD-110)6,401톤
아리아케(무라사메급) 구축함(DD-109)6,198톤2002년
아케보노(무라사메급) 구축함(DD-108)6,198톤
이카즈치(무라사메급) 구축함(DD-107)6,198톤2001년
사미다레(무라사메급) 구축함(DD-106)6,198톤2000년양만춘(광개토대왕급) 구축함(DDH-9723)3,900톤2000년
이나즈마(무라사메급) 구축함(DD-105)6,198톤
2000년대
키리사메(무라사메급) 구축함(DD-104)6,198톤1999년을지문덕(광개토대왕급) 구축함(DDH-972)3,900톤1999년
유우다치(무라사메급) 구축함(DD-103)6,198톤
초카이(공고급) 이지스함(DDG-176)9,500톤1998년광개토대왕(광개토대왕급) 구축함(DDH-971)3,900톤1998년
하루사메(무라사메급) 구축함(DD-102)6,198톤1997년
무라사메(무라사메급) 구축함(DD-101)6,198톤1996년
묘코(공고급) 이지스함(DDG-175)9,500톤
기리시마(공고급) 이지스함(DDG-174)9,500톤1995년
2014년 기준: 20년 이상된 함선 구분선
공고(공고급) 이지스함(DDG-173)9,500톤1993년
토네(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DE-234)2,550톤
치쿠마(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DE-233)2,550톤
우미기리(아사기리급) 구축함(DD-158)4,900톤1991년
센다이(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DE-232)2,550톤
오요도(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DE-231)2,550톤
사와기리(아사기리급) 구축함(DD-157)4,900톤1990년
세토기리(아사기리급) 구축함(DD-156)4,900톤
하마기리(아사기리급) 구축함(DD-155)4,900톤
진츠(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DE-230)2,550톤
1990년대
2014년 기준: 25년 이상된 함선 구분선
아부쿠마(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DE-229)2,550톤1989년
아마기리(아사기리급) 구축함(DD-154)4,900톤
유우기리(아사기리급) 구축함(DD-153)4,900톤
야마기리(아사기리급)(DD-152/TV-3515)4,900톤
(2004년) 훈련함(TV-3515)으로 전용
(2011년) 구축함 재취역
아사기리(아사기리급)(DD-151/TV-3516)4,900톤1988년
(2005년) 훈련함(TV-3516)으로 전용
(2012년) 구축함 재취역
시마카제(하타카제급) 구축함(DDG-172)4,725톤
시마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33/TV-3513)4,064톤1987년
DD-133 (1999년) 훈련함(TV-3513)으로 전용
아사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32)4,064톤
하타카제(하타카제급) 구축함(DDG-171)4,674톤1986년
세토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31/TV-3518)4,064톤
DD-131 (2012년) 훈련함(TV-3518)으로 전용
마츠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30)4,064톤
야마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29)4,064톤1985년
하루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28) (2013년) 퇴역 4,064톤
이소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27) (2014년) 퇴역 4,064톤
사와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25) (2013년) 퇴역 4,064톤1984년
미네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24) (2013년) 퇴역 4,064톤
2014년 기준: 30년 이상된 함선 구분선
하마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26) (2012년) 퇴역 4,064톤1983년
시라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23/TV-3517) (2011년) 훈련함으로 전용 4,064톤1982년
하츠유키(하츠유키급) 구축함(DD-122) (2010년) 퇴역 4,064톤
구라마(시라네급) 구축함(DDH-144) 퇴역 7,620톤1981년
시라네(시라네급) 구축함(DDH-143) (2014년) 퇴역 추정 7,620톤1980년
1980년대

일단 표로 보다시피 일본의 함정 노후화가 한국보다 상당히 심화되어있다. 2014년 기준으로 20년 이상된 2,500톤 이상 전투수상함은 24척에 달한다. 2017년이 된다면 그 숫자는 늘어나 27척이 노후화된 함선들이 되는 것이다. 그에 비하여 운용 중인 전투수상함 중 20년 미만인 것은 2017년 기준 25척이다. 물론 일본이 대한민국과 비슷하게 노령이된 함선들을 30년까지 유지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운용하는 함선들이 젊어지는 것은 아니기에 30년 가량 되면 퇴역의 압박이 심해진다. 실제로 일본은 하츠유키급이나 아사기리급 중 심각하게 오래된 함선들을 퇴역시키거나 지방대로 보내고 있다. 또한 그 중 일부는 훈련함으로 사용하는 중이다.하지만 여기서 절대 간과해서는 안되는 점은 20년미만의 구축함도 일본이 10척이나 더 많으며[33] 노후화가 되었지만 숫적 우위는 아직 유효하다.


10. 양국의 주력 전투 수상함과 전체 비교[편집]


국가사진[34]함급배수량척수방공 레이더기타
대한민국파일:xnkFItd.jpg세종대왕급
구축함
11,000 톤3 척이지스
AN/SPY-1D(V5)
AN/SPY-1D를
일본과 공동구매
VLSMk.41 VLS: 48셀x1, 32셀x1
K-VLS: 48셀x1
소나DSQS-21 BZ-M, SQR-220K 흑룡 예인소나
일본파일:WJeQ086.jpg아타고급
구축함
10,000 톤2 척이지스
AN/SPY-1D(V5)
AN/SPY-1D를
대한민국과 공동구매
VLSMk.41 VLS: 64셀x1, 32셀x1
소나AN/SQS-53C , MFTA(다기능 예인소나)
일본파일:320px-JS_Myōkō_at_Pearl_Harbor,_-27_Jun._2012_a.jpg공고급
구축함
9,500 톤4 척이지스
AN/SPY-1
AN/SPY-1
VLSMk.41 VLS: 90셀
소나NEC OQS-102(SQS-53라이선스)/OQR-2 TACTASS 예인소나(SQR-19 소나 라이선스)
일본파일:320px-Fuyuzuki(DD-118).jpg아키즈키급
구축함
6,800 톤4 척준이지스
FCS-3A
FCS-3A 다기능 위상배열 레이더
VLSMk.41 VLS: 16셀; Mk.25 쿼드팩 캐니스터: ESSM(사거리 50km) x 64기
소나OQQ-22 대잠 시스템
일본파일:320px-JS_DD115_Akizuki.jpg아사히급
구축함
6,800 톤2 척준이지스
OPY-1 대공 레이더 시스템
OPY-1 대공 레이더 시스템
VLSMk.41 VLS: 32셀: ESSM(사거리 50km)/아스록
소나OQQ-24 대잠 시스템
OQR-4 예인소나
일본파일:320px-JDS_Makinami_(DD_112).jpg다카나미급
구축함
6,300 톤5 척일반 구축함
OPS-24B 대공 레이더
2003년 취역
VLSMk.41 VLS: 32셀: ESSM(사거리 50km)/아스록
소나OQS-5-1 소나
OQR-2 예인소나
일본파일:320px-Ariake_(DD_109).jpg무라사메급
구축함
6,200 톤9 척일반 구축함
OPS-24B 대공 레이더
1996년 취역
VLSMk.48 VLS: 16셀: ESSM(사거리 50km)
Mk.41 VLS: 16셀: 아스록
소나OQS-5 소나
OQR-2 예인소나
대한민국파일:320px-Choi_Young_(DDH-981).jpg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5,520 톤6 척일반 구축함
/대공 레이더: 레이시온 AN/SPS-49(V) 5 (C/D 밴드); 2차원 대공레이더
/대수상 레이더: MW-08
2003년 취역
VLSMk.41 VLS: 32셀: SM-2 Block IIIA(사거리 167km)
K-VLS: 24셀: 홍상어(아스록)
소나아틀라스 DSQ-23 (함수)
SQR-220K 흑룡 수동 선배열 예인소나
일본파일:320px-DD_158_-_JDS_Umigiri_BB_2.jpg아사기리급
구축함
5,200 톤8 척일반 구축함
OPS-14/OPS-24 대공 레이더
1986년 취역
VLSVLS없음/Mk.29 런처: 8연장: 시스패로우(사거리 19km)
8연장 아스록 런처 x 1
소나OQS-4A 소나
OQR-1 예인소나
일본파일:320px-JMSDF_DD-127_Isoyuki.jpg하츠유키급
구축함
4,000 톤5 척(2척)일반 구축함
OPS-14 대공 레이더/FCS-2 화력관제 레이더
1982년 취역
VLSVLS없음/Mk.29 런처: 8연장: 시스패로우(사거리 19km)
8연장 아스록 런처 x 1
소나OQS-4 소나
OQR-1 예인소나
한국파일:320px-2009년5월15일_해군_1함대훈련_(7193824738).jpg광개토대왕급
구축함
3,885 톤3 척일반 구축함
AN/SPS-49(V) 2차원 대공 레이더/MW-08 대수상/2 × Signaal STIR 180 화력관제 레이더
1998년 취역
VLSMk.48 VLS: 16셀: 시스패로우(사거리 19km)
소나아틀라스 DSQS-21BZ (함수)
한국파일:320px-20130626_대한해협_전승행사.jpg인천급
호위함
3,251 톤6 척일반 호위함
SPS-550K 3차원 대공 레이더/SPG-540K 목표추적 레이더
2013년 취역
VLSVLS 없음./CIWS: RIM-116 RAM Block I(사거리 9km)
소나SQS-240K 헐마운트 소나
일본파일:JS_Abukuma_(DE-229)_(1).jpg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
2,900톤6 척일반 호위구축함
OPS-14 C 대공 레이더(정보없음)/FCS-2-21B 목표추적 레이더
1989년 취역
VLSVLS 없음./CIWS: 팰렁스
8연장 아스록 런처 x 1
소나OQS-8

2014년 기준, 진수된 전투수상함 중 가장 강력한 전투수상함 중심, 배수량 순으로 나열함. 단순히 배수량은 크지만 개함방공 능력이 너무 미흡한 OPV나 전투수상함은 제외한다.


10.1. 양국의 주력 수상함 비교[35][편집]


함종대한민국 해군해상자위대
보유 대수추가 주문함명보유 대수추가 주문함명
1만톤 이상 이지스3척3척세종대왕급3척3척[36]아타고급,27DDG
8천톤 이상 ~ 1만톤 미만 이지스6척KDDX4척공고급
6천톤 이상 ~ 7천톤 이하 준이지스함6척3척아키즈키급, 아사히급
6천톤 이상 ~ 7천톤 미만 전투함14척다카나미급, 무라사메급
5천톤 이상 ~ 6천톤 미만 전투함6척충무공 이순신급2척하타카제급
4천톤 이상 ~ 6천톤 이하 준이지스함22척30FFM
4천톤 이상 ~ 5천톤 미만 전투함16척아사기리급, 하츠유키급
3천톤 이상 ~ 4천톤 미만 전투함10척13척광개토대왕급, 인천급6척다목적 소해초계함
2천5백톤 이상 ~ 3천톤 미만 전투함6척아부쿠마급
2천톤 이상 ~ 2천5백톤 미만 전투함6척울산급
1천톤 이상 ~ 1천5백톤 미만 전투함14척포항급
5백톤 이상 ~ 6백톤 미만 미사일 고속함18척윤영하급
2백톤 이상 ~ 3백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1척15척[37]PKX-B6척하야부사급
1백톤 이상 ~ 2백톤 미만 고속정50여척[38]참수리급


11. 관련 문서[편집]



[1] http://cmano-db.com/[2] https://ko.wikipedia.org/wiki/OQS-5[3] https://en.wikipedia.org/wiki/Japan_Maritime_Self-Defense_Force#Aircraft[4] 배수량이나 군함의 등급 기중에 관해서는 해군력, 호위함/비교, 초계함 항목을 참고.[5] 세종대왕급 조차도 함정 착함 장치등의 보조 시스템 미탑재와 밀리는 대잠능력등 열세인 부분이 여러있다.[6] 그래서 오죽하면 일본은 상륙해도 육지 점령을 못하고 한국은 상륙도 못한다는 말도 정말 많이 있다. 제 2차 포에니 전쟁(?)[7]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Japan_Maritime_Self-Defense_Force_ships[8]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epublic_of_Korea_Navy_ships[9]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navies[10]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Japan_Maritime_Self-Defense_Force_ships[11]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epublic_of_Korea_Navy_ships[12] 기뢰함, 수송함이나 헬기항모 등은 제외하였음.[13] 5천톤급은 5천톤 이상 6천톤 미만을 나타냄. 2천톤급은 인천급과 울산급의 구별을 위해 2천5백톤(2천5백톤 이상 ~ 3천톤미만)과 2천톤(2천톤 이상 ~ 2천5백톤 미만)단위로 나눔.[14] 동시교전 능력이 10개 이상인 위상배열 전투함도 일반함과 구별함.[15] http://ja.wikipedia.org/wiki/25DD[16] 러시아판치르-ME, 네덜란드Sea Master (회전식 SMART-S Mk2를 마스트의 4면에 장착한 통합 레이더, 소프트웨어를 바꾸면 ESSM을 구동할 수 있음.), 탈레스사의 SEASTAR레이더[17] 이것은 구형과 신형 CPU의 가격과 성능을 생각하면 된다.[18] http://cmano-db.com/[19] https://ko.wikipedia.org/wiki/OQS-5[20] https://en.wikipedia.org/wiki/Naresuan-class_frigate[21] https://en.wikipedia.org/wiki/Martadinata-class_frigate[22] https://en.wikipedia.org/wiki/Tapi-class_corvette[23] https://en.wikipedia.org/wiki/Ratanakosin-class_corvette[24] LPX-II 라는 이름으로 경항모 건조 구상중[25] 소류급 2척,29SS 2척[26] 다만 한국이 원자력 잠수함을 건조하게 되면 현재 군사력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일본도 덩달아 자기도 원자력 잠수함을 건조하겠다고 할 수도 있으니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또한 우리나라가 KSS-III급을 9척 배치한다고 하더라도 일본 역시 그에 대응할만한 잠수함을 다수 건조할 여지가 충분하므로 아직까지는 안심할수 없다.[27] 다만 일본의 경우 평화헌법에 묶여 정식 군대가 아닌 이상 원자력 잠수함을 도입하는 게 한국보다 더 까다로울 수 있다.[28] https://en.wikipedia.org/wiki/Japan_Maritime_Self-Defense_Force#Aircraft[29] 한국도 P-8을 도입하고 2차 대잠헬기 사업을 진행중이다.[30] F-2만해도 4발의 공대함 미사일 탑재가 가능하다.[31] 88식 지대함 미사일,12식 지대함 유도탄[32] 마야급1척, 아타고급 2척, 공고급 2척, 아키즈키급 4척, 아사히급 2척, 다카나미급 5척[33] 한국의 20년 이하의 함선중 3척은 호위함[34] 업로드한 사진들은 가로사이즈가 300픽셀이다. 사진 업로드 시 참고바람.[35] 배수량이나 군함의 등급 기중에 관해서는 해군력, 호위함/비교, 초계함 항목을 참고.[36] 22DDR 2척,마야급 1척[37] http://ko.wikipedia.org/wiki/PKX-B[38] http://ko.wikipedia.org/wiki/%EC%B0%B8%EC%88%98%EB%A6%AC%EA%B8%89_%EA%B3%A0%EC%86%8D%EC%A0%9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0 01:22:40에 나무위키 한국군 vs 자위대/총 해군 전력 비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9:15:01에 나무위키 한국군 vs 자위대/총 해군 전력 비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