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하계 올림픽개인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단체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동계 올림픽개인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스케이팅
단체아이스하키 (·) · 컬링 (남·여·믹스더블)
* 대회명에 세계선수권대회(World Championship)가 있는 경우만 기재함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ISU 피겨 스케이팅 대회 로고.jpg
최초 개최지
파일:러시아 국기.svg

상트페테르부르크(1896)
최근 개최지
파일:일본 국기.svg

사이타마(2023)
차기 개최지
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2024)
파일:미국 국기.svg

보스턴(2025)
파일:체코 국기.svg

프라하(2026)
현재 세계선수권 챔피언
남자 싱글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2023)
여자 싱글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모토 카오리(2023)
페어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2023)
아이스 댄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2022)

1. 개요
2. 역사
3. 출전 규정
4. 최다 우승자
5. 최다 연패자[1]
6. 메달 집계
7. 역대 세계선수권 대회
8. 역대 세계 선수권 대회 챔피언



1. 개요[편집]


ISU가 주관하는 시니어 피겨 스케이팅 국제대회 중 가장 권위 있는 대회.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총 4개 종목을 진행하며, 매 시즌이 마무리 되는 3월에 대회를 개최한다.


2. 역사[편집]


1896년에 최초로 대회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남자 싱글만 진행 되었으나, 1906년에 여자 싱글, 1908년에 페어, 1952년에 아이스 댄스가 추가되었다.


3. 출전 규정[편집]


각 국가 연맹에서 국가대표로 승인을 받은 선수들이 출전할 수 있다. 단, 세계 선수권이 개최되는 전년도의 7월 1일 이전까지 만 15세 이상이 되는 선수여야 하며, 대회에 제시되는 최소 기술점 기준을 통과해야 출전할 수 있다.

선수 / 팀1명 출전2명 출전3명 출전
3장 조건2위 이내로 입상[2]두 선수/팀의 순위 합이 13 이하상위 두 선수/팀의 순위 합이 13 이하
2장 조건10위 이내로 입상[3]두 선수/팀의 순위 합이 28 이하상위 두 선수/팀의 순위 합이 28 이하


4. 최다 우승자[편집]


남자 싱글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0회 (1901~1905, 1907~1911)
여자 싱글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10회 (1927~1936)
페어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10회 (1969~1972알렉세이 울라노프, 1973~1978알렉산더 자이체프)
아이스 댄스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6회 (1970~1974, 1976)


5. 최다 연패자[4][편집]


남자 싱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7회 (1930~1936)
여자 싱글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10회 (1927~1936)
페어
파일:소련 국기.svg

이리나 로드니나 / 알렉산더 자이체프
6회 (1973~1978)[a]
아이스 댄스
파일:소련 국기.svg

류드밀라 파코모바 / 알렉산드르 고르슈코프
5회 (1970~1974)


6. 메달 집계[편집]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합
1
파일:미국 국기.svg

576384204
2 444224110
3364634116
4353737109
533262786
628302482
716202056
816191853
91571133
1014171344
111371535
12 12161240
13102517
14 95519
15811928
16 612725
174228
184138
1935311
2033612
21파일:FSR.svg FSR3126
22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CIS3115
23[5]2428
242114
2114
262024
271023
281001
290213
300022
310011
0011
총합3813793741134


7. 역대 세계선수권 대회[편집]


역대 세계선수권 대회
189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상트페테르부르크
189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
189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189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
189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190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
190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
190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190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상트페테르부르크
190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베를린
190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
190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뮌헨M
190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1]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W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190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트로파우M / W
190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상트페테르부르크P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M / P
190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부다페스트W

[1] 여자 싱글 종목 추가.[2] 페어 종목 추가.
191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M
191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베를린W / P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베를린M
191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W / P
파일:영국 국기.svg

맨체스터M / P
191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W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M
191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W / P
파일:핀란드 국기.svg

헬싱키M
191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생모리츠W / P
취소[c]191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c]191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c]191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c]191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c]191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c] A B C D E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192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취소[c]192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c]192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M / W
192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P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 / W
192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오슬로P
파일:영국 국기.svg

맨체스터M / P
192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오슬로W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 / P
192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W
파일:독일 국기.svg

베를린M / P
192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W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M
192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오슬로W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P
파일:독일 국기.svg

베를린M
192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W / P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M
192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W / P

[c] A B
193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193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독일 국기.svg

베를린
193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
193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취리히M
193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W / P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M
193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오슬로W
파일:핀란드 국기.svg

헬싱키P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M / P
193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W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193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
193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W / P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베를린M / P
193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W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M / P
193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체코 국기.svg

프라하L

194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취소[d]194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d]194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d]194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d]194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d]194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d]194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d]194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
194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
194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194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d] A B C D E F G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195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파일:영국 국기.svg

웸블리
195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밀라노
195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195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1]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
195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오슬로
195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5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독일 국기.svg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195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미국 국기.svg

콜로라도 스프링스
195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195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미국 국기.svg

콜로라도 스프링스
195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1] 아이스 댄스 종목 추가.
196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파일:캐나다 국기.svg

밴쿠버
196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취소[1]196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체코 국기.svg

프라하
196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르티나담페초
196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독일 국기.svg

도르트문트
196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미국 국기.svg

콜로라도 스프링스
196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다보스
196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6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제네바
196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미국 국기.svg

콜로라도 스프링스
196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1] 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으로 인해 취소됨.
197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류블랴나
197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옹
197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캐나다 국기.svg

캘거리
197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체코 국기.svg

브라티슬라바
197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독일 국기.svg

뮌헨
197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미국 국기.svg

콜로라도 스프링스
197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예테보리
197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197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캐나다 국기.svg

오타와
197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7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198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파일:독일 국기.svg

도르트문트
198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미국 국기.svg

하트퍼드
198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덴마크 국기.svg

코펜하겐
198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핀란드 국기.svg

헬싱키
198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캐나다 국기.svg

오타와
198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198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위스 국기.svg

제네바
198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미국 국기.svg

신시내티
198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
198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198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 펼치기 · 접기 ]

개최지대회명
취소[1]202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톡홀름
202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몽펠리에
202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일본 국기.svg

사이타마
202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
202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미국 국기.svg

보스턴
202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체코 국기.svg

프라하
2026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1] 코로나로 인해 취소됨.


8. 역대 세계 선수권 대회 챔피언[편집]










[1] 연속 우승[2] 김연아가 2013년 세계선수권에 단독 출전하여 1위를 하면서 2014 소치 동계올림픽과 2014년 세계선수권의 출전권이 3장이 되었다.[3] 최다빈이 2017년 세계선수권에 출전해서 10등을 하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18년 세계선수권의 출전권을 2장으로 늘렸다.[4] 연속 우승[a] 이리나 로드니나는 기존 파트너였던 알렉세이 울라노프와 1969~1972년에 4회 우승을 해서 로드니나 개인으로서는 10회 우승 한셈이다.[5] 2022년까지 전부 김연아 1인의 성과였으나, 2023년에 이해인차준환이 은메달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