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폭풍이 부른 성

덤프버전 :

파일:dnf_logo.png
던전 앤 파이터 던전 유형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
2. 소개
3. 시스템
4. 보상
4.1. 가브리엘의 비밀 상점
4.2. 프리미엄 카드
5. 평가
5.1. 긍정적 평가
5.2. 부정적 평가
5.3. 총평
6. 기타
6.1. 주차별 입장 명성


1. 개요[편집]


파일:왕의요람일러.png

차원의 폭풍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안정한 왜곡이 발생했다.

그곳은 시간이 지날수록 왜곡이 심화되는 것도 모자라 지금 시간대에 있어서는 안될 이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무슨 이유로 생겨났는지 알 수 없지만, 왜곡된 차원의 폭풍은 그 어느 때보다도 거세게 휘몰아치고 있었다.

마치, 들켜버린 약점을 감추기라도 하려는 것처럼.

2023년 6월 1일 업데이트 된 재화 파밍 던전.[1] 에를록스 - 폭풍의 역린 지역에서 입장할 수 있다. 폭풍의 역린처럼 기존에 있던 110레벨 던전 리소스를 재활용한 던전이다.

2023년 10월 26일 신규 재화 파밍 던전인 솔러스 오브 카쉬파로 대체되며 삭제되었다.


2. 소개[편집]


2차 디톡스에서 언급되었던 재화 파밍 던전으로, 짙은 심연의 편린 장비와 신규 크리쳐 아티팩트를 파밍하는 던전이다. 파괴된 죽은 자의 성의 던전을 재활용했다.


3. 시스템[편집]


입장 명성은 다른 던전들처럼 고정된 수치가 아닌, 가변 명성 시스템을 사용하며 기준은 상위 30% 수준으로 매주 목요일에 변경된다.[2][3] 기존에는 계정 내 가장 높은 명성의 캐릭터 중 30퍼센트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성장지원 이벤트와 폭룡왕의 단조 정가 주가 겹친 주차에 입장 명성이 큰 수치로 하락한 것을 보았을때 계정 내의 일정 명성 수치 이상을 충족하는 모든 캐릭터들 중 30퍼센트로 기준을 잡는다는 추측이 더 설득력 있게 여겨진다. 그러므로 부캐릭터를 무수히 양산하여 만렙만 달성한 명성 0짜리 깡통 캐릭터들을 만들어 놓는 행동을 해도 소용이 없다고 봐야한다. 또한 일정 명성 수치 이상을 충족한 캐릭터들도 목요일 점검 직전에 캐릭터들의 장비를 홀랑 벗겨놓는 꼼수도 아무런 의미 없는 행동이다.[4]

던전의 배경과 몬스터들은 파괴된 죽은 자의 성을 재활용했고, 던전의 구조는 캐니언 힐과 동일하다. 피로도 소모는 일반 던전과 동일하게 1만 있어도 입장할 수 있으며, 방당 1씩 소모한다. 던전의 구조가 캐니언 힐과 동일하기 때문에 직으로 가면 6, 풀방으로 가면 12를 소모한다.

4. 보상[편집]


아이콘이름몬스터 드랍 여부교환 속성
일반 몬스터네임드 몬스터보스 몬스터
파일:균열의 단편.png균열의 단편OOO교환 가능
파일:언커먼 아티팩트.png언커먼 아티팩트XOO밀봉
파일:레어 아티팩트.png레어 아티팩트XOO밀봉
파일:유니크 아티팩트 1.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2.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3.png유니크 아티팩트XXO밀봉
파일:응축된 라이언 코어.png응축된 라이언 코어OOO계정귀속
파일:빛나는 조화의 결정체.png빛나는 조화의 결정체OOO계정귀속
파일:골든 베릴.png골든 베릴XXO계정귀속
파일:골든 베릴 (교환불가).png골든 베릴 (교환불가)XXO교환불가


4.1. 가브리엘의 비밀 상점[편집]


아이콘이름설명교환 속성
파일:균열의 단편.png균열의 단편 10 or 100개차원의 폭풍 속에서 균열이 생기면서 부서져 나온 에너지의 파편.교환 가능
파일:무결점 라이언 코어.png무결점 라이언 코어 100 or 400개라이언 사막에서 원료를 채취해서 만들어지는 고체 연료인 라이언 코크스로부터 가장 핵심이 되는 물질을 추가로 추출한 물질 중에서도 결점 없는 것을 선별하여 정제한 최상급 연료.
효율이 뛰어나고 안정적이지만, 천계의 발달한 과학 기술로만 정제할 수 있어 매우 희귀하다.
교환 가능
파일:무결점 조화의 결정체.png무결점 조화의 결정체 50 or 200개모순의 결정체 가운데 결점이 없는 것을 조합하여 만들어낸 순도 높은 결정체.
불확실한 형질을 띄던 기존의 모습과는 다르게, 조화롭고 안정적인 기운과 함께 결점 하나 없이 아름답게 빛나고 있다.
교환 가능
파일:찬란한 엠블렘 주머니[폭풍이 부른 성].png찬란한 엠블렘 주머니
[폭풍이 부른 성]
사용 시 찬란한 엠블렘 37종 중 1종을 각 확률에 따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엠블렘은 기간 무제한, 1회 거래 후 계정귀속 상태로 제공됩니다. (각 엠블렘의 등장확률은 동일합니다.)
계정귀속
파일:플래티넘 엠블렘 주머니[폭풍이 부른 성].png플래티넘 엠블렘 주머니
[폭풍이 부른 성]
사용 시 레전더리 등급의 모든 플래티넘 엠블렘 중 1종의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엠블렘은 기간 무제한, 1회 거래 후 계정귀속 상태로 제공됩니다.(각 플래티넘 엠블렘의 등장확률은 동일합니다.)
계정귀속
파일:왜곡된 차원의 큐브[폭풍이 부른 성].png왜곡된 차원의 큐브
[폭풍이 부른 성]
큐브에 갇힌 차원의 힘을 이용하면 에픽 장비의 옵션을 변경할 수 있을 듯 하다.
105Lv <성장, 전송 옵션> 장비에 사용 시 옵션 변경 가능
계정귀속
파일:레어 아티팩트 레시피 1.png파일:레어 아티팩트 레시피 2.png파일:레어 아티팩트 레시피 3.png레어 아티팩트 레시피아이템명에 해당하는 레어 아티팩트를 100%확률로 제작합니다. 제작된 아이템은 밀봉 상태로 제공됩니다.계정귀속
파일:유니크 아티팩트 레시피 1.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레시피 2.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레시피 3.png유니크 아티팩트 레시피아이템명에 해당하는 유니크 아티팩트를 100%확률로 제작합니다. 제작된 아이템은 밀봉 상태로 제공됩니다.계정귀속
파일:짙은 심연의 편린 장비 레시피.png짙은 심연의 편린 장비 레시피아이템명에 해당하는 짙은 심연의 편린 유니크 장비를 100%확률로 제작합니다.계정귀속
파일:레어 아티팩트.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1.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2.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3.png레어, 유니크 아티팩트레어, 유니크 아티팩트를 직접 구매할 수있습니다.밀봉

4.2. 프리미엄 카드[편집]


아이콘이름설명교환 속성
파일:무결점 골든 베릴.png무결점 골든 베릴왜곡된 차원의 폭풍 속에서 흘러나온 정체 모를 힘이 담겨 있는 아름다운 보석. 단 하나의 결점도 없이 황금색으로 빛나고 있다.교환 가능
파일:황금 큐브 조각.png황금 큐브 조각퀘스트 수행 또는 전문직업의 생산 및 큐브의 계약에 필요한 재료 아이템교환 가능
파일:힘의 정수.png힘의 정수장비 제작 시 사용되며 특정 NPC를 통해 구입할 수 있습니다.계정귀속
파일:레어 아티팩트 레시피 1.png파일:레어 아티팩트 레시피 2.png파일:레어 아티팩트 레시피 3.png레어 아티팩트 레시피아이템명에 해당하는 레어 아티팩트를 100%확률로 제작합니다. 제작된 아이템은 밀봉 상태로 제공됩니다.계정귀속
파일:유니크 아티팩트 레시피 1.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레시피 2.png파일:유니크 아티팩트 레시피 3.png유니크 아티팩트 레시피아이템명에 해당하는 유니크 아티팩트를 100%확률로 제작합니다. 제작된 아이템은 밀봉 상태로 제공됩니다.계정귀속
파일:짙은 심연의 편린 장비 레시피.png짙은 심연의 편린 장비 레시피아이템명에 해당하는 짙은 심연의 편린 유니크 장비를 100%확률로 제작합니다.계정귀속
파일:짙편린 보조장비.png짙은 심연의 편린 장비-1회 교환 가능

5. 평가[편집]


높은 클리어 카드 골드로 순수 골드가 많이 나오는 캐니언 힐과 클리어 카드 골드는 적게 주는 대신 교환 가능 재화를 통해 골드를 벌던 폭풍의 항로를 서로 적당히 섞어놓은 던전이다.

버퍼들에게는 꽤나 괜찮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버퍼들은 장비 세팅의 한계 때문에 캐니언 힐 슬레이어 난이도를 쾌적하게 돌기는 힘들기 때문이다.[5] 같은 명성대의 딜러들이 캐니언 힐을 돌리듯 버퍼들도 폭풍성을 쾌적하게 돌릴 수 있게 되어 기존에는 기껏해야 상던이나 돌며 피로도를 녹여야 하던 차에, 피로도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수익에 있어서 가브리엘 득템의 영향이 크다보니 다캐릭 유저들은 가브리엘의 계약 구입을 고려해볼 만하다. 가브리엘의 계약 구입 시 가브리엘 등장확률이 40% 증가하며, 가브리엘이 판매하는 아이템 슬롯이 1개가 더 늘어나 득템 확률은 2.8배[6]가 된다. 여기에 피로도 가속까지 켜면 아이템 슬롯이 1개 또 추가로 늘어나 노가브계 노가속대비 4.2배[7] 확률로 가브리엘 상점에서 득템을 할 수 있다. 그 외 결과 카드 보상 및 던전 재화 보상[8]은 피로도 가속을 켠다고 해서 2배가 되지는 않으므로 가속 없이 돌리는게 무조건 이득이긴 하지만, 노가다의 피로를 반토막내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시간이 없는 유저나 피로도 소화가 힘겨운 다캐릭 유저에게 추천하는 방법이다.

PC방 유저의 경우 가브계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추가 카드보상으로 얻는 이득이 쏠쏠하다. PC방 프리미엄 특성상 카드를 개봉하면 무조건 장비 하나 혹은 PC방 토큰 교환권 하나 이상은 드랍되기에 상당히 돈이 되는 편이다.


5.1. 긍정적 평가[편집]


  • 일반 던전이 너프를 먹은 시점에서 가장 골드를 많이 드랍하는 던전이다. 집 피로도 156 기준으로 순수 골드는 150만 골드 정도가 벌리며 짙은 심연의 편린 장비 및 유니크 아티팩트는 대다수가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유지 중이므로 동기 부여가 그럭저럭 되는 편이다. 프리미엄 카드에서 나오는 물품들 중 힘의 정수는 대략 2만 5천 골드 정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최소 4개가 나오므로 힘의 정수가 나온다면 본전 혹은 이득이다. 시즌8 기준 힘의 정수는 상당히 많이 쓰이므로 꽝 취급은 아니다.

  • 입장 명성에 비해 몬스터들이 매우 약하기에 딜러보다 비교적으로 솔플이 힘든 버퍼로도 보스방 직 기준 클리어 타임이 10초대 중반~20초가 나올 정도로 수월하게 돌 수 있다. 때문에 버퍼로도 피로도를 빠르게 뺄 수 있게 되어 이 부분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 위의 요소들 덕분에 바칼 레이드를 돌며 320작을 하는 유저들의 성장 사이클과 꽤 잘 맞물리는 던전이다. 폭풍이 부른 성의 입장 명성을 충족하는 유저들 대부분은 320작을 마무리 하는 중일텐데, 71~80레벨 구간은 성장 비용 완화 패치의 대상이 아니라 여전히 골드가 많이 나가는 구간이고 힘의 정수도 많이 소비되는 구간이지만 폭풍성을 돌 경우 골드와 힘의 정수 수급은 꽤 잘 되는 편이다.

  • 18주년 이벤트까지 진행된 2023년 8월 중순 기준으로, 폭풍성의 특산품인 유니크 아티팩트의 가치는 아직까지는 꽤 잘 유지되는 편이다. 이벤트 보상 등으로 풀린 적이 없었기에 가격이 크게 떨어질 일이 없었던 것인데, 어찌됐든 자신들이 만든 컨텐츠의 가치를 최대한 보존하려고 하는 모습은 긍정적으로 볼 여지가 있다. 물론 마계 대전 당시 탈리스만처럼 너무 가치 보존에 치중하다가는 유저들의 원성을 살 수도 있지만, 유니크 아티팩트는 탈리스만과는 다르게 룬 소켓과 같은 운빨 요소는 딱히 없기 때문에 불평은 적다.

  • 네오플 측이 쌀먹과 작업장을 본격적으로 쳐내려고 실시한 조치들 중 가장 결정적이었던 것이 폭풍이 부른 성이기에 그 의도와 실제로 거둔 작업장 박멸에 대한 성과만큼은 좋게 평가 받는 편이다. 골드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던 쌀먹 작업장들 상당수를 사라지게 했다는 점은 게임에 긍정적인 부분이다.


5.2. 부정적 평가[편집]


  • 부가적인 수익[9]을 제외한 순수 골드 수익은 너프 전 캐니언 힐보다 감소했다. 커먼, 언커먼 장비들은 모두 판매 한다는 가정 하에 집 피로도 156 기준으로 폭풍성의 수익은 약 150만 골드 정도인데, 동일 조건 하 너프 전 캐니언 힐은 200만 골드 정도였으므로 기존 너프 전 캐니언 힐에 비해 수익이 약 25% 가량 줄어들었다.

  • 위에서 이미 설명 했듯이, 수익에 있어서 가브리엘 득템의 영향이 크다보니 가브리엘 상점에서 판매하는 품목들이 정말 중요한데, 현재 가브리엘이 파는 대부분의 품목들은 대부분 구매 가격이 경매장 판매 가격보다 높아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되버렸으며, 그나마 이득이라고 할 수 있었던 균열의 단편, 무결점 라이언 코어, 무결점 조화의 결정체 마저도 일일히 가격을 비교 해보고 구매하지 않으면 손해를 보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 상위 30%를 제외한 유저들은 골드를 수급하기 매우 힘들어져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평가가 많다. 작업장이 박멸된다 한들 유저 개인이 당장 체감하긴 어렵고 자급자족면에서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10] 네오플 측에서도 이 문제를 인지하고 8월 4일 던파로 ON을 통해 11월 경에[11] 폭풍이 부른 성을 대체할 신규 재화 파밍 던전인 솔러스 오브 카쉬파를 추가해 상위 30% 유저가 아닌 유저들도 돌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3. 총평[편집]


폭풍이 부른 성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 요소들은 폭풍이 부른 성이 업데이트 되었던 시기의 문제점도 한몫 하였다. 폭풍이 부른 성이 업데이트 됐을 당시의 시기는 소위 '던릿고개'라고 불리는 시기로 신규 컨텐츠가 없어 지쳐버린 기존 유저들은 떠나버리고, 신규 유저의 유입은 없어 한 주가 지날 때마다 입장 명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진 끝에 18주년 이벤트가 시작되기 전까지는 입장 명성이 4.6에 육박했다는 점, 균열의 단편 및 크리쳐 아티팩트의 가격이 점점 하락하고 있었던 점. 이러한 문제들은 신규 유저 유입의 부족으로 인해 생긴 문제들이다. 세기말에 지친 유저들이 점점 떠나가니 유저 수는 적어지고 그나마 남아 있는 고인물 유저들은 신규 컨텐츠가 없으니 랭커를 노리는게 아닌 이상 굳이 비싼 돈 들여 아티팩트를 살 이유가 없어서 수요가 줄어들게 되었고, 이로 인해 폭풍이 부른 성에서 얻을 수 있는 균열의 단편과 크리쳐 아티팩트의 가격도 점점 하락하기 시작하였다.

개발진 측이 D-Talks에서 직접 밝혔던 것처럼 폭풍이 부른 성을 출시한 배경에는 쌀먹 유저, 작업장들로 인한 골드 가격 하락 및 인게임 물가 상승이 있었다. 기존 캐니언 힐의 문제점은 진입 장벽이 너무 낮아 다캐릭 노가다에 최적화된 상태였고, 쌀먹 유저들 및 작업장은 그렇게 벌어들인 골드를 캐릭터에 투자하지 않고 오직 현금 거래만을 하며 골드 가격을 떨어뜨려 심각한 인플레이션[12]을 유발했다. 결국 보다못한 네오플은 이를 해결하고자 칼을 빼들었으며, 폭풍이 부른 성의 추가 이후 캐니언 힐 너프라는 초강수 패치까지 진행했다.

하지만 폭풍이 부른 성이 너프된 캐니언 힐을 커버할 만큼의 골드 수급이 가능했던 것은 아니었기에 유저들의 골드 수급량이 줄어들어 모두가 손해를 보는 상황이 되었다. 분명 세라 아이템의 시세 하락은 있었으나 기존보다는 어려워진 골드 수급에 비하면 물가가 상대적으로 올라버린 수준이었고, 폭풍이 부른 성에 진입이 가능한 유저들도 단편값이 하락하자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18주년 이벤트로 신규 유저 대규모 유입이 생기자 폭풍이 부른 성의 입장 명성은 4.51로 대폭 낮아지는 동시에, 크리쳐 아티팩트는 레어, 유니크를 불문하고 수요가 늘어났다. 이로 인해 가격이 크게 오르며 상술했던 단점 중 상당수가 해결이 된 상태다. 물론 유입이 다시 빠진다면 입장 명성은 다시 올라가고 크리쳐 아티팩트의 가격은 다시 내려가겠지만 적어도 18주년 이벤트 기간부터 선계 업데이트 초기까지는 폭풍이 부른 성의 메리트가 충분히 생겼다고 볼 수 있다.


6. 기타[편집]


  • 줄여 부르면 '폭풍성'이 되겠으나, 어감이 비슷하고 입에 더욱 잘 달라붙는 '퐁퐁성'이 폭풍성보다 더 널리 쓰인다.

6.1. 주차별 입장 명성[편집]


일자주차명성지난주 대비 명성 증감량비고
23/06/011주차44,151-최초 업데이트
23/06/082주차44,525+374-
23/06/153주차45,076+551시즌 8 최고 상승치
23/06/224주차45,304+228-
23/06/295주차45,391+87폭풍이 부른 성 최저 상승치
23/07/066주차45,174-217최초로 입장 명성이 하락한 주차.[13]
23/07/137주차45,327+153-
23/07/208주차45,639+312-
23/07/279주차45,851+212-
23/08/0310주차45,994+143-
23/08/1011주차45,176-818두번째 입장 명성 하락이자 역대 최고 하락치.[14]
한 번에 가장 많은 수치가 변동된 주차.
23/08/1712주차45,356+180-
23/08/2413주차45,757+401-
23/08/3114주차46,058+301-
23/09/0715주차46,295+237-
23/09/1416주차46,391+96시즌 8 마지막 명성 갱신치[15]
23/09/2117주차46,903+512선계 업데이트(시즌 9) 이후 처음으로 명성이 갱신된 주차.
23/09/2818주차47,711+808시즌 9 최고 상승치이자 역대 최고 상승치
23/10/0519주차47,920+209-
23/10/1220주차48,641+721-
23/10/1921주차49,136+495마지막으로 명성이 갱신된 주차.[1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9:25:28에 나무위키 폭풍이 부른 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는 5월 25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1주일 연기 되었다.[2] 최초 업데이트 기준 명성은 44151[3] 상위 30%라는 특성상 입장 명성이 내려갈 수도 있다.[4] 이러한 경우는 각종 육성 이벤트에서 한번 갱신된 최고 명성 기록은 사라지지 않고 계속 남아있다는게 이미 확인된 바 있다.[5] 솔플도 염두에 두고 기획된 뮤즈를 제외하면, 그나마 몹몰이가 좋고 스킬의 계수가 이상할 정도로 높은 인챈트리스 정도가 쾌적한 정도고, 인챈트리스 다음으로 솔플이 좋다는 세라핌은 대부분의 스킬들이 하나같이 선딜레이, 후딜레이가 길어 미묘하게 굼뜨다는 점, 또한 랭크작을 하기 위해선 보통은 용맹의 축복 증폭용으로 1레벨만 찍고 쓰는 용맹의 아리아나, 탈리스만을 쓰지 않으면 세라핌 본인도 움직일 수 없게 되어버리는 미라클 샤인같은 다단히트 스킬들을 동원해야 랭크작이 된다는 점 때문에 솔플이 그다지 빠르지 못했다.[6] (기본 1칸 + 가브리엘 계약 1칸)*1.4배[7] (기본 1칸 + 가브리엘 계약 1칸 + 피로도 가속 1칸)*1.4배[8] 균열의 단편 뿐만 아니라 네임드와 보스 몬스터에게서 크리쳐 아티팩트 레시피 또는 완제품을 얻을 수 있고, 프리미엄 카드에서도 크리쳐 아티팩트, 짙편린 레시피를 얻을 수 있다.[9] 크리쳐 아티팩트, 짙은 심연의 편린 레시피 또는 완제품, 찬란한 엠블렘 주머니, 플래티넘 엠블렘 주머니 등[10] 물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일던을 건드리지 않았을 경우 골드값 하락이 가속화되고 인게임 물가 역시 빠르게 올라갈 것이므로 일던을 칼질한다는 극약처방을 내려서라도 작업장과 쌀먹 유저의 골드 수급을 줄일 필요가 있었다. 성장비용을 더 싸게 해주거나, 그냥 동일 직업으로 일정 피로도 이상을 소모할 경우 골드 수급량을 0으로 하는 식으로 절충을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의견도 존재한다.[11] 당시엔 11월 경이라 밝혔으나 10월 26일로 앞당겨져서 나왔다.[12]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악영향은 캐니언 힐 너프를 예고한 바칼 레이드 퍼스트 서버 업데이트 시점부터 개발자노트에서 언급했는데, 당시에는 종결 아이템들이 많이 갱신되던 때였고, 레이드 초기라 유저들이 골드가 많이 필요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네오플 측에서도 캐니언 힐의 골드 수급량이 과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크게 칼질하지 않았을 뿐 꾸준히 예의주시했다.[13] 23/06/29부터 진행된 성장지원 이벤트의 영향으로 보인다.[14] 18주년 기념 이벤트로 인한 신규 유저 대거 유입의 영향으로 보인다.[15] 선계 업데이트 당일이다.[16] 23/10/26에 솔러스 오브 카쉬파가 업데이트 되며 삭제되었다. 이후의 주차별 입장 명성은 해당 문서에 정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