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등장 유닛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




1. 개요[편집]


캐릭터의 등급은 1~5성으로, 모든 캐릭터가 최종등급인 5성까지 각성이 가능하다.

캐릭터의 획득방법은 특정 맵이나 이벤트를 클리어해서 배포 캐릭터를 얻는 방법과 가챠를 돌려서 뽑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배포 캐릭터의 경우 개체치가 고정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스토리 클리어, 특정 이벤트 퀘스트 달성보상(주로 3성), 대영웅전(3,4성), 전와의 연전(4,5성)으로 얻을 수 있다.

신영웅 업데이트 때마다 열리는 대영웅전의 보상 캐릭터의 경우 초창기에는 2,3성이었으나 클리어 난이도에 비해 보상이 너무 창렬하다는 의견이 많아서였는지 레어도가 한 단계씩 올라갔으며, 초영웅 업데이트 때 열리는 전와의 연전에서는 초영웅 배포 캐릭터를 획득 가능하다. 대영웅전은 가끔 복각을 하지만 전와의 연전은 극초기를 제외하면 복각을 하지 않는다. 대영웅전과 전와 배포 캐릭터들은 배포 시기를 놓치면 주로 비공성에서 수급 가능한 '성배'를 이용하여 4성 상태로 획득 가능.

가챠 소환시에는 최소 3성부터 최대 5성까지 등장하는데, 기본 소환률은 픽업 5성(3%), 논픽업 5성(3%), 4성찬스(3%), 4성(55%), 3성(33%)이며, 5번 소환하는 동안 5성을 획득하지 못했다면 픽업과 논픽업(소위 말하는 픽뚫)의 확률이 각각 0.25%씩 증가하고, 5성을 뽑으면 다시 초기화된다.

4성찬스는 4성에 별이 붙으면서 5성이 되는 연출과 함께 픽뚫로 얻지 못하는 단종 5성 캐릭터들을 얻을 수 있는데, 이때는 5성 확률을 잡아먹지 않는다. 운이 좋다면 헥터 같은 귀한 재료나 미코토처럼 단종되고서야 떡상한 캐릭터를 얻을 수도 있지만 옛날 캐릭터인 만큼 재수 없으면 스킬도 고만고만하고 포텐도 다소 떨어지는 캐릭터가 걸릴 수 있으니 기대는 접는 편이 좋다.

캐릭터별로 태생 등급에는 차이가 있으며 태생 등급에 따라 3성~4성, 4성~5성(일부 초영웅), 5성 태생으로 가챠에서 등장하는 레어도에 차이가 있다. 예외적으로 픽업시에는 태생3/4성도 5성으로 등장할 때가 있다.

다만 태생 레어도와 캐릭터의 강약은 전혀 관계가 없으며, 최종무기가 5성 한정이라 각성은 필수지만 태생3성이나 4성이라도 전용무기나 연성 추가를 좋게 받아서 5성 10돌에 최신스킬로 무장해 주면 태생5성보다 더 강한 케이스도 많다. 게다가 스킬 승계가 추가된 이후로는 한계돌파로 5성 전용무기를 3성이나 4성에 달아줄 수 있게 되어서, 4성 10돌에 5성무기를 승계시키는 방식을 통해 적은 투자로 5성 5돌급 성능의 캐릭터를 만들 수 있기에 무과금/소과금의 경우 태생이 낮은 캐릭터일 수록 오히려 더 유리해졌다. 하지만 요즘은 깃털 구하기도 쉬워졌고 BST 인플레 속도도 무시무시한지라 투기장을 돌 생각이 없더라도 어지간하면 5성 10돌을 하는 편이 낫다.


2. 속성[편집]


파일:Ss_feh_orb_types.png
불과 어둠 마법서, 검을 사용하는 직종이 모여 있는 속성이다.
번개와 빛 마법서, 창을 사용하는 직종이 모여 있는 속성이다.
바람 마법서, 도끼를 사용하는 직종이 모여 있는 속성이다.
암기 및 활과 지팡이를 사용하는 직종이 모여 있는 속성이다.

전승 러플레의 추가로 무속성에도 용족이 생겼다. 이후 무색 용족에 도마, 타락 치키 등이 추가되었으며, 블라미몬드를 시작으로 무색 마도서 또한 상당수 출시되었다.

색겹침 가챠를 방지하기 위해서인지 색깔 활과 색깔 암기도 추가되었다. 예를 들자면 녹궁은 전승 린, 청궁은 전승 루키나 등. 마도서만큼 풀이 다양하지 않기 때문인지, 색암기↔무색암기와 색궁↔무색궁은 서로 무기 계승이 자유롭다. 다만 적궁을 무색궁 캐릭터에게 계승해줬다고 해서 캐릭터의 속성이 적궁으로 바뀌는 일은 없으니 주의.


3. 목록[편집]




파일:파이어 엠블렘_로고.png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의 전승 영웅
[ 펼치기 · 접기 ]

전승 효과파일:mizu.png파일:kaze.png파일:tsuchi.png파일:hono.png
파일:ATK.png
공격
+2
파일:Portrait_Eirika_Graceful_Resolve_Heroes.png파일:Lyn_(Legendary_Heroes)_Portrait.png파일:Portrait_Ike_Vanguard_Legend_Heroes.png파일:Portrait_Hector_(Legendary_Heroes)_Heroes.png
에이리크아이크헥토르
파일:카밀라가기어이.webp파일:전승율리스.png파일:전승디아도라.png파일:전승막국수.png
카밀라(D)율리스(D)디아도라(D)젠더(D)
파일:SPD.png
속도
+3
파일:Portrait_Fjorm_Heroes.png파일:Portrait_Lucina_Glorious_Archer_Heroes.png파일:Portrait_RobinF_Fell_Vessel_Heroes.png파일:전승세즈.png
피요름루키나러플레(여)세즈(D)
파일:전승시다.png파일:단발베로.png파일:.png파일:.png
시다(D)베로니카(D)
파일:DEF.png
수비
+4
파일:Ryoma_(Supreme_Samurai)_Portrait.png파일:Portrait_Hríd_Heroes.png파일:Portrait_Tiki_Legendary_Dragon_Heroes.png파일:Portrait_Ephraim_(Legendary_Lord)_Heroes.png
료마프리즈치키에프람
파일:전승기네비어.png파일:전승미르라.png파일:전승남플레.png파일:전승여펩시.png
기네비어(D)미르라(D)러플레(남)(D)뤼에르(여)(D)
파일:RES.png
마방
+4
파일:Portrait_Azura_Vallite_Songstress_Heroes.png파일:Portrait_Gunnthra_Heroes.png파일:전승난나.png파일:Portrait_Marth_Hero-King_Heroes.png
아주라슬리즈난나(D)마르스
파일:전승니니안.png파일:전린시아.png파일:전승히노카.png
니니안(D)엘린시아(D)히노카(D)
파일:double.png
더블
단독
파일:Portrait_Leif_Unifier_of_Thracia_Heroes.png파일:Eliwood_(Legendary_Heroes)_Portrait.png파일:Portrait_Alm_Saint-King_Heroes.png파일:Portrait_Roy_Blazing_Lion_Heroes.png
리프엘리우드아름로이
파일:Portrait_Chrom_Crowned_Exalt_Heroes.png파일:Portrait_Corrin_Child_of_Dusk_Heroes.png파일:Portrait_Julia_Crusader_of_Light_Heroes.png파일:Portrait_Celica_Queen_of_Valentia_Heroes.png
크롬카무이(여)유리아세리카
파일:전디미.png파일:지글드.png파일:Portrait_Seliph_Scion_of_Light_Heroes.png파일:Portrait_Edelgard_Flame_Emperor_Heroes.png
디미트리시구르드세리스에델가르트
파일:전승벨레트.png파일:전승미카야.png파일:전승클로드.png파일:전승 리리나.png
벨레트미카야클로드리리나
파일:전승벨레스.png파일:전승화.png파일:엠히에이트리.png
벨레스에이트리
능력치 증가와 더불어 더블을 가진 영웅은 (D) 표시.



파일:파이어 엠블렘_로고.png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의 신계 영웅
[ 펼치기 · 접기 ]

신계 효과파일:Mythic_Effect_Light.png파일:Mythic_Effect_Dark.png파일:Mythic_Effect_Astra.png파일:Mythic_Effect_Anima.png
파일:ATK.png
공격
+3
파일:프레이야이야이야.png파일:브라미몬드.png파일:올티나.png파일:도마두마.png
프레이야브라미몬드오르티나도마
파일:엠히아슈.png파일:엠히메디우스.png파일:레긴.png파일:세의로스.png
아슈메디우스레긴세이로스
파일:.png파일:.png파일:세이드.png파일:프로지.png
세이드프로지
파일:SPD.png
속도
+4
파일:피아니.png파일:윤느.png파일:플루메리아.png파일:리브.png
피아니윤느플루메리아리브
파일:울르.png파일:스카비오사.png파일:엘리민.png파일:리온(였던것).png
울르스카비오사엘리민포데스
파일:네르투스.png파일:엠히크바.webp파일:엠히람쥐.webp파일:엠히굴비.webp
네르투스크바시르라타토스크굴베이그
파일:DEF.png
수비
+5
파일:진짜고대벽화마냥생긴미라.png파일:헬.png파일:니가나가.png파일:스라실.png
미라나가스라실
파일:아스크.png파일:엠히노트.png파일:엠히토르.png파일:엠히오트르.png
아스크노트토르오트르
파일:.png파일:.png파일:엠히베일.webp파일:.png
베일
파일:RES.png
마방
+5
파일:에일.png파일:소티스.png파일:아쓰타르테.png파일:루피너스.png
에일소티스아스타르테루피너스
파일:엠히다그.png파일:엠블라.png파일:헤이드.png파일:아쓰발.png
다그엠블라헤이드아르발
파일:가토.png파일:.png파일:.png파일:.png
가토




샤론의 영웅 소개에서는 등장 유닛들을 '영웅', '초영웅', '전승 영웅', '신계 영웅', '비익 영웅', '쌍계 영웅', '개화 영웅','마기 영웅'으로 나누고 있다.

영웅: 그냥 기본 영웅이다. 구작 캐릭터들의 약간의 디자인 변경을 제외하면 원작의 설정과 거의 똑같이 나온다. 전용 무기나 사실상 전용으로 취급받는 네임드 무기가 있다면 대부분 가지고 온다.
원작에서 전용무기라고 할 만한 것이 없던 캐릭터라도 인기만 있다면 억지로 전용무기를 붙여주는 경우가 많아 비인기 캐릭터 팬들의 원성이 잦다. 있는 무기를 뺏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게 그나마 위안점.

초영웅: 특별한 컨셉을 잡고 나온 영웅이다. 대부분 기념일 컨셉으로 부활절 토끼나 수영복, 할로윈, 크리스마스 컨셉이 대표적이다.

전승 영웅: 불, 물, 바람, 땅의 축복을 부여받은 영웅이다. 전승 영웅들이 받은 축복은 다른 속성으로 바꿀 수 없으며, 자신의 속성 시즌 동안 같은 속성 축복의 아군에게 특별 효과를 부여한다.
초기에는 히어로즈 2부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전승으로 나왔으나 현재는 신계 영웅으로 빠지는 추세다.
전승으로 나오는 캐릭터들은 대부분 원작의 주연(루키나, 아이크 등)이거나 메인 히로인(아주라, 리리나 등), 스토리 상 주요 인물들이나(젠더, 료마 등) 상징성 있는 인기 많은캐릭터다.

신계 영웅: 빛, 어둠, 하늘, 세상[1]의 축복을 부여받은 영웅이다. 전승 영웅과 마찬가지로 속성 교체는 불가능하며, 축복 시즌 동안 아군에게 버프를 부여한다.
3부 이후 오리지널 캐릭터들 대다수와 원작의 도마, 나가같은 신격 존재들이 신계영웅으로 나온다.
신계영웅들은 이 게임의 엔드컨텐츠인 비공성 점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pvp를 본격적으로 할 생각이 있다면 여러장 뽑는게 강제된다.

비익 영웅: 같은 작품에서 나온 캐릭터들을 둘 혹은 둘 이상[2] 엮어서 낸 영웅이다. 비익 영웅들에게 추가로 주어지는 스킬인 비익 스킬도 보유. 보통 주연급 캐릭터들 위주로 나오며, 가족이나 연인 같이 원작에서 밀접한 관계의 캐릭터와 짝을 지어서 나온다. 예를 들면 마르스는 누나 에리스와 크리스마스 비익으로 나왔고, 에프람은 절친 리온, 시구르드는 아내 디아도라와 무도회 비익이 존재한다.

쌍계 영웅: 비익과 비슷하지만 다른 작품의 두 캐릭터들을 엮어서 낸다는 점이 다르다. 쌍계 스킬은 비익 스킬과 다르게 쌍계 캐릭터들의 작품과 일치하는 작품 유닛들에게만 스킬 효과가 있다는 점이 특이점. 다른 작품의 캐릭터들을 엮어서 낸다는 무리수 컨셉 때문에 욕을 한사발로 먹고 있다. 하필 최초의 쌍계가 여검사라는 공통점 빼면 단 하나의 연관성도 없는 와유-루키나여서 그냥 잘팔리는 여캐 둘 붙였다며 시작부터 오만가지 쌍욕을 들어먹었고.

극심한 반발을 의식했는지, 이후의 쌍계는 오르티나-사나키[3]같은 근본 조합으로 엮으려는 듯 하지만 파엠은 안그래도 시리즈간 연관성이 매우 적은지라 한계가 있어 보인다. 그 다음부터는 인기 조연 캐릭터에 비인기 캐릭터를 끼워팔기(...)하는 모양새라 여전히 유저들의 시선은 곱지 못하다.

비익 영웅과 쌍계 영웅은 보통 전위로 나오는 한 명의 이름으로만 내며 후위는 이름도 두상도 짤린다... 후위는 액세서리도 착용 불가하며 심지어 맵 상에서 후위의 SD를 안보이게 하는 설정까지 존재.

비익은 그나마 캐릭터들이 가까운 관계라 망정이지, 쌍계 후위는 말 그대로 인기캐에 끼워팔기 당하는 꼴이니 해당 작품에 별 관심이 없던 유저 눈에도 괜히 전위 캐릭터가 안좋게 보이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그래서인지 사투 사용 시 효율이 떨어지는 등 인게임 성능도 비익에 비해서 시원찮게 내는 추세인듯. 전후열 전환 기능 도입이 시급하다

개화 영웅: 흔히 개체치라 불리우는 강점을 하나 더 만들 수 있는 영웅이다. 최초 획득시 어떤 캐릭터든간에 강점을 하나 더 만들 수 있는 개화의 꽃봉오리를 제공. 주로 작중에서 성장을 이룬 영웅이 받으나 원작에서 왕비가 된 세리카가 신관 컨셉으로 등장하는 등 좀 억지스러운 부분도 있다. 결국 부엉이 맘대로

마기 영웅: 전용무기급 스펙을 가진 공용무기 마기를 가지고 있으며, 딱 한 번 스킬계승에 써도 없어지지 않는 영웅이다. 단, 계승에 사용하지 않고 바로 비전서로 만들어 버리면 얄짤없이 1회용 스킬북이 되버리는 데엔 주의.


3.1. 적속성[편집]


항목 참조


3.2. 청속성[편집]


항목 참조


3.3. 녹속성[편집]


항목 참조


3.4. 무속성[편집]


항목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1:14:35에 나무위키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등장 유닛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문에서는 , 영문에서는 Anima이다.[2] 현재 세 명으로 나온 비익은 파오라 페가수스 자매 뿐이다.[3] 새벽의 여신에서 조상과 후손 관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