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륨

덤프버전 : (♥ 0)


주기율표
[ 펼치기 · 접기 ]

범례

배경색: 원소 분류
알칼리 금속
||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69Tm
툴륨
 | 
Thulium
분류란타넘족상태고체
원자량168.93422밀도9.32 g/cm3
녹는점1545 °C끓는점1950 °C
용융열16.84 kJ/mol증발열191 kJ/mol
원자가3이온화에너지596.7, 1160, 2285 kJ/mol
전기음성도1.25전자친화도50 kJ/mol
발견P. T. Cleve (1879)
CAS 등록번호7440-30-4
이전 원소어븀(Er)다음 원소이터븀(Yb)









파일:thulium.jpg

이름의 유래는 '세상의 북쪽 끝'을 의미하는 울티마 툴레(Ultima Thule).[1].

주기율표 란타넘족에 속한 희토류 원소로 1879년 스웨덴의 클레베가 에르비아로부터 새 원소로서 분리하였다. 희토류 원소 중에선 가장 양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비싸고 이용 가치가 적어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지만, 툴륨은 아크등의 아크 튜브에 툴륨 혼합물을 첨가해 초록색 방출 광선을 만들어 내는 데 많이 쓰이고 있다. 또 피부과 등에서 미용 레이저로 쓰이기도 한다.

네이처지 표지로 대한민국, 미국, 폴란드 공동 연구 성과로 이 원소를 이용해 만든 20nm 크기인 '광사태 나노입자'를 합성제작을 발표한 논문이 올라왔다. 광자를 이용한 태양전지, 감지센서, 미소 세계 관측, 광섬유 등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1] 혹은 스칸디나비아의 옛이름인 툴레(Thule)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22:24:36에 나무위키 툴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