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철도/중국

덤프버전 :


교통 템플릿
철도역 · 대한민국(·노선) · 일본(·노선) · 중국


1. 철도역
1.1. 기본안
1.2. 템플릿 적용 시 숙지사항
2. 회사 CI 및 로고
3. 노선색
3.1. 일반철도
3.2. 도시/광역철도
3.2.1. 화베이 지방
3.2.2. 화둥 지방
3.2.3. 중난 지방
3.2.4. 둥베이 지방
3.2.5. 시베이 지방
3.2.6. 시난 지방
4. 시, 종착역
4.1. 연장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5. 미개통역
6. 직통인 경우
7. 폐역
8. 철도 노선
8.1. 기본안


1. 철도역[편집]


본 템플릿들은 중국철도 템플릿을 기반으로 합니다.


1.1. 기본안[편집]


모든 철도역 템플릿은 이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본 템플릿은 지하철 환승역 기준입니다.

표준중국어 역명 | 공용어 역명 | 영어 역명

운영사 1
한국어 역명
기점 방면
이 전
← X km
노선명
(노선명)
종점 방면
다 음
X km →
◀ 운행노선 직통
◀ 운행노선 직통
운행노선 직통 ▶
운영사 2
한국어 역명
기점 방면
이 전
← 1.0 km
B 노선
(역 번호)
종점 방면
다 음
1.4 km →

주소
한국어
중국어
철도역 등급
2등급(二等站)
(중국철도베이징그룹 관할)
역 운영기관
노선명중국국가철로집단
개업일
YYYY년 MM월 DD일
철도거리표
기점 방면
이 전
← X km
철도명
역 명
종점 방면
다 음
X km →

1.2. 템플릿 적용 시 숙지사항[편집]


  • 정보 관련 비고사항
  • 한글 역명을 제외한 타국 언어 역명은 부표제어로 대체합니다.
  • 운영사 로고 및 이름 최상단 기재 (단, 운영사가 여러개일 경우 각 운영사별 노선표 위에 기재합니다. 만약 두 역의 역명이 다르다면, 각 역명판 상단에 기재합니다. 예: 항저우둥역)
  • 역명판 기재 (만약 두개 이상의 이름이 다른 역이 만날 경우, 노선별로 역명판을 정리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같은 회사인 경우 회사 로고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지 말아주세요.)
  • 역명판에는 한글을 넣습니다. (단, 공용어는 한자가 아닌 다른 표기법(예 - 포르투갈어)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넣습니다. 광동어와 같이 한문 표기법을 표준중국어와 공용할 경우 한문 표기법은 하나만 넣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단 최하단의 역명판 및 다국어 표기 관련 부분을 참조해주세요.
  • 노선표에 표시하는 역명이 "역"자를 제외하고 2자리일 경우(예 - 록푸, 몽콕, 북경 등), 가운데에 " "(ㄱ + 한자키 + 1 = 2바이트 전각 공백)을 삽입하여 주세요. (예 - 록 푸, 몽 콕, 북 경 등).
  • 역 상징색 띠 (없을 경우에는 뺍니다.)
  • 노선표는 위에서 아래로 고속철도, 일반철도, 화물철도 순으로 정렬합니다. 같은 종류의 철도일 경우 개통순으로 정렬합니다.
  • 지도를 넣습니다. 만약 각각 주소가 다를 경우 노선표 최상단 노선의 주소로 합니다.
  • 주소는 한글 주소와 현지어 주소를 병기합니다.
  • 일반철도역일 경우 철도역 등급을 표기합니다. 도시철도역의 경우 표기하지 않고 이 란을 지웁니다.

  • 기타 비고사항
  • 역명판, 주요 칸의 경우 색을 통일하고, 기본으로 사용하거나 각 지역에 맞게 자율적으로 선택합니다. 기본값은 현재 표와 같은 #555(밝은 테마)와 #ccc(다크 테마)입니다.
  • 한글 역명을 최상단에 배치하며, 그 아래에 현지 언어 및 공용어 표기를 합니다. 만약 역명이 길 경우, 재량껏 줄을 바꿔주셔도 됩니다.
  • 한글 역명은 반드시 역 문서에 기재된 대로의 중국어 표기법에 따른 역명을 적용하고, 옆에 의역명을 병기할 경우 영어에 기반하여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의역해서 추가하면 되겠습니다. (예시: 베이징다쉐둥먼역)
  • 만약 역명이 다른 환승역일 경우, 가급적이면 다른 문서로 분리해주시는 편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그러할 경우, 노선표 하단에 "(노선명)으로 갈아타기" 등으로 표기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역명판 및 다국어 표기 관련

중국 본토의 경우,

1. 부표제어에는 중국어(간체) > 영어(비공식 언어일 경우에도 영어 역명이 존재하면 넣습니다) > 해당 지역 공용어(한자와 문자 체계가 다른 경우)
2. 역명판에는 한글만 표기

대만의 경우,
1. 역명판에는 한글 > 중국어(번체) > 영어

홍콩의 경우,
1. 역명판에는 한글 > 중국어(번체) > 영어

마카오의 경우,
1. 역명판에는 한글 > 중국어(번체) > 포르투갈어

2. 회사 CI 및 로고[편집]


자유롭게 업데이트 해주시기 바랍니다.
국철
파일:chinarailways_white.png중국국가철로집단
파일:China_Railways.svg중국국가철로집단 (흰색 배경)[1]
파일:CRH_white1.pngCRH
파일:CRH_white2.pngCRH
베이징시
파일:베이징 지하철 심볼 화이트.svg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파일:징강 지하철 심볼.svg징강 지하철
파일:징강 지하철 심볼.svg징강 지하철(흰색 배경)
파일:Beijing MTR Construction Administration logo.png베이징시 궤도교통 건설 관리(흰색 배경)
파일:kolab_logo1.png베이징 징청 지하철
톈진시
스자좡시
파일:Shijiazhuangmetro_white.png스자좡 지하철
후허하오터시
타이위안시
파일:Taiyuanmetro_white.png타이위안 지하철
선양시
다롄시
하얼빈시
파일:Harbin Metro logo.svg하얼빈 지하철(흰색 배경)
파일:Harbinmetro_white.png하얼빈 지하철
창춘시
상하이시
파일:상하이 지하철 심볼_White.svg상하이 선퉁 지하철 집단
난징시
파일:Nanjingmetro_white.png난징 지하철
쑤저우시
파일:Suzhourailtransit_white.png쑤저우 궤도교통
파일:Suzhou Rail Transit logo.svg쑤저우 궤도교통(흰색 배경)
우시시
창저우시
파일:Changzhoumetro_white.png창저우 지하철
쉬저우시
항저우시
파일:항저우 지하철 아이콘 화이트.svg항저우 지하철
파일:항저우 지하철 아이콘.svg항저우 지하철(흰색 배경)
파일:항강 지하철 아이콘 화이트.svg항강 지하철
파일:항강 지하철 아이콘.svg항강 지하철(흰색 배경)
파일:항하이 광역철도 아이콘 화이트.svg항하이 광역철도
파일:항하이 광역철도 아이콘.svg항하이 광역철도(흰색 배경)
닝보시
진화시
파일:진화 도시철도 아이콘 화이트.svg진화 도시철도
파일:진화 도시철도 아이콘.svg진화 도시철도(흰색 배경)
원저우시
파일:원저우 도시철도 심볼.svg원저우 도시철도(흰색 배경)
파일:원저우 도시철도 심볼 화이트.svg원저우 도시철도
사오싱시
자싱시
파일:자싱 도시철도 아이콘 화이트.svg자싱 도시철도
파일:자싱 도시철도 아이콘.svg자싱 도시철도(흰색 배경)
허페이시
우후시
칭다오시
지난시
난창시
파일:난창 지하철 아이콘 화이트.svg난창 지하철
파일:난창 지하철 아이콘.svg난창 지하철(흰색 배경)
푸저우시
파일:Fuzhoumetro_white.png푸저우 지하철
샤먼시
파일:AMTR_white.png샤먼 궤도교통
파일:샤먼 궤도교통 로고.svg샤먼 궤도교통(흰색 배경)
광저우시
파일:guangzhoumetro_white.png광저우 지하철
파일:Guangzhou Metro logo.png광저우 지하철(흰색 배경)
선전시
파일:shenzhenmetro_white.png선전 지하철
파일:선전 지하철.svg.png선전 지하철(흰색 배경)
포산시
파일:Foshanmetro_white.png포산 지하철
둥관시
파일:Dongguanrailtransit_white.png둥관 궤도교통
파일:Dongguan Rail Transit logo.svg둥관 궤도교통(흰색 배경)
정저우시
파일:Zhengzhoumetro_white.png정저우 지하철
우한시
창사시
파일:창사 도시철도 아이콘.svg창사 지하철(흰색 배경)
파일:후난 자기부상 아이콘 화이트.svg창사 자기부상 고속선
난닝시
청두시
파일:Chengdumetro_white.png청두 지하철
충칭시
쿤밍시
파일:Kunmingrailtransit_white.png쿤밍 궤도교통
파일:쿤밍 궤도교통 로고.svg쿤밍 궤도교통(흰색 배경)
구이양시
시안시
파일:xianmetro_white.png시안 지하철
파일:Xian Metro logo.svg시안 지하철(흰색 배경)
우루무치시
란저우시
홍콩특별행정구
파일:MTRlogo_White.pngMTR
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MTR(횐색 배경)
파일:KCRLOGO.pngKCR[2]
마카오특별행정구
파일:Macaolightrapidtransit_white.png마카오 경전철
파일:마카오 경전철 로고.svg마카오 경전철(흰색 배경)

3. 노선색[편집]


노선색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철도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의 노선명과 우측 부가정보에 적용합니다. 흰색 글씨는 #ffffff, 검은색 글씨는 #000000의 헥사코드를 사용합니다.


노선색헥사코드
국철


3.1. 일반철도[편집]


노선색헥사코드
고속철도002fa7
도시간철도a16e25
일반철도000000


3.2. 도시/광역철도[편집]



3.2.1. 화베이 지방[편집]


노선색헥사코드
베이징
베이징 지하철 1호선A4343A
베이징 지하철 2호선004B87
베이징 지하철 4호선008C95
베이징 지하철 5호선AA0061
베이징 지하철 6호선B58500
베이징 지하철 7호선FFC56E
베이징 지하철 8호선009B77
베이징 지하철 9호선97D700
베이징 지하철 10호선0092BC
베이징 지하철 13호선F4DA40
베이징 지하철 14호선D4AAA0
베이징 지하철 15호선653379
베이징 지하철 16호선6BA539
베이징 지하철 17호선00ABAB
베이징 지하철 19호선D3A3C9
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A192B2
베이징 지하철 바퉁선A4343A
베이징 지하철 창핑선D986BA
베이징 지하철 다싱선008C95
베이징 지하철 팡산선D86018
베이징 지하철 옌팡선
베이징 지하철 이좡선D00070
베이징 지하철 S1선A45A2A
베이징 지하철 시자오선D22730
베이징 이좡신청 T1선D22630
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0049A5
베이징 교외철도 도시행정부중심선800080
베이징 교외철도 S2선0000ff
베이징 교외철도 화이러우-미윈선FFC0CB
베이징 교외철도 퉁미선0000ff
톈진
톈진 지하철 1호선bd0016
톈진 지하철 2호선ece114
톈진 지하철 3호선128bbe
톈진 지하철 4호선1c7736
톈진 지하철 5호선fb6f14
톈진 지하철 6호선9f216f
톈진 지하철 9호선063a91
톈진 개발구 도궤전차 1호선8FC31F
스자좡
스자좡 지하철 1호선e53e30
스자좡 지하철 2호선fec30a
스자좡 지하철 3호선00a1e0
후허하오터
후허하오터 지하철 1호선e82311
후허하오터 지하철 2호선005bac
타이위안
타이위안 지하철 2호선e82311


3.2.2. 화둥 지방[편집]


노선색헥스 코드
상하이 지하철
선퉁그룹#e60012
1호선백 #ea0437
2호선흑 #87d300
3호선흑 #ffd100
4호선백 #4f1f91
5호선백 #a24cc8
6호선백 #d71671
7호선흑 #ff7200
8호선백 #009edb
9호선흑 #78c7eb
10호선흑 #bc87e6
11호선백 #7c2230
12호선백 #007b63
13호선흑 #f293d1
14호선백 #7f7800
15호선백 #bba786
16호선흑 #32d4cb
17호선백 #b67770
18호선흑 #d6a461
21호선흑 #dfc765
푸장선백 #999
자기부상백 #009090
항저우 지하철
1호선df4661
2호선f1803a
3호선ffcd00
4호선6cc24a
5호선00aec7
6호선0072ce
7호선87189d
8호선ac145a
9호선be4d00
10호선daaa00
16호선ffb25b
공항선05c3de
항하이시외선0077c8
사오싱 궤도교통
로고#c20e31
1호선#c5003e
2호선#334a9a
진화 도시철도
로고#da251d
진이둥선#be3a2b


3.2.3. 중난 지방[편집]


노선색헥사코드


3.2.4. 둥베이 지방[편집]




3.2.5. 시베이 지방[편집]




3.2.6. 시난 지방[편집]




4. 시, 종착역[편집]



{{{
기점 방면
이 전
← km
노선명시종착}}}


4.1. 연장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편집]



5. 미개통역[편집]





6. 직통인 경우[편집]



7. 폐역[편집]





8. 철도 노선[편집]



8.1. 기본안[편집]


모든 노선 템플릿은 이를 기본으로 합니다.
운영사
width=50노선명(한국어)
노선명(한자)
노선명(해당 지역 공용어)
노선명(영어)
||
노선 정보
분류
기점
종점
역 수
구성 노선
개업일YYYY년 MM월 DD일
소유자소유기관
운영자시행사
(사업 시행)
운영사
(운영 및 유지보수)
사용차량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궤간
선로구성단선 / 복선
사용전류예)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최고속도㎞/h
표정속도㎞/h
지상구간
통행방향우측통행 / 좌측통행
개통 연혁YYYY. MM. DD. A ↔ B
YYYY. MM. DD. A ↔ B
개통 예정YYYY. MM. DD. A ↔ B
||<-2><tablealign=right><tablewidth=360><tablebgcolor=#fff,#1f2023> [[운영사]]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tablebordercolor=#fff,#1f2023><rowbgcolor=#fff,#1f2023><width=35%> [[노선 로고|width=50]]||{{{+1 '''노선명(한국어)'''}}}[br]노선명(한자)[br]노선명(해당 지역 공용어)[br]노선명(영어) ||
|| ||<-2>
[[이미지|width=100%]]
|| ||<-2><bgcolor=#dddddd,#383b40> '''노선 정보''' || ||<width=25%> '''분류''' || || || '''기점''' || || || '''종점''' || || || '''역 수''' || || || '''구성 노선''' || || || '''개업일''' || YYYY년 MM월 DD일 || || '''소유자''' || [[소유기관]] || ||<|2> '''운영자''' || [[시행사]][br](사업 시행) || || [[운영사]][br](운영 및 유지보수) || || '''사용차량''' || || || '''차량기지''' || || ||<-2><bgcolor=#dddddd,#383b40>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 || || '''궤간''' || ㎜ || || '''선로구성''' || [[단선]] / [[복선]] 등 || || '''사용전류''' || 예)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신호방식''' || || || '''최고속도''' || ㎞/h || || '''표정속도''' || ㎞/h || || '''지상구간''' ||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좌측통행 || || '''개통 연혁''' ||YYYY. MM. DD. A ↔ B[br]YYYY. MM. DD. A ↔ B || || '''개통 예정''' ||YYYY. MM. DD. A ↔ B ||


  1. 주요 항목 칸의 색은 하나로 통일하며, 위 표에 적용된 색상인 #dddddd(라이트테마)와 #383b40(다크테마)은 기본값입니다. 필요할 경우 회사 CI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노선명의 경우 한국어 노선명을 최상단에 배치하며, 공용어 중요도 순서에(예 - 홍콩의 경우 번체 한자/광동어 > 영어 순으로 표기해주세요.) 따라 노선 명칭을 표기합니다. 필요할 경우 영어를 노선 번역명으로 추가할 수 있씁니다.
  3. 노선색이 2개 이상이거나 글자색과 배경색의 조합으로 표기되는 경우에는 배색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4. 노선 로고가 지나치게 길어 심미성을 저해한다고 판단될 경우 로고를 상단, 노선명을 하단에 두고 구분선을 넣어 구분할 수 있습니다.
  5. 운영사나 노선로고가 많아 한 줄에 표기하기 곤란하다고 판단될 경우 개행할 수 있습니다.
  6. 운영사 CI에 배경색이 포함되어 있거나 흰 글씨에 투명배경인 경우, 그 칸의 배경 배색은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7. 노선로고가 없는 경우 내부 틀(330px짜리)을 제거하고 노선명을 가운데정렬로 표기합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3:42:11에 나무위키 템플릿:철도/중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수한 상황 외엔 상단의 파란색 배경을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2] MTR과 합병되에 현재는 없어진 회사입니다. 특수한 상황 외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