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닌 덴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전승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제13대제14대
고훈 시대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31대제32대
아스카 시대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
나라 시대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헤이안 시대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
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
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
제94대제95대제96대
남조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
제104대제105대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제107대
에도 시대
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
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
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
근현대
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제126대





고닌 덴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상황기.svg
상황
[ 펼치기 · 접기 ]

아스카 시대
제35대
제41대
제43대
나라 시대
제44대
제45대
헤이안 시대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제72대
인세이
제74대
인세이
제75대
인세이
제77대
인세이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가마쿠라 시대
제82대
인세이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제86대
인세이
제88대
인세이
제89대
인세이
제90대
인세이
제91대
인세이
제92대
인세이
제93대
인세이
제95대
남조
제96대
제98대
인세이
제99대
북조
북조 초대
인세이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
인세이
추존
제102대
인세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
추존
에도 시대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제109대
제111대
제112대
인세이
제113대
인세이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현대
제125대







일본 제49대 천황
고닌 덴노
光仁天皇
파일:광인천황릉.jpg
타하라동릉 전경
출생709년 11월 18일
사망782년 1월 11일 (향년 73세)
나라현 헤이조쿄
(現 나라현 나라시)
능묘히로오카산릉(廣岡山陵(광강산릉)
→ 타하라동릉(田原東陵(전원동릉)
재위기간제49대 천황
770년 10월 23일 ~ 781년 4월 30일
일본 상황
781년 4월 30일 ~ 782년 1월 11일
[ 펼치기 · 접기 ]

시라카베(白壁(백벽)
부모부황 카스가노미야 덴노
모후 키노토치 히메
형제자매5남 4녀 중 4남
배우자폐후 이노우에 내친왕
황태부인 타카노노 니이가사
자녀5남 3녀
종교신토
관저헤이조쿄(平城京(평성경)
별호고타하라 덴노(後田原天皇(후전원천황)
한풍 시호고닌 덴노(光仁天皇(광인천황)
화풍 시호천종고소천황(天宗高紹天皇)[1]
연호호키(寶龜(보귀, 770년 ~ 781년)
텐오(天應(천응, 781년)

[1]
아메무네타카츠기노미코토
아마츠무네타카츠기노스메라미코토

1. 개요
2. 생애
3. 가계



1. 개요[편집]


일본의 제49대 천황. 시키노 친왕의 아들이었다.


2. 생애[편집]


속일본기》에 의하면, 그는 당시 거듭되는 정변으로 황족들이 계속해서 죽음에 내몰리자, 관직에 있으면서도 일부러 술주정뱅이인 척하며 난을 피했다고 한다.

당시 황실은 덴무 덴노계가 황통을 잇고 있었다. 그러나 770년 쇼토쿠 여제가 후계자를 정하지 못한 채 53세의 나이로 붕어하자, 차기 천황을 둘러싸고 의정관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했다. 정권에서 희생된 황족들이 많았던 탓에 차기 천황에 적합한 후보가 그리 많지 않은 상황이었다. 결국 후보로 거론된 인물이 덴지 덴노의 손자인 시라카베 왕과 정계에서 은퇴한 덴무 덴노의 손자 훈야노 기요미, 그리고 기요미의 남동생인 훈야노 오치였다.

우대신 기비노 마키비는 훈야노 기요미를 적극적으로 추대했지만, 후지와라노 나가테, 후지와라노 스쿠나마로 등은 기요미에게 자녀가 13명이나 있는 것을 보고, 앞으로 후계자 문제가 발생할 것을 걱정하며 반대했다. 결국 나가테와 스쿠나마로, 우대변 후지와라노 모모카와 등이 추대한 시라카베가 코닌 덴노로 770년 10월에 즉위했다. 즉위 당시 나이는 61세로, 역대 천황 가운데 최고령이었다.[1] 이때 모모카와 등이 그를 황태자로 세우기 위해 쇼토쿠 덴노의 유서를 날조했다고 한다. 어쨌든 그가 즉위함으로써 672년 덴무 덴노가 아스카기요미하라궁에서 즉위한 이래 100여 년간 지속된 덴무 덴노계의 황통은 막을 내리고, 덴지 덴노계의 황통이 시작되었다.

정무를 운영함에 있어 코닌 덴노는 기본적으로 선제인 쇼토쿠 여제의 노선을 계승했다. 이는 즉위 전에 쇼토쿠 덴노 밑에서 의정관을 역임했던 것과 황후 이노우에 내친왕이 쇼무 덴노의 딸이었다는 것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권이 바뀌어 쇼토쿠 덴노의 총애를 받았던 승려 도쿄가 배척되었다고 해서 불교 자체가 기피되지는 않았다. 쇼토쿠 덴노가 심혈을 기울였던 서대사와 서융사 등의 사찰을 완성시키는 등 코닌 덴노는 불교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코닌 덴노는 독자적인 정치색을 드러내기도 했다. 천황의 거주 공간인 내리 안쪽에 황후 이노우에 내친왕의 거주 공간을 만들기도 했고, 쇼토쿠 덴노의 치세때 비대화되었거나 불필요한 관직을 정리, 통합했으며 긴축재정의 정책을 실시하는 등 율령체제를 재건하기 위해 노력했다.

781년 4월 병상에 누워 있던 코닌 덴노는 자신의 첫째 아들인 야마베 친왕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 그리고 782년에 붕어했으며 히로오카산릉에 매장되었다가 다라하노히가시릉으로 이장되었다.

전임 천황이 여성이었고, 황위 계승 후계자를 정하지 못해 군신들 간에 분쟁이 있었던 점이나 그 이전까지 황위계승상에서 전혀 주목받지 못하는 황족이었다는 점, 그리고 전임 천황의 유조에 따라 후계자로 지목되었고, 군신의 추대를 받아서 황위에 오른 점이 증조부 조메이 덴노(34대)와 놀라울 정도로 일치한다. 실제로 조메이 덴노는 소가씨의 피를 잇지 않은 황족으로 조부 비다츠 덴노(30대) 이래로 쭉 소가씨 혈통의 황족들이 즉위함에 따라 아버지 오시사카노히코히토노오오에는 끝내 황위를 잇지 못했고, 결국 스이코 여제 사후에 후계자 선정을 둘러싼 황위 계승 분쟁을 겪으면서 가까스로 즉위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코닌 덴노도 조부인 덴지 덴노 이래로 쭉 덴무계 황통이 이어져 내려오다가 쇼토쿠 여제의 사후에 덴무계가 단절되면서 덴지계의 단일 황통을 창출해냈다.

현대의 천황가는 코닌 덴노에서 쭉 이어져 온 덴지 덴노 계열의 후손이므로 코닌 덴노는 조부, 증조부에 이어 새로운 황통을 창출한 중시조격인 셈이다.


3. 가계[편집]


  • 폐후廢后: 이노우에 내친왕(井上內親王, 717~775) - 쇼무 덴노의 딸
    • 차녀: 사카히토 내친왕(酒人內親王, 754~829)
    • 5남: 오사베 친왕(他戶親王, 761?~775)
  • 황태부인皇太夫人: 타카노노 니이가사(高野新笠)
    • 장녀: 노토 내친왕(能登內親王, 733~781)
    • 장남: 야마노베 친왕(山部親王)
    • 차남: 사와라 친왕(崇道天皇 早良親王, 750?~785)
  • 부인夫人: 후지와라노 산시(藤原産子, 761~829) - 후지와라 모모카와(藤原百川, 732~779) 또는 후지와라 카에데마로(藤原楓麻呂)의 딸
  • 부인夫人: 후지와라노 소시(藤原曹司, 758~793) - 후지와라 나카테(藤原永手, 714~771)의 딸
  • 부인夫人: 키노 미야코(紀宮子)
  • 궁인宮人: 오와리 내친왕(尾張內親王, ?~804) - 유하라 왕(湯原王)의 딸
    • 3남: 히에다 친왕(稗田親王, 751~781)
  • 궁인宮人: 시마즈히메(県主島姬)
    • 3녀: 미누마 내친왕(彌努摩內親王, ?~810)
  • 여유(女嬬): 아카타노 이누카이노 이사미미(県犬養勇耳)
    • 4남: 히로네노 모로카츠(廣根諸勝)
  • 생모미상
    • 아들: 카이조 황자(開成皇子, 724~781) - 승려
[1] 두 번째는 2019년 5월에 즉위한 나루히토 덴노였다. 4월까지는 그 부친인 아키히토 덴노가 두 번째였는데, 아들 나루히토가 즉위하면서 세 번째로 변경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8:22:59에 나무위키 고닌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