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잔 덴노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전승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제13대제14대
고훈 시대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31대제32대
아스카 시대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
나라 시대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헤이안 시대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
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
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
제94대제95대제96대
남조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
제104대제105대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제107대
에도 시대
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
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
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
근현대
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제126대




파일:일본 상황기.svg
상황
[ 펼치기 · 접기 ]

아스카 시대
제35대
제41대
제43대
나라 시대
제44대
제45대
헤이안 시대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제72대
인세이
제74대
인세이
제75대
인세이
제77대
인세이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가마쿠라 시대
제82대
인세이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제86대
인세이
제88대
인세이
제89대
인세이
제90대
인세이
제91대
인세이
제92대
인세이
제93대
인세이
제95대
남조
제96대
제98대
인세이
제99대
북조
북조 초대
인세이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
인세이
추존
제102대
인세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
추존
에도 시대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제109대
제111대
제112대
인세이
제113대
인세이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현대
제125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Tenn%C5%8D_Kazan_thumb.jpg
시호가잔 덴노(花山 天皇, 화산 천황)
모로사다(師貞))
능호가미야노호토리능(紙屋川上陵)
생몰968년 11월 29일 ~ 1008년 3월 17일
재위984년 11월 5일 ~ 986년 7월 31일
연호칸와(寛和)
황거헤이안쿄(平安京)

1. 개요
2. 생애
2.1. 덴노가 되기 이전
2.2. 정쟁의 시기
3. 기타
4. 가족관계



1. 개요[편집]


일본의 제65대 천황. 이름은 모로사다(師貞)로 레이제이 덴노의 장남이었다.


2. 생애[편집]



2.1. 덴노가 되기 이전[편집]


969년 숙부인 엔유 덴노가 11세에 즉위하자 그는 2세의 아주 어린 나이로 황태자가 되었다. 엔유 덴노가 어린 나이에 즉위한 탓에 후지와라씨가 권력을 쥐고 흔들었다. 결국 엔유 덴노는 세력 다툼에 휘말리면서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한 채 덴노의 자리를 내놓아야 했다. 984년, 엔유 덴노의 뒤를 이어 마침내 가잔 덴노가 16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2.2. 정쟁의 시기[편집]


가잔 덴노가 즉위한 후에도 덴노를 보좌하는 최고 지위인 관백(칸파쿠)에 있었던 후지와라노 요리타다가 전대에 이어 국가정무를 담당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외숙부였던 후지와라노 요시카네가 쥐고 있었다. 결국 후지와라노 요시카네는 가잔 덴노의 측근이었던 후지와라노 코레시게와 함께 국정을 장악했다.

한편 가잔 덴노가 가장 아꼈던 측실이었던 후지와라노 요시코가 죽자, 후지와라노 카네이에는 덴노의 슬픔을 이용하여 출가를 권했다. 이는 당시 황태자였던 자신의 외손자 야스히토 친왕(후에 이치조 덴노)을 덴노로 즉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가잔 덴노는 즉위 1년 10개월여 만인 986년에 황태자에게 덴노의 자리를 물려주고, 가잔지(花山寺)에 머물며 출가했다. 이후 부처의 가르침을 좇아 수행하며 생활하다가 1008년, 41세 나이로 붕어했다.


3. 기타[편집]


일본 고유 형식의 시가인 와카 등에도 재능을 보였던 그는 《습유와카집》(拾遺和歌集)의 지은이로 알려져 있다.


4. 가족관계[편집]


* 뇨고(女御): 고키덴노 뇨고(弘徽殿女御) 후지와라노 요시코(藤原 忯子) (?~985) - 후지와라노 다메미쓰(藤原為光)의 딸

* 뇨고(女御): 호리카와노 뇨고(堀河女御) 후지와라노 요시코(藤原 姚子) (971~989) - 후지와라노 아사테루(藤原朝光)의 딸

* 뇨고(女御): 요시코 내친왕(婉子 女王) (972~998) - 다메히라친왕(為平親王)의 딸

* 뇨고(女御): 조쿄덴노 뇨고(承香殿女御) 후지와라노 다다코(藤原諟子) (957~1035) - 후지와라노 요리타다(藤原 頼忠)의 딸

* 궁인(宮人): 시고호(四御方) 후지와라노 다케코(藤原 儼子) - 후지와라노 다메미쓰(藤原為光)의 딸

* 궁인(宮人): 헤이시(平氏) (968~1028) - 타이라노 스케유키(平祐之)의 딸
제1황자: 기요히토 친왕(清仁 親王) (?~1030) - 63대 레이제이 덴노의 양자
* 궁인(宮人): 타이라노 히라코(平 平子) - 타이라노 스케타다(平祐忠)와 궁인 헤이시의 딸
제2황자: 아키나리 친왕(昭登 親王) (998~1028) - 레이제이 덴노의 양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3:06:11에 나무위키 가잔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