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충칭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현급행정구
시할구
(26)
완저우구
万州区
푸링구
涪陵区
위중구
渝中区
다두커우구
大渡口区
장베이구
江北区
사핑바구
沙坪坝区
주룽포구
九龙坡区
난안구
南岸区
치장구
綦江区
다쭈구
大足区
위베이구
渝北区
바난구
巴南区
첸장구
黔江区
창서우구
长寿区
장진구
江津区
허촨구
合川区
융촨구
永川区
난촨구
南川区
비산구
璧山区
퉁량구
铜梁区
퉁난구
潼南区
룽창구
荣昌区
량핑구
梁平区
우룽구
武隆区

(8)
청커우현
城口县
펑두현
丰都县
뎬장현
垫江县
중현
忠县
윈양현
云阳县
펑제현
奉节县
우산현
巫山县
우시현
巫溪县
자치현
(4)
스주 투자족 자치현
石柱土家族自治县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秀山土家族苗族自治县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酉阳土家族苗族自治县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彭水苗族土家族自治县
충칭시의 시정부 위치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시
충칭시
重庆(Chóngqìng(Shì | Chongqing Municipality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0px-China_Chongqing.svg.png

시정부 소재지충칭시 위중구 런민루232호
重庆市渝中区人民路232号
지역시난
면적82,403km²
하위 행정구역26구 8현 4자치현
시간대UTC+8[1]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3,235만명
인구밀도393명/km²
민족 구성한족 93.53% | 토가족 4.67%
묘족 1.65% | 회족 0.03%
HDI0.752 (2017)
서기위안자쥔(袁家军)
시장후헝화(胡衡华)
GRDP전체$4,385억 (2021)
1인당$13,479(2022)
상징시화동백꽃
시목황갈수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500000
지역전화번호023
우편번호400000 ~ 409900
ISO 3166-2CN-CQ

홈페이지

파일:중국 청두.jpg
충칭시 전경

1. 개요
2. 지명
3. 역사
4. 지리
4.1. 매우 넓은 면적
5. 행정구역
6. 경제
7. 교통
8. 관광
9. 사건사고
10. 여담
11. 출신 인물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충칭시는 중국 시난(西南) 지방에 위치한 중국 4대 직할시 중 하나이다. 면적은 82,403km²로 대한민국 실효 지배 면적의 약 80%이며, 중국의 성급시 중 가장 큰 면적을 자랑한다.[2] 인구는 32,350,000명[3]으로 행정구역상 단일 도시 기준 세계 최대 규모다. 입체적으로 공중에 도로나 도시 철도를 배치하고 고층 건물 옥상에 주차장, 학교 운동장 등 고공 시설을 활용하는 등 초과밀 인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중 도시로도 유명하다.


2. 지명[편집]


다국어 표기
한글충칭
독음중경
간체자重庆
번체자重慶
한어병음Chóngqìng
로마자Chongqing[4]

충칭의 한국식 독음은 '중경'이다. 한중수교 직후 원어 발음에 맞춰서 충칭이라 부른다.

현재 표준 로마자 표기로는 한어병음을 따라 Chongqing이라고 쓰지만, 과거 서양인들은 우정식 병음인 Chungking을 썼다. 19세기 관화에는 현재 한어병음에서 q로 표기되는 발음을 /k/ 비슷하게 발음하다가 구개음화로 인해 /tɕʰ/로 발음이 변했는데 우정식 병음은 그 이전의 관화 발음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이다. 충킹맨션같은 것도 이 표기를 가져온 것이다.

충칭이라는 명칭은 남송시대에 처음 생겼다. 1189년에 황태자 조돈이 이곳에서 이 된 지 한 달 만에 황제(광종)으로 즉위하며 "경사가 겹친다"는 의미의 쌍중희경(雙重喜慶)이라 하였고, 이를 줄여서 충칭이 된 것이다.

약칭은 위(渝;유)로 충칭 인근을 흐르는 자링강(嘉陵江)의 고대 이름인 유수(渝水)에서 따왔으며, 수나라 때 이 지역을 유주(渝州)라 하기도 했다. 다른 약칭으로 바(巴:파)도 있는데 이는 이 지역에 있었던 춘추전국시대의 소국에서 유래된 것이다. 지금의 쓰촨성 일대 위주인 과 합쳐서 파촉이라는 지명도 쓰였다. 위진남북조시대에는 형주, 익주, 파주, 초주 등으로도 불렀다.


3. 역사[편집]


춘추전국시대에는 (巴) 지역이었고, 한나라 때에는 익주(益州)에 속하다가 삼국시대에는 유비가 세운 촉한의 강주였다. 유비가 세상을 떠난 백제성이 있는 곳도 충칭시이다. 몽골-남송 전쟁 중 하나인 조어성 전투도 충칭시 허촨구에서 벌어졌다. 1259년 조어성 전투 이후 장각의 지휘 하에 원군의 공격에 계속 버티다가 1279년 수장 왕립이 성문을 열고 항복한다.[5] 원나라 말기인 1362년에는 명옥진을 중심으로 하는 농민 반란이 일어나 하(夏)나라를 세우고 잠시 이 지역을 지배하기도 한다.

1927년에는 쓰촨성에서 분리되어 원할시로 승격되었다. 이 때의 충칭원할시의 영역은 오늘날과 달리 현재의 충칭 중심부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포함하였다.

중일전쟁 때인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중국 국민정부임시수도가 되기도 했는데, 이때 충칭 대공습이라는 가슴 아픈 역사의 현장이 되기도 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한국광복군도 1940년 8월부터 충칭으로 본거지를 옮겼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쓰촨성에 재편입되어 충칭시는 1997년까지 쓰촨성에 속한 시였다. 당시까지 쓰촨성은 면적과 인구가 중국에서 1위였는데, 1980년대 중국정부는 이런 쓰촨성을 분할하고자[6] 쓰촨성 일부와 후베이성 일부를 분리해 싼샤성(三峽省)이라는 새로운 성을 신설하려 하였다. 면적은 80,000㎢, 인구는 1,760만 명 규모였으며, 성도는 이창(宜昌)에 둘 계획이였다. 싼샤성이란 명칭은 싼샤 댐으로 유명한 장강 삼협의 이름을 따온 것이였다. 그러나 이 계획은 결국 무산되었다. 그러나 1997년에 직할시로 분리시킨 충칭의 면적과 인구 규모를 보면 결국 싼샤성 계획이 실현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싼샤성 신설을 대신하여, 중국 정부는 서부 대개발을 위해 옛 파촉지방에서 옛 촉(蜀), 촉수(蜀水) 문화 지대를 현 쓰촨성으로 분리하고, 옛 파(巴), 파산(巴山) 문화 지대는 충칭직할시로 분리하고자 했다. 이에 쓰촨성의 충칭, 완셴, 첸장, 푸링 등을 통합해 1997년 3월 15일 충칭직할시가 출범하였다.

다시 말해 충칭은 성(省)이 될 수도 있었던 곳이라는 뜻이다. 중국 최대의 대표 성급시라는 면적과 위상 및 이러한 이면적 사정으로 종종 충칭을 성으로 승격시키자는 제안도 나오기도 한다.[7]


4. 지리[편집]


동경 105°17'-110°11' , 북위 28°10'-32°13'에 위치한다. 장강의 중류지방에 있으며, 서쪽으로 쓰촨성, 북쪽으로 산시성(섬서성), 남쪽으로 구이저우성, 동쪽으로 후베이성, 남동쪽으로 후난성과 접해 있다. 도심은 윈구이 고원의 가장자리에 장강의 상류와 자링강(嘉陵江)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북쪽으로 다바산, 동쪽으로 우산, 남동쪽으로 우링산, 남쪽으로 다러우산이 있다.

전체적으로 분지지형이다. 강 바로 옆은 낭떠러지에다가 그 산 위에 도시가 있다.[8] 그래서 "산의 도시(山城)"라는 별명도 붙었다. 이런 환경적 요인 때문에 과거에는 방어에 최적화된 쓰촨성을 강으로부터 침입을 어렵게 만드는 천혜의 요새였다.
도시가 워낙 가팔라서 계단이 많다 보니 중국에서 흔히 보이는 자전거는 생각도 못 하고[9], 입구가 1층 뿐만 아니라 여러층에 있는 건물이 충칭에서는 매우 흔하며[10], 기차역 앞에는 도심부로 올라가는 유료 에스컬레이터와 케이블카가 있을 정도다. 언덕이 매우 많고 경사져 있는데 마천루와 허름한 주택가가 많아 때론 사이버펑크 같은 분위기의 사진이 찍히기도 하며, 가파른 지형으로 인해 모노레일 선로가 매우 높이 설치되있으며 심지어는 아파트 한가운데에 있는 지하철역도 존재한다.

기후상으로는 아열대기후에 속해서 매우 덥고 습하다. 8월 평균 기온은 35도로 기록상 역대 최고 기온은 무려 44도에 달한다. 이런 더운 날씨 때문에 난징우한과 함께 '삼대화로'(三大火炉)로 불린다.

'안개의 도시(雾都)'라는 별명이 있는데, 실제로 1년에 100일 정도는 안개가 껴 있고 일조시간도 연평균 954.8시간으로 극히 적다. 그 유명한 런던보다 일조 시간이 적다.[11] 특히 12월의 평균 일조시간은 월 20.4시간에 불과해, 북위 64도에 위치한 레이캬비크의 12월 일조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과 비교하면 7분의 1 수준이다. 게다가 스모그 문제까지 심각하다. 워낙 심각해서 가끔 며칠 동안 맑은 날씨가 지속될 때면 자기 눈을 못 믿을 정도이다. 안개가 많은 이유는 도시가 3.5면이 강에 둘러싸여있는 원인이 크다.


4.1. 매우 넓은 면적[편집]


충칭은 '시'인데도 면적이 매우 넓다. 면적은 총 82,400㎢로 중국의 약 0.85%를 차지하며, 이는 무려 스위스의 2배, 남한의 82%, 홋카이도 정도의 크기이다. 비슷한 면적의 국가는 오스트리아아랍에미리트가 있다. 의 개념을 떠나, 하나의 국가 수준이다. 중국 내에서 비교하면 나머지 세개의 직할시인 베이징, 상하이, 톈진모두 합친 면적의 2배이며, 하이난성닝샤 후이족 자치구보다도 크다. 실제로 전세계의 독립시 중에서 면적이 가장 넓다.[12] 중국 4개 직할시 중에 면적이 압도적으로 넓어서 인구밀도가 낮은 편이며 상주인구는 약 3,200만 명으로 말레이시아, 우즈베키스탄, 네팔 인구 정도 된다.[13] 그중 도시 지역 인구가 500여만 명이 넘는다. 소수민족은 토가족, 묘족 등 약 200만 명이다.

중국은 어마어마한 면적으로 인해 행정구역의 계층이 세분화되있고, 또 단일 행정구역의 규모가 한국의 동급 행정구역에 비해 매우 크다. 가령 베이징시의 경우 독립시이며 국가의 수도라는 지위상 서울특별시와 동급이지만, 실제 규모는 서울, 경기도, 인천을 모두 합친것보다 크며, 강원도와 면적이 비슷하다. 하지만 충칭시는 이를 감안하더라도 면적이 워낙 넓어[14] 중국인들도 "왜 충칭은 면적이 이렇게 넓나요?" 라는 의문을 많이 가진다.

그 이유는 역사 문단에서 설명했듯이 오로지 싼샤 댐 때문이다. 댐 건설로 인해 당시 쓰촨성 푸링시(涪陵市), 완셴시(万县市) 일대가 수몰될 예정이었는데, 이 지역 주민들의 이주 문제 등을 더 원활하게 관리하기 위해 당시 쓰촨 동부에서 어느정도 경제력이 높았던 충칭과 함께 독립시로 승격하게 된다. 그리고 첸장지구(黔江地区)가 월경지가 된다는 문제가 생겨, 이 지역 역시 통째로 충칭시가 합병하게 된다. 그렇게 탄생한게 현재의 초거대형 충칭시.[15]

사실 중국 내 충칭보다 면적이 넓은 도시는 많다. 하지만 이들 도시는 성급이 아니라 2급행정구인 지급시다. 티베트 자치구나취시는 직할시도 아닌데 면적이 352,192㎢로 충칭의 4배 정도이다. 이는 한반도보다 훨씬 크고 독일 전체만한 크기다. 이렇게 큰 데도 인구는 겨우 48만 명으로 인구 밀도는 km²당 1명 수준으로 91명 수준인 강원도보다 훨씬 작다. 그 외에 티베트 자치구르카쩌시간쑤성주취안 시, 내몽골어얼둬쓰시, 츠펑시, 후룬베이얼시 등 면적이 어마어마한 "시"들이 존재한다.

대구광역시가 충칭시와 포지션이 비슷하다. 광역시(직할시) 중 가장 넓은 면적에 분지 지형과 무덥고 습한 기후까지 모두 비슷하다.

5. 행정구역[편집]


파일:충칭지도.jpg
파일:충칭세부지도.jpg
충칭시에는 26개의 , 8개의 , 4개의 자치현이 있다. 또한 유일하게 현과 자치현이 있는 성급시이기도 하다.

1997년 쓰촨성 소속이었던 충칭시와 푸링시(涪陵市), 완셴시(万县市), 첸장지구(黔江地区)가 합병되면서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이때 충칭시 지역은 모두 구로 승격되었으며 완셴과 첸장의 경우 시청 소재지만 구로 승격되고 나머지는 현으로 남아 있다. 1997년 당시 충칭시에 편입된 세 행정구역에 속한 곳들은 다음과 같다.





6. 경제[편집]


충칭시 통계국에 따르면, 2016년 충칭시의 GRDP(지역내총생산)는 1조 7,559억 위안으로 약 2,643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OECD 회원국 칠레의 경제 규모를 넘어서고 콜롬비아에 조금 못 미치는 수치이다. 1인당 GRDP는 2016년 상주인구를 바탕으로 계산할 시 57,902 위안(약 8,717 달러)[16]로, 러시아·브라질 수준이다. 충칭시의 최근 성장률은 놀라운 수준으로 2012년 13.6%, 2013년 12.3%, 2014년 10.9%, 2015년 11%, 2016년 10.7%를 기록했다. 4년 만에 GRDP가 50% 넘게 성장한 것이다.

2021년에는 GRDP가 총 2조 7,800억 위안으로, 불과 5년 전인 2016년보다 무려 1조 위안이 더 증가하였다. 2022년에는 GDP 성장률이 약 5.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7. 교통[편집]



특이하게 충칭시역이 가장 남쪽에 있고, 충칭남역이 충칭동역보다 더 동쪽에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아시아나항공중국국제항공인천 ↔ 충칭 직항을 운항 중이다. 충칭항공이 이 지역을 베이스로 하여 중국 각지로 실어나르고 있다.


8. 관광[편집]


상술했듯이 충칭은 산 위에 지어진 도시라 지형이 매우 가파르기로 유명하다. 이러한 독특한 지형 덕분에 중국 타 도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이색적인 관광지와 풍경이 많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SNS를 통해 입소문을 타면서 그야말로 도시 전체가 핫플레이스가 되었는데, 일례로 위중구에 위치한 바이샹쥐(白象居) 아파트는 그저 도심에 있는 평범한 구축 아파트였는데, 영화와 화보 촬영지로 알려진 덕분에 관광객들이 찾아오면서 주민들이 가정집을 카페로 개조하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몰려오다보니 그만 와달라고 할 정도. #

아래는 주요 관광지 리스트.







































시가지 밖을 보면 싼샤 댐이 있는 장강삼협[119] 크루즈 여행이 유명하다. 크루즈는 행정구역을 통과해 후베이성에 있는 이창에서 끝나는데 여기는 이릉대전의 무대였다. 충칭의 삼협 경치와 뱃놀이는 중세부터 유명했지만 싼샤 댐이 생겨서 수위가 확 올라가 협곡이 예전처럼은 웅장해보이지 않는 것이 문제. 근데 그렇게 협곡이 줄어들었는데도 상당히 웅장하다.


9. 사건사고[편집]





10. 여담[편집]

















11.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둘러보기[편집]


파일:중국 국장.svg
충칭시 영도인
[ 시장 ]

#FFF ||<-3><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 '''{{{#ffff00 충칭직할시 인민정부 시장}}}''' || ||<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 || ||<width=33%><rowbgcolor=#fff,#191919> [[천시롄]] ||<width=33%> [[차오훠추]] || || ||<-3> '''{{{#ffff00 충칭성할시 인민정부 시장}}}''' || ||<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 || ||<rowbgcolor=#fff,#191919> [[차오훠추]] || [[런바이거]] || || ||<-3> '''{{{#ffff00 충칭시 혁명위원회 주임}}}''' || || {{{-2 {{{#ffff00 초대}}}}}} || {{{-2 {{{#ffff00 제2대}}}}}} ||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란이눙]] || [[돤스잉]] || [[허윈펑]] || || {{{-2 {{{#ffff00 제4대}}}}}} || {{{-2 {{{#ffff00 제5대}}}}}} || {{{-2 {{{#ffff00 제6대}}}}}} || ||<rowbgcolor=#fff,#191919> [[루다둥]] || [[첸민]] || [[딩창허]] || ||<-3> '''{{{#ffff00 충칭성할시 인민정부 시장}}}''' || || {{{-2 {{{#ffff00 초대}}}}}} || {{{-2 {{{#ffff00 제2대}}}}}} ||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위한칭]] || [[샤오양]] || [[쑨퉁촨]] || || {{{-2 {{{#ffff00 제4대}}}}}} || {{{-2 {{{#ffff00 대리}}}}}} || || ||<rowbgcolor=#fff,#191919> [[류즈중]] || [[푸하이칭]] || || ||<-3> '''{{{#ffff00 충칭직할시 인민정부 시장}}}''' || || {{{-2 {{{#ffff00 초대}}}}}} || {{{-2 {{{#ffff00 제2대}}}}}} || {{{-2 {{{#ffff00 대리}}}}}} || ||<rowbgcolor=#fff,#191919> [[푸하이칭]] || [[바오쉬딩]] || [[왕훙쥐]] || || {{{-2 {{{#ffff00 제3대}}}}}} || {{{-2 {{{#ffff00 제4대}}}}}} || {{{-2 {{{#ffff00 제5대}}}}}} || ||<rowbgcolor=#fff,#191919> [[왕훙쥐]] || [[황치판]] || [[장궈칭]] || || {{{-2 {{{#ffff00 제6대}}}}}} || {{{-2 {{{#ffff00 대리}}}}}} || {{{-2 {{{#ffff00 제7대}}}}}} || ||<rowbgcolor=#fff,#191919> [[탕량즈]] || [[후헝화]] || [[후헝화]] ||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FFF ||<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width=33%>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천시롄]] || [[장린즈]] || [[차오훠추]] || || {{{-2 {{{#ffff00 제4대}}}}}} || {{{-2 {{{#ffff00 제5대}}}}}} || {{{-2 {{{#ffff00 제6대}}}}}} || ||<rowbgcolor=#fff,#191919> [[옌훙옌]] || [[런바이거]] || [[란이눙]] || || {{{-2 {{{#ffff00 제7대}}}}}} || {{{-2 {{{#ffff00 제8대}}}}}} || {{{-2 {{{#ffff00 제9대}}}}}} || ||<rowbgcolor=#fff,#191919> [[첸민]] || [[딩창허]] || [[위한칭]] || || {{{-2 {{{#ffff00 제10대}}}}}} || {{{-2 {{{#ffff00 제11대}}}}}} || {{{-2 {{{#ffff00 제12대}}}}}} || ||<rowbgcolor=#fff,#191919> [[샤오양]] || [[쑨퉁촨]] || [[장더린]] || || {{{-2 {{{#ffff00 제13대}}}}}} || {{{-2 {{{#ffff00 제14대}}}}}} || {{{-2 {{{#ffff00 제15대}}}}}} || ||<rowbgcolor=#fff,#191919> [[허궈창]] || [[황전둥]] || [[왕양]] || || {{{-2 {{{#ffff00 제16대}}}}}} || {{{-2 {{{#ffff00 제17대}}}}}} || {{{-2 {{{#ffff00 제18대}}}}}} || ||<rowbgcolor=#fff,#191919> [[보시라이]] || [[장더장]] || [[쑨정차이]] || || {{{-2 {{{#ffff00 제19대}}}}}} || {{{-2 {{{#ffff00 제20대}}}}}} || || ||<rowbgcolor=#fff,#191919> [[천민얼]] || [[위안자쥔]] || ||





[1] 중국은 전 지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이 중국 표준시를 사용한다.[2] 대략 아랍에미리트와 면적이 비슷하다.[3] 서울특별시 인구의 3배가 넘으며, 심지어 베이징시상하이시보다 인구가 더 많다.[4] 과거에는 Chungking이라고 했다.[5] 장각은 1280년 원으로 압송되던 와중 측간에서 자결함[6] 쓰촨성을 여러 개로 분할하자는 의견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직후부터 있어서 1950년 중국 공산당은 쓰촨성을 촨베이(川北), 촨난(川南), 촨둥(川东), 촨시(川西) 4개 행정구로 쪼갰으나 얼마 안 가 다시 원래대로 환원했다.[7] 그러나 직할시광둥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수장 레벨은 일반 성 서기의 직급보다 높다. 다른 성 서기의 직급은 성부급 정직이나, 직할시, 광둥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장은 국가급 부직이다. 따라서 성으로 승격될 경우, 오히려 직급이 낮아지게 된다.[8] 공항 및 고속철도역이 있는 신도심은 북쪽이다.[9] 공유자전거가 진출하긴 했으나 평지 위주인 대학 캠퍼스 내에서만 운영했다. 최근에는 도심지역에 전기자전거가 많이 보급된듯.[10] 국내에도 부산광역시처럼 지형이 가파른 도시에는 1층이 아닌곳에 입구가 있거나 꼭데기층에 도로와 연결된 주차장이 있는 건물이 몇몇 있으나, 10층 넘는 높이에 도로와 연결되있는 건물은 아마도 없을거다.[11] 런던의 일조시간은 연평균 1632.6시간으로 충칭의 1.7배 수준이다.[12] 독립시가 아닌 도시 중에서는 후술할 나취시가 가장 넓다.[13] 다만 국제적 관점으로 볼 때 인구밀도가 그리 낮다고 보긴 어렵다. 오스트리아아랍에미리트는 오히려 인구가 1,000만 명도 안된다.[14] 당장 중국 지도를 보면 나머지 3개 직할시인 베이징, 상하이, 톈진은 크기가 합리적인(?) 수준인 반면, 충칭은 비교적 면적이 작은 성(省)과 비등비등하다.[15] 이 논리대로라면 마찬가지로 싼샤 댐 건설의 영향을 받은 후베이성 이창시 등 지역 역시 충칭시로 편입되어야 했지만, 어째서인지 편입이 성사되지 않았다.[16] 전년비 9.6% 증가.[17] 파일:raffles_city_chongqing.png[18] 파일:인민대례당.jpg[19] 파일:충칭미술관.jpg[20] 파일:홍야동.jpg[21] 파일:해방비중앙상무구.jpg[22] 파일:리즈바역.jpg[23] 파일:白象街.jpg[24] 파일:十八梯.jpg[25] 파일:뤄한사.jpg[26] 파일:충칭대극장2.jpg[27] 파일:홍은사산림공원.jpg[28] 파일:重庆国际博览中心-21450394330.jpg[29] 파일:스쟈바전망대.jpg[30] 파일:弹子石.webp[31] 파일:万州大瀑布.webp[32] 파일:万州区狮子山公园.webp[33] width450[34] 파일:원펑구제.jpg[35] 파일:원먼산.jpg[36] 파일:钓鱼城.webp[37] 남송의 여개가 사천제치사로 부임했을 때, 염진과 염박 형제의 건의를 듣고 축조했고, 왕견이 이를 보수했으며 조어성 전투 당시 몽케의 군대를 막아내었고 1279년 이 곳을 지키던 왕립이 원에 투항했다.[38] 파일:라이탄고진.webp[39] 파일:金色蛋糕梦幻王国.webp[40] 파일:马桑溪古镇.webp[41] 파일:싼샤광장.jpg[42] 파일:츠치커우.jpg[43] 파일:沙坪公园.webp[44] 파일:仙女山.webp[45] 파일:150505019494031_thumb_1024_w.jpg[46] 파일:后坪天坑群.webp[47] 파일:龙水峡.jpg[48] 파일:华岩湖.jpg[49] 파일:龙水湖.webp[50] 파일:大足石刻.jpg[51] 파일:宝顶山.webp[52] 파일:白鹤梁.webp[53] 파일:816地下核工厂2.webp[54] 파일:大木花谷.webp[55] 파일:万盛石林.jpg[56] 파일:东溪古镇.webp[57] 파일:古剑山.webp[58] 파일:缙云山.webp[59] 조어성 전투왕덕신이 남송군의 공격을 받고 이 곳의 절에서 죽는다.[60] 파일:磨滩瀑布.webp[61] 파일:塔坪寺.jpg[62] 파일:统景温泉.webp[63] 파일:龙兴古镇.webp[64] 파일:충칭환러구.jpg[65] 파일:줘수이고진.jpg[66] 파일:武陵仙山.webp[67] 파일:芭拉胡.webp[68] 파일:창서우고진.jpg[69] 파일:东林寺.webp[70] 파일:푸티산.png[71] 파일:.환후궁.jpg[72] 파일:四面山.webp[73] 파일:石门大佛.webp[74] 파일:东温泉风景区.webp[75] 파일:펑성고진.jpg[76] 파일:松溉古镇.webp[77] 파일:茶山竹海.webp[78] 파일:金佛山.jpg[79] 파일:神龙峡.webp[80] 파일:露德堂.jpg[81] 파일:观音塘.webp[82] 파일:秀湖国家湿地公园.webp[83] 파일:安居古城.webp[84] 파일:铜梁武庙.webp[85] 파일:潼南大佛寺.webp[86] 파일:双江古镇.jpg[87] 파일:陈抟故里.webp[88] 파일:昌州故里.webp[89] 파일:安陶小镇.webp[90] 파일:南雅大佛寺.webp[91] 파일:双桂堂.jpg[92] 파일:白帝城.webp[93] 파일:夔门.jpg[94] 파일:싼샤즈뎬.webp[95] 파일:天坑地缝.jpg[96] 파일:长龙山-.jpg[97] 파일:龙缸.webp[98] 파일:磐石城.webp[99] 파일:登云梯.webp[100] 파일:张飞庙.webp[101] 파일:大昌古镇.webp[102] 파일:巫峡.webp[103] 파일:石宝寨.webp[104] 파일:灵巫洞.webp[105] 파일:黄泉路.webp[106] 파일:巴山湖.gif[107] 파일:东印茶山.webp[108] 파일:酉州古城.webp[109] 파일:龚滩古镇.webp[110] 파일:龙潭古镇.webp[111] 파일:桃花源.jpg[112] 파일:西沱古镇.webp[113] 파일:银杏堂.webp[114] 파일:峨溶温泉.webp[115] 파일:野人洞.webp[116] 파일:Pengshui-chiyou.webp[117] 파일:乌江画廊.webp[118] 파일:鞍子苗寨.webp[119] 싼샤댐의 한국식 독음이 삼협댐이다.[120] 홍콩에는 중국 지명을 따온 건물 이름들이나 거리 이름들이 흔하다. 영국이 홍콩을 기점으로 중국 내륙으로 뻗어들어가고 싶어하던 염원을 나타낸 것이다. ... 라는 것은 그냥 지어낸 이야기이고, 유럽에서는 거리 이름을 지을 때 다른 도시나 지명을 따와서 작명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예를 들면 독일의 지방 도시에는 베를린 거리(Berliner Strasse) 같은 이름의 거리들이 매우 많고, 영국의 도시들에는 런던 스트리트나 런던 로드 같은 거리 이름이 흔하다. 홍콩에 다른 중국 도시 이름을 딴 거리가 많은 이유도 홍콩을 통치하던 영국인들이 유럽식으로 거리 이름을 작명했기 때문이다. [121] 이상기후 때문이기도 하지만, 중공 정부에서 진행 중인 남수북조 사업도 한 몫 했다.[122] 마오쩌둥 시절 구상했고 현재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남수북조공정은 이전부터 반대가 심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