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능주의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어로 비슷한 발음의 Autism에 대한 내용은 자폐증 문서
자폐증번 문단을
자폐증#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차별
[ 펼치기 · 접기 ]

형태구조적 차별 · 선호 기반 차별 · 제도적 차별 · 통계적 차별
민족/국민 정체성대만인 · 러시아인 · 미국인 · 영국인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이스라엘인 · 일본인 · 중국인(반화) · 코리아인*(한국인(남한인) · 북한인(조선인)) · 팔레스타인인
사회문화계급(가난 · 카스트) · 무신론 · 언어 · 외국인 · 지역 · 채식주의자
성소수자동성애(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미소지니)
종교기독교(가톨릭) · 불교 · 이슬람(공포증(히잡))
특성성(性)(남성 · 여성 · 헤테로섹시즘) · 연령(노인 · 아동 · 청소년) · 외모(모발 · 얼굴 · 체형) · 왼손잡이 · 인종(체제화) · 자폐 · 장애(혐오 · 청각)
차별 관련 사상대한족주의 · 동화주의** · 반지성주의 · 비장애인 중심주의 · 엘리트주의 · 우월주의(남성 · 백인 · 여성 · 흑인) · 인종 분리주의(아파르트헤이트 · 짐 크로우) · 혈통주의(한 방울 원칙)
대책다문화주의 · 다양성(신경다양성) · 매스큘리즘 · 몸 긍정(비만 수용 흑인) · 민권 운동(미국 흑인) · 어퍼머티브 액션 · 인권(성소수자 단체 · 장애인) · 정치적 올바름 · 페미니즘 · 할당제
관련 주제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사회 정의 · 상호교차성 · 억압 · 임금격차 · 정체성 정치 · 젠더블라인드 · 존경성 정치 · 증오 발언(성소수자) · 증오 범죄 · 차별금지법 · 특권(기독교 · 남성 · 백인 · 신체(마름))
* Korea[n] 전반, 즉 한민족이나 대한민국/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차별은 anti-Korean sentimen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혐한'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인]에 대한 혐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북한[인]에 대한 혐오는 anti-Korean sentiment에 속하지만 보통 '혐한'과는 별개로 본다.
** 소수 집단 문화와 다수 집단의 문화를 동등하게 간주하지 않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 차별로 볼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창씨개명 강요 같이 강경 동화주의는 소수문화에 대한 '문화적 제노사이드'로 지칭되기도 한다.



1. 개요
2. 번역
3. 사례



1. 개요[편집]


Audism

장애인 차별의 한 사례로, 좁은 의미에서는 청인(비청각장애인)이 우월 혹은 정상적이라고 믿으며 농인(청각장애인)에게 청인처럼 행동하라고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1] 넓은 의미에서 청인(비청각장애인) 중심적으로 농인(청각장애인)을 판단하거나 청각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차별 전반을 가리킬 수 있다.


2. 번역[편집]


Audism의 가장 흔한 번역은 '청능주의'이다. 다만 청각 중심주의, 청인 우월주의, 청인 우선주의, 음성 언어주의 등으로 번역될 수도 있다.#


3. 사례[편집]


대한민국의 많은 청각장애 학생들이 일반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음성언어 사용이 정상 내지 우월함으로 여겨지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수어 교육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청인은 수어를 전혀 배우지 않고 단지 농인들에게만 언어 치료/교정을 통해 청인처럼 행동하도록 하는 사회 분위기가 강하게 만연해 있는 것은 청능주의의 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4 19:24:01에 나무위키 청능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수어를 차별하고 음성 언어를 우월하게 바라보는 시선도 오디즘에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