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나라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샤이닝 스타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채나라(샤이닝 스타) 문서
채나라(샤이닝 스타)번 문단을
채나라(샤이닝 스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춘추시대 제후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bgcolor=#c00><bgcolor=#000> 진(秦) ||<-5><bgcolor=#000080> 진(晉) ||<bgcolor=#6a5acd> 연(燕) ||
||<|2><bgcolor=#da3f3a> 주(周) ||<|2><bgcolor=#f59700><color=#373a3c> 정(鄭) ||<bgcolor=#008080> 위(衛) ||<bgcolor=#db7093> 조(曹) ||<bgcolor=#9acd32><color=#373a3c> 노(魯) ||<|2><bgcolor=#bf2f7b> 제(齊) ||
||<bgcolor=#75a64a> 채(蔡) ||<bgcolor=#808080,#7f7f7f> 진(陳) ||<bgcolor=#0d98ba> 송(宋) ||
||<-5><|2><bgcolor=#008000> 초(楚) ||<-2><bgcolor=#ff0000> 오(吳) ||
||<-2><bgcolor=#8B0000> 월(越) ||
||<-7><#8B0000> 관련 틀: 춘추오패

삼황오제 · · ·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남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역대 군주


1. 개요[편집]


중국 서주시대부터 있던 후작위의 동성 제후국. 수도는 상채였다가 신채로 옮긴다.

2. 상세[편집]



2.1. 역사[편집]


무왕대 문왕의 5남 채숙 도가 분봉, 초기 무왕의 동생인 관숙 선, 은나라 주왕의 아들 무경, 동생인 곽숙 처와 함께 삼감의 난(三監之亂)을 일으키나 주공 단이 진압한다. 주모자였던 관숙과 무경은 주살되고 군대를 동원했으나 소극적이었던 채숙은 추방, 군대를 동원하지는 않았으나 참가는 한 곽숙은 폐위된다[1]. 채숙은 추방지에서 죽으나 그의 아들 채중은 선량한 공적으로 복권, 국명을 성씨로 하사받아 채씨의 시조가 된다[2].

춘추시대 초기엔 주 왕실이나 주변 국가와 교류하는 등의 활동을 하나 의 공격에 급격히 쇠퇴, 영후대 초영왕이 잠시 멸한다. 초평왕이 영후의 아들을 찾아 초의 속국으로 복국되나 기원전 531년 초혜왕의 명을 받은 영운과 자발의 공격에 멸망한다.

2.2. 역대 군주[편집]


채 국군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초대

채숙 도 ||
||<width=25%>
제2대

채중 호 ||<width=25%>
제3대

채백 황 ||<width=25%>
제4대

궁후 ||<width=25%>
제5대

여후 ||
||
제6대

무후 ||
제7대

이후 ||
제8대

희후 ||
제9대

공후 ||
||
제10대

대후 ||
제11대

선후 ||
제12대

환후 ||
제13대

애후 ||
||
제14대

목후 ||
제15대

장후 ||
제16대

문후 ||
제17대

경후 ||
||
제18대

영후 ||
제19대

평후 ||
제20대

도후 ||
제21대

소후 ||
||
제22대

성(成)후 ||
제23대

성(聲)후 ||
제24대

원후 ||
말대

채후 제 ||
||<-4><bgcolor=#ffffff,#191919> ||
||<-4><bgcolor=#75a64a>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대수시호이름재위기간기타
1
2
3
4궁후
5여후
6무후기원전 863-837년
7이후기원전 837-809년
8희후소사(所事)기원전 809-761년
9공후흥(興)기원전 761-760년
10대후기원전 759-750년
11선후조보[3](措父)기원전 749-715년
12환후봉인(封人)기원전 714-695년
13애후헌무(獻舞)기원전 694-675년환후의 동생
14목후힐(肸)기원전 674-646년
15장후갑오(甲午)기원전 645-612년
16문후신(申)기원전 611-592년
17경후고(固)기원전 591-543년
18영후반(般)기원전 542-531년경후의 아들[4]
19평후여(廬)기원전 530-522년영후의 아들[6]
20도후동국(東國)기원전 521-519년영후의 손자[7]
21소후신(申)기원전 518-491년도후의 동생
22성후삭(朔)기원전 490-472년
23성후산(產)기원전 471-457년
24원후기원전 456-451년
25[8]기원전 450-447년
[1] 3년 후 복권[2] 정씨, 주씨, 연씨, 오씨, 한씨등도 이런 사례[3] 이땐 父를 보로 읽었다[4] 경후가 자신의 부인과 간통하는 것을 보고 그를 시해해 즉위(…) 재위 12년 초영왕이 신읍으로 유인해 술을 먹인 다음 죽이고 채나라를 공격해 일시적으로 멸망시킨다[5] 초영왕이 제사에 제물로 바쳐 사망[6] 은태자 우[5]의 동생. 초영왕을 죽인 초평왕이 영후의 둘째 아들 여를 복위시켜 복국시킨다[7] 은태자 우의 아들. 평후의 아들을 몰아내고 즉위[8] 재위 4년 멸망해 시호 없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2:13:52에 나무위키 채나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