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창경궁 월근문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
관풍각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
세답방
수궁

영안문
환취정
자경전
장고
요화당
통화전
명광문

건인문

통명전
양화당
정일재
집복헌
영춘헌


여휘문
여휘당

채원합
소주방
연희당
연춘헌
천오문
만입문
보정문

통화문


정양문
연경당




경춘전
환경전
소주방
장방
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
공목합
수랏간
함안각
교태문
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
협문
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
누국
오위도총부
고문관
주자소
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
계방
등룡문




선인문





춘방
사주문
내사복시





시민당




종묘

수문
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창경궁 월근문
昌慶宮 月覲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건축시기
1779년 (창건)

월근문[1]
1. 개요
2. 역사
3. 구조
4. 여담



1. 개요[편집]


창경궁의 출입문이다. 정문 홍화문의 북쪽에 있다.


2. 역사[편집]


1779년(정조 3년) 11월에[2] 세웠다.# 정조는 즉위 후 친아버지 사도세자사당 경모궁창경궁 동쪽에 지었다. 그리고 경모궁에 자주 편하게 참배할 수 있게 창경궁에서 경모궁과 맞닿은 동북쪽 담장에 월근문을 만들었다. 이름 ‘월근(月覲)’이 ‘매달(月)마다 경모궁에 찾아뵙겠다(覲)’는 뜻이다.


3. 구조[편집]


  • 1층[3] 목조 건물이다. 정면 2칸, 측면 2칸, 총 4칸이다.

  •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왼쪽 칸 지붕이 낮고 오른쪽 칸 지붕이[A] 높은 솟을지붕 형태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다.

  • 오른쪽 칸에는 초익공 형식의 공포를 두었다. 하지만 왼쪽 칸은 공포를 두지 않은 민도리 양식이다. 단청은 모루단청[4]으로 칠했다.

  • 현판은 흰 바탕에 검은 글씨이며 오른쪽 칸에 걸려 있다.[A]

  • 문짝과 벽체는 전부 붉은 칠을 한 나무이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만들었고, 틀 위에는 홍살을 두었다. 왼쪽 칸 홍살은 문틀 바로 위에 있으나, 오른쪽 칸 홍살은 문틀 위에 풍혈을 뚫은 9개의 궁판을 놓고 그 위에 만들어 놓았다.[A]

  • 문지방이 없다. 단, 각 칸의 바닥 가운데에 둥근 을 박아놓아 문을 고정시켰다.


4. 여담[편집]



  • 2010년대 말에 창경궁, 종묘 사잇길 복원 공사를 하면서, 이 비공식적으로 종묘를 갈 때 사용하던 북신문을 복원할 때 월근문을 참고로 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음력 10월.[3]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A] A B C 궁 밖에서 보는 사람 기준.[4]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