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원남면

덤프버전 : (♥ 0)

||


1. 개요
2. 노선
2.1. 음성 - 덕정. 주봉. 마송. 상노
2.2. 음성 - 동음(장갈)
2.3. 음성 - 증평
2.4. 음성 - 하당회관
2.5. 음성 - 원남산업단지
2.6. 음성 - 괴산(구안. 소수)



1. 개요[편집]


음성터미널을 출발해서 원남면, 보천 방면으로 가는 노선에 대해 서술한다.


2. 노선[편집]


보천까지 가는 노선은 마송행과 증평행을 제외하면 없다. 덕정, 주봉행 노선의 경우 보천 바로 전 마송3리에서 갈라진다.


2.1. 음성 - 덕정. 주봉. 마송. 상노[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덕정(마송). 상노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덕정)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10
막차18:10막차18:3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5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하당회관) - 상당2리 - (상노리 - 상노리경로당 - 오악골 - 주봉3리) (행치 - 반기문생가) - 마송3리 - (보천 - 보천정미소 - 보양마을 - 마송) - 보룡2리 - 팔테골 - 덕정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덕정. 원남산단. 장갈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덕정)
종점행첫차08:30기점행첫차08:50
막차08:30막차08:5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상당2리 - (→원남산업단지) - 행치 - 반기문생가 - 마송3리 → 보룡2리 → 팔테골 → 덕정 → 삼용2리 → 향정 → 삼생2리 → 향정 → 삼용2리 → 삼용1리 → 조촌2리 → 장갈 → 조촌1리 → 보천 → 마송3리 - 반기문생가 - 이하역순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덕정(주봉). 상노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덕정)
종점행첫차19:30기점행첫차20:00
막차19:30막차20:0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상당2리 → 상노리 → 상노리경로당 → 오악골 → 주봉3리 → 마송2리 → 주봉2리 → 주봉1리(주봉) → 주봉2리 → 마송2리 → 마송3리 → 보룡2리 → 팔테골 → 덕정 → 팔테골 → 보룡2리 → 마송3리 → 반기문생가 → 행치 → 상당2리 - 하당1리 - 이하역순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주봉. 상노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주봉)
종점행첫차13:00기점행첫차13:20
막차16:00막차16:2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2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상당2리 - (상노리 - 상노리경로당 - 오악골 - 주봉3리) (행치 - 반기문생가 - 마송3리) - 마송2리 - 주봉2리 - 주봉1리(주봉)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주봉(마송). 상노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주봉)
종점행첫차08:50기점행첫차09:10
막차08:50막차09:1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상당2리 → 행치 → 반기문생가 → 마송3리 → 마송2리 → 주봉2리 → 주봉1리(주봉) → 주봉2리 → 마송2리 → 마송3리 → 보천 → 보천정미소 → 보양마을 → 마송 → 보양마을 → 보천정미소 → 보천 → 마송3리 → 주봉3리 → 오악골 → 상노리경로당 → 상노리 → 상당2리 - 하당1리 - 이하역순

음성터미널을 출발하여 음성읍내 남쪽으로 내려간다. 음성에서 원남(보천)을 잇는 노선은 상노 경유를 제외하면 마송2리까지 모든 노선의 경로가 같다. 덕정, 주봉, 마송 중에서 종점이 나눠지는데 덕정에 7회, 마송에 5회, 주봉에 4회 들어간다. 상노리 경유는 음성 방면으로 4회, 종점 방향으로 4회 운행한다.

1일 1회 장갈 경유 음성 - 동음 노선처럼 장갈을 경유하는 노선이 있다. 덕정에서 더 들어가 삼용리를 지나 동음 가기 전 삼생에서 회차해 다시 덕정으로 가지않고 장갈을 통해 보천으로 내려온다. 이 때 덕정 - 삼용리 구간은 이 차량만 1회 운행한다. 또한 이 차량은 음성에서 덕정으로 갈 때 원남산단을 경유한다.

하당회관을 경유하는 계통이 2회 운행하며 음성 방향으로 음성여중을 경유하는 시간대도 1회 운행한다.

마송행 노선은 모든 시간대에 덕정이나 주봉을 함께 경유한다.

마송 경유 노선은 후술할 음성 - 증평노선처럼 신도로를 쭉 타고 가다가 보천에서 빠진 후 보천정미소 앞을 지나 마송리 종점으로 들어간다. 즉, 시간표에 마송이 써 있으면 마송으로 갔다오면서 항상 보천을 지나간다.

음성 - 주봉. 덕정. 마송. 상노 통합 시간표
횟수음성상노주봉덕정마송상노번호
106:5007:1007:0007:25
음성여중
820
308:30원남산단08:50[1]821
208:5009:10마송2리 09:15
09:30
09:35822
410:4011:10마송2리 11:1511:20823
513:0013:1013:20마송2리 13:2513:30824
613:40하당회관14:0014:10825
716:0016:1016:20마송2리 16:25826
816:20하당회관16:3016:50827
918:1018:2018:3018:40828
1019:3019:4019:5020:00829

2.2. 음성 - 동음(장갈)[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동음(장갈)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동음)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07:00
막차19:50막차17:4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6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상당2리 - (원남산업단지[2]) - 행치 - 반기문생가 - 마송3리 - 보천 - 조촌1리 - 장갈 - 조촌2리 - 삼용1리 - 삼용2리 - 향정 - 삼생2리 - 삼생4리 - 동음1리 - 동음1리회관 - 코스카C.C - (월창) - 동음2리(동음)

음성을 출발하여 마송노선처럼 보천까지 운행한 후 장갈로 올라간다. 여기서는 보천. 장갈경유만 서술하였지만 동음행 노선은 이외에도 신천 경유 시간대가 더 존재한다. 전체시간표와 노선은 문서 참조.

첫차는 동음, 막차는 음성으로 갈 때 신천을 경유한다. 또한 동음발 첫차는 학기 중 평일에만 포란재아파트 대신 음성여중을 경유한다.

장갈에는 이 노선 이외에도 덕정 - 장갈 - 보천행(음성 0830/덕정 0850)이 1회 더 경유한다.

음성 - 동음(장갈) 시간표
횟수음성동음번호
106:40
음성여중
07:00
음성여중
640
209:0009:40642
310:1010:50644
411:0011:40642
514:2015:00644
617:0017:40
원남산단
643
719:50-645

2.3. 음성 - 증평[편집]


파일:증평 버스 음성.jpg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증평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신동리(증평역)
종점행첫차07:00기점행첫차07:50
막차19:00막차19:4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아성교통
배차간격1일 12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상당2리 - 행치 - 반기문생가 - 마송3리 - 보천 - 보천정미소 - 방죽안 - 복호 - 문암4리 - 승곡 - 문암2.3리 - (도안농공단지 - 송정 - 도안초 - 도안보건소 - 상작 - 화성5.6.7리 - 형석중고교 - 대성베르힐) (송정리 - 노암리 - 제2산업단지 - 미암리 - 증평산업단지 - 증평현대장례식장 - 증평군립도서관) - 증평우체국 - 삼보초교.신주공2단지 - 보건복지타운 - 증평역

진천여객, 음성교통이 2회, 아성교통이 10회 운행한다. 아성교통이 운행하는 시간대는 음성발은 602번, 증평발은 206번으로 노선 번호가 따로 부여되어 있다.

본선은 도안을 경유하지만 시간대에 따라 노암리 - 증평산업단지를 경유한다.

진천여객, 음성교통이 운행하는 시간대는 2회 모두 진천에서 07:20, 16:50에 출발해 초평을 경유하여 증평으로 갔다가 다시 진천으로 돌아가지 않고 증평에서 08:00, 17:30에 출발해 원남(보천)을 경유하여 음성 공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한다. 진천 - 증평 - 음성으로 가는 운행 계통이다.

반대로 음성에서 07:40, 17:20에 출발해 원남(보천)을 경유하여 증평으로 간 차량은 다시 음성으로 오지 않고 증평에서 08:10, 17:50에 출발해 초평을 경유하여 진천으로 향한다. 진천 - 증평간 노선은 문서 참조.

음성 - 증평 통합 시간표
횟수음성번호증평번호
107:0060207:50
산단
206
2진천 07:20→20508:00205
307:4066008:10→ 진천660
408:0060209:00206
509:3060210:30206
610:5060212:10206
712:3060213:30206
814:0060215:00206
915:0060216:10206
1016:3060217:20206
11진천 16:50→20517:30205
1217:2066017:50→ 진천660
1318:00
산단
60219:00206
1419:00
산단
60219:40206

2.4. 음성 - 하당회관[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하당회관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하당회관)
종점행첫차13:40기점행첫차16:20
막차-막차-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2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하당회관 - 이후 행선지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구례골(하당회관)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하당회관)
종점행첫차18:40기점행첫차18:50
막차18:40막차18:5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하당회관 → 초천2리(밤나무재) → 율동마을회관 → 초천3리 → 샛골 → 초천4리 → 삼생1리 → 덕생초 → 구례골 → 뱅거리 → 소여2.1리 → 신천1리 → 예술회관 → 음성공용터미널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하당회관(구례골)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하당회관)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05
막차09:00막차09:15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2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예술회관 → 신천1리 → 소여1.2리 → 뱅거리 → 구례골 → 구.덕생초교 → 삼생1리 → 초천4리 → 샛골 → 초천3리 → 초천2리(밤나무재) → (율동마을회관)[3]하당회관 → 하당1리 → 금광포란재 → 음성보건소 → 음성공용터미널

하당회관으로 들어오는 버스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음성 - 하당회관 - 구례골을 운행하는 순환노선이 3번[4], 음성 - 덕정 노선이 2번 하당회관을 경유한다.

구례골을 지나는 순환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음성 - 하당회관 통합 시간표
횟수음성하당회관
(초천2리 방면)
종점하당회관
(음성 방면)
율동마을회관번호
106:50음성→구례골 07:0007:05650
209:00음성→구례골 09:1009:1509:20651
313:4014:00덕정.마송825
416:2016:30덕정.마송827
518:4018:50구례골 18:55율동마을회관 19:00→ 음성653

2.5. 음성 - 원남산업단지[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 원남산업단지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원남산단)
종점행첫차08:30기점행첫차18:00
막차08:30막차18:0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당1리 - 상당2리 - 원남산업단지 - 이후 행선지

음성에서 원남산업단지를 거쳐 종점으로 향한다. 음성 - 덕정 노선이 덕정 방면으로 1회, 음성 - 동음 노선이 음성 방면으로 1회 경유한다.

원남산단 경유 시 왕복편 모두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산업단지 내부를 순환한다.

음성 - 원남산업단지 통합 시간표
횟수음성산업단지번호
108:3008:40 → 덕정821
2동음 17:40 →18:00643


2.6. 음성 - 괴산(구안. 소수)[편집]


파일:괴산 버스 음성.jpg
괴산군/증평군 농어촌버스 음성 - 괴산(소수)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종점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괴산터미널)
종점행첫차06:30기점행첫차07:10
막차18:40막차19:30
운수사명아성교통배차간격1일 10회
노선음성공용터미널 - 음성보건소 - 금광포란재 - 하노2.3리 - 구안리 - 길선리 - 수리 - 소수 - 입암2리 - 고마리 - 아성리 - 월곡 - 정용 - 괴산북중학교 - 괴산군청 - 서부병원 - 괴산시내버스터미널

괴산 - 음성을 잇는 노선은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소수 경유와 목도 경유인데, 이 노선은 음성에서 하당리 방면으로 내려가다 하노리. 구안리를 지나 소수를 경유해서 괴산으로 향한다.

음성교통, 진천여객이 1일 2회 운행하는 음성 - 증평 노선과 달리 음성에서 괴산을 잇는 노선은 아성교통이 단독 운행한다.

구안리 방면으로는 음성 - 충도. 구안 노선도 지나간다.

음성 - 괴산(소수) 시간표
횟수음성번호괴산번호
106:3060107:10106
207:0060108:10106
309:0060110:00106
410:0060111:30106
511:3060113:00106
613:1060114:00106
714:3060115:40106
816:0060117:10106
917:2060118:10106
1018:4060119:3010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3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3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괴산군·증평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2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괴산군·증평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2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괴산군·증평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2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괴산군·증평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2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4:06:00에 나무위키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원남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덕정에서 차를 돌리지 않고 덕정 → 장갈 → 보천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삼용리 방면에서 승차하여야 한다.[2] 동음발 1740 차량만 음성방향으로 1회 경유[3] 음성발 0900 경유[4] 순환노선이므로 음성에서 하당으로 갈 때, 하당에서 음성으로 갈 때 모두 승차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