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생극면

덤프버전 :

||


1. 개요
2. 노선
2.1. 무극 - 감곡(생극)
2.2. 생극 - 차곡. 차평
2.3. 생극 - 팔성. 관말. 임곡
2.4. 생극 - 송곡2
2.5. 생리, 오생리 방면



1. 개요[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중 생극면을 거쳐가는 노선들에 대해 서술한다.


2. 노선[편집]


생극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은 없지만 무극 - 감곡 노선이 생극으로 운행한 뒤 생극면 각 마을을 경유하고 다시 생극터미널로 돌어오거나 바로 감곡으로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거에는 생극에서 병암리를 경유해 능산을 이어주는 노선과 무극 - 육령 노선이 생극 방향으로 경유하던 시간대[1]가 있었지만 시간표 개정으로 폐선되었다.


2.1. 무극 - 감곡(생극)[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감곡(생극)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왕장3리)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7:20
막차19:30막차20:1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8~20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KT금왕점 - 정생2리 - 도신리 - 병암2리 - 봉덕사 - 생극면사무소 - 생극초교 - 생극터미널 (- 병암/관말) - 신양2리회관 - 신양2리 - (팔성1리 - 임곡리) - 다농개 - 차평주유소 - 방축리 - 원당1리 - (송곡2리) - 원당초교 - (원당2리) - 원당리 - 주천2리 - 주천리 - 오향6리 - 감곡장례식장 - (오향4리) - 오향3리 - 감곡중학교 - 감곡면사무소 - 감곡정류장 - 왕장3리

무극에서 출발해 생극을 지난 후 시간대에 따라 팔성/차곡/송곡2리를 경유해 감곡까지 운행하는 노선. 무극→생극 19회, 생극→무극 19회, 감곡→생극 18회, 생극→감곡은 20회 운행한다. 무극→감곡은 17회, 감곡→무극은 16회 운행한다.

무극 - 생극 - 감곡 구간은 세부 경유지만 제외하면 동일하므로 무극 - 생극 - 감곡간 통합 시간표와 각 마을(팔성, 송곡 등)에 들어가는 시간표로 분리해서 작성한다. 무극에서 생극까지는 약 10분, 생극에서 감곡까지는 약 15분 소요된다. 다만, 생극터미널 시간표에서는 감곡발 무극방향도 출발 후 약 10분 뒤에 생극터미널에 경유하는 것으로 표기되어있다.

팔성, 차곡, 송곡2리 이외에 생극 - 감곡 구간 경유지는 원당2리와 오향4리가 더 있다. 문서 참조.

무극 → 생극 → 감곡 통합 시간표
횟수무극생극행선지번호
106:0006:10감곡700
206:4006:50팔성. 임곡
생극 07:05
차평. 감곡
701
307:1007:20송곡2. 원당2. 감곡702
4삼성 07:30
관말. 팔성
07:55감곡506
5음성 07:30
무극 07:50
08:00감곡700
608:3008:40감곡700
709:2009:30원당2. 감곡703
810:2010:30송곡2. 감곡704
911:5012:00팔성. 임곡
송곡2. 오향4. 감곡
705
1012:3012:40감곡700
1113:2013:30감곡700
1214:2014:30감곡700
1314:5015:00차평. 차곡
생극 15:25
감곡. 감곡장호원역
708
1415:2015:30감곡700
1516:0016:10오향4. 감곡706
1617:0017:10감곡700
1718:0018:10감곡700
1818:4018:50팔성. 임곡
생극 19:05
감곡. 감곡장호원역
707
19감곡 18:5019:05팔성
생극 19:15
감곡
710
2019:3019:40감곡700

감곡 → 생극 → 무극 통합 시간표
횟수감곡경유지생극→무극번호
107:2007:35710
207:5008:05710
308:3008:45
복지회관
710
408:40생극. 차곡. 차평09:20711
509:40오향409:55712
610:3010:45710
711:2011:35710
811:5012:25710
913:1013:25710
1014:10원당2. 송곡214:30713
1115:0015:15710
1216:00원당2. 송곡216:15713
1316:4016:55710
1417:2017:35710
1518:00생극. 팔성
관말. 삼성
18:15714
1618:5019:05710
1719:3019:45710
1820:1020:25710

2.2. 생극 - 차곡. 차평[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생극 - 차곡(차곡. 차평)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생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곡리(차곡리)
종점행첫차08:55기점행첫차09:05
막차08:55막차09:05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감곡 -) 생극터미널 → 생극면사무소 → 홍은아파트 → 생극오일뱅크 → 생2리 → 하생 → 레인보우C.C → 차곡리 → 차평저수지 → 차평리 → (차평안동네 → 생극산단입구 → 생극성당) (본말 → 차평주유소 → 다농개 → 신양2리) → 신양2리회관 → 생극터미널 (- 무극)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생극 - 차곡(차평. 차곡)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생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곡리(차곡리)
종점행첫차15:00기점행첫차15:10
막차15:00막차15:1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무극 -) 생극터미널 → 신양2리회관 → 신양2리 → 다농개 → 차평주유소 → 본말 → 차평리 → 차평저수지 → 차곡리 → 레인보우C.C → 하생 → 생2리 → 생극오일뱅크 → 홍은아파트 → 생극면사무소 → 생극터미널 (- 감곡)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생극 - 차평(차평. 감곡)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생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차평리)
종점행첫차07:05기점행첫차07:10
막차07:05막차07:1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0.5회
노선(무극. 생극. 팔성. 임곡 -) 생극터미널 → 신양2리회관 → 생극성당 → 생극산단입구 → 차평안동네차평리 → 본말 → 차평2리회관 (- 감곡)

무극이나 감곡에서 출발한 차량이 생극에 도착한 후 차곡리를 한 바퀴 돌아 이후 행선지로 향한다. 이때 같은 정류장에 2번 정차하는 구간이 있으니 행선지 방향을 잘 보고 이용해야 한다. 차곡→차평으로 순환하는 계통이 1회, 차평→차곡으로 순환하는 계통은 1회 운행한다. 이 차량 이외에도 차평리만 경유한 뒤 감곡으로 가는 차량도 1회 운행한다.

일부 시간대에는 생극산단입구를 지나는 차평리안동네를 경유하여 운행한다. 시간표 참조.

생극 - 차곡 통합 시간표
생극터미널에서 승차방향: ( )는 감곡 방향, 표시 없으면 무극 방향에서 승차
횟수출발지생극경유지도착지경유지생극행선지번호
1무극
06:40
(06:50)팔성임곡
07:00
팔성07:05차평안동네. 감곡701
2감곡
08:40
08:55생리차곡
09:05
차평09:10무극711
3무극
14:50
(15:00)차평차곡
15:10
생리(15:20)감곡708

2.3. 생극 - 팔성. 관말. 임곡[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생극 - 팔성(임곡)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생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임곡리)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00
막차18:50막차19:0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3회
노선(무극 -) 생극터미널 → 신양2리회관 → 신양2리 → 팔성1리 → 임곡길 → 송곡1리 → 임곡리 → 송곡1리 → 생극터미널/감곡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생극 - 팔성(관말. 삼성)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생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삼성터미널)
종점행첫차18:15기점행첫차07:30
막차18:15막차07:3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감곡 -) 생극터미널 - 신양2리회관 - 신양2리 - 팔성1리 - 팔성2리 - 토끼실 - 생극추모공원 - 관성1리(관말) - 산성리 - 호산2리 - 호산사거리 - 바위안 - 안터 - 용대리 - 용대낚시터 - 대야리 - 동리 - 진양밸리 - 양덕2.3리 - 장고개 - 삼성시장 - 삼성터미널 (- 무극)

생극면 팔성리로 향하는 노선. 생극 - 팔성1리까지는 모든 노선이 공통적으로 경유하며 삼성으로 가는 노선은 팔성2리와 토끼실을 경유한다.

시간대에 따라서는 임곡리까지 3회 들어간다. 3회 모두 팔성1리→임곡리 순으로 운행하며, 송곡1리로 나온 후 생극, 감곡으로 향한다.

차곡리 노선과 달리 생극에서 모든 시간대에 감곡 방면으로 승차해야 하며 팔성에서 생극을 가기 위해서는 막차를 제외한 모든 시간대에 생극 방면으로 승차하면 된다.

생극 - 팔성. 임곡 통합 시간표
횟수출발지경유지생극팔성임곡생극경유지행선지번호
1무극
06:40
도신리06:5006:5507:0007:05차평감곡701
2삼성
07:30
호산사거리. 관말토끼실
07:50
07:55원당리감곡506
3무극
11:50
도신리12:0012:0512:10응천 뚝방길. 송곡2리.
원당리. 오향4리
감곡705
4감곡
18:00
원당리18:1518:20
토끼실
관말. 호산사거리삼성714
5무극
18:40
도신리18:5018:5519:00원당리감곡707

2.4. 생극 - 송곡2[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생극 - 송곡2(감곡)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생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송곡리(송곡2리)
종점행첫차07:35기점행첫차14:30
막차12:00막차16:2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2.5회
노선(무극 -) 생극터미널 - 신양2리회관 - 신양2리 - (팔성1리 - 임곡리) - 다농개 - 차평주유소 - 방축리 - 원당1리 - 송곡2리 (- 감곡)

송곡2리에 들어오는 차편은 감곡 방면이 3회, 무극 방면이 2회 들어온다.

특이하게 생극면에 속해있음에도 불구하고 생극으로 나오는 첫차는 14:10에야 있다. 반대로 생극에서 송곡2리로 가는 차량은 12:00 차량이 막차다.

무극 → 송곡2리 → 감곡 통합 시간표
횟수무극생극송곡2→감곡번호
107:1007:3507:40702
210:2010:3010:35704
311:5012:00
팔성. 임곡[2]
12:15705

감곡 → 송곡2리 → 무극 통합 시간표
횟수감곡송곡2생극→무극번호
114:1014:2514:30713
216:0016:1516:20713


2.5. 생리, 오생리 방면[편집]


생극면 동남쪽 생리와 오생리 방면으로 향하는 노선은 크게 2가지가 있다.

  • 생극 - 차곡 노선: 차곡으로 가면서 생리를 경유한다.
  • 충주 시내버스
    • 159번(관말), 171번: 159번은 관말에서 출발해 오생, 생리와 생극을 지나 수월까지 가는 노선이고 171번은 충주나 수월에서 관말까지 가는 노선이다. 병암리를 경유하며 관말소류지를 지나 관말에서 회차한다. 관말소류지 구간은 이 노선만 지난다. 수월에서 오생, 생리와 생극을 잇는다는 것은 159(주감곡), 172번과 동일하다.
    • 159번(주감곡), 172번: 역시 159번은 감곡에서 생극, 수월로 가는 노선이고, 172번은 충주나 수월에서 감곡으로 가는 노선이다. 수월에서 오생, 생리와 생극을 잇는다는 것은 159(관말), 171번과 동일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 구간은 현재 충주 시내버스 노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2] 임곡에서 송곡2리로 갈 때, 방축리로 가지 않고 응천 뚝방길을 통해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