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금왕읍

덤프버전 :

||


1. 개요
2. 노선
2.1. 무극 - 음성
2.2. 무극 - 본대2. 연방죽
2.3. 무극 - 병암. 각회
2.4. 무극 - 예순터. 육령
2.5. 무극 - 백야
2.6. 무극 - 덕산. 진천(봉곡)
2.7. 무극 - 부윤(삼봉. 상유촌)
2.8. 무극 - 삼성(안골)



1. 개요[편집]


거점과 거점을 잇는 무극[1] - 음성 노선과 금왕읍 내부를 종점으로 삼는 노선에 대해 서술한다.


2. 노선[편집]


2019년 12월 무극버스터미널이 소방서 뒤편으로 이전함에 따라 무극을 기점으로 삼는 노선은 무극임시정류소에서 승차하여야 한다. 노선은 별다른 변경 없이 한 정류장 늘어난 상태로 운행 중.


2.1. 무극 - 음성[편집]


파일:600 음성.jpg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음성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음성터미널)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10
막차20:00막차20:3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21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복지회관) - 벽성아파트 - 무극저수지 - (사정2.1리 - 감탕저수지(사정)) - 사정리 - 감우리회관 - 감우리 - (뱅거리 - 구례골 - 초천1리) - 소여2.1리 - 신천1리 - 예술회관 - 음성공용터미널

무극 - 음성을 잇는 노선. 시간대에 따라 사정리 또는 초천1리를 경유한다.

1일 1회 무극 복지회관을 경유하며 학기 중 평일에는 충북반도체고를 경유하는 시간대도 있다.

무극 - 음성 시간표 출처
횟수무극경유지번호
106:40-600
207:30-600
307:40-600
407:50-600
508:10-600
609:10복지관,사정리601
710:10-600
811:10-600
912:00-600
1013:00-600
1113:50-600
1214:30-600
1315:20-600
1416:00-600
1516:50-600
1617:40-600
1718:10-600
1818:40복지관,사정리601
1919:20-600
2020:00-600

음성 - 무극 시간표 출처
횟수음성경유지번호
107:00-610
207:30-610
307:50-610
408:00반도체고612
508:40-610
609:10복지관610
710:10-610
811:20-610
911:50-610
1012:30-610
1113:10사정리611
1214:00-610
1314:40-610
1415:20-610
1516:00-610
1616:50-610
1717:40-610
1818:20-610
1919:00-610
2019:40-610
2120:30-610


2.2. 무극 - 본대2. 연방죽[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무극(본대2. 연방죽)
기점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
종점행첫차06:30기점행첫차-
막차06:30막차-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0.5회
노선진천종합터미널→ 우주동백아파트 → 진천소방서 → 부영아파트 → 새반지 → 은행정 → 학성초 → 도산 → 중복 → 이월농공단지 → 이월 → 대막 → 갑을아파트 → 죽현 → 내산1리 → 내산4리 → 삼호1.2리 → 대소공동정류장 → 태생리 → 한양아파트 → 대금고교 → 광일아파트 → 본대1리 → (본대2리 - 부평 - 선정4리) → 행제1리 → (연방죽) → 신평리 → 청일 → 도청리 → 오선리 → 금왕읍사무소 → 무극3.2리 → 무극버스터미널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본대2. 연방죽(광일A. 신평)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선정리(선정4리)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연방죽)
종점행첫차08:50기점행첫차09:10
막차12:40막차13:0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3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무극2.3리 - 금왕읍사무소 - 내송리 - 오선리 → 도청2리 → 본대 → 대금고교 → 광일아파트 → 본대1리 → (본대2리 - 부평 - 선정4리) → 행제1리 → (연방죽) → 신평리 → 청일 → 도청1리 - 이하역순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본대2. 연방죽(신평. 광일A)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선정리(선정4리)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연방죽)
종점행첫차14:50기점행첫차15:10
막차19:40막차20:0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4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무극2.3리 - 금왕읍사무소 - 내송리 - 오선리 → 도청1리 → 청일 → 신평리 → (연방죽) → 행제1리 → (본대2리 - 부평 - 선정4리) → 본대1리 → 광일아파트 → 대금고교 → 본대 → 도청2리 - 이하역순

무극에서 본대리, 행제리 일대를 잇는 노선. 진천에서 출발하는 첫차를 포함하여 오전 4회는 광일A→(선정4/연방죽)→신평으로 오후 4회는 신평→(연방죽/선정4)→광일A 순으로 운행한다.

종점은 선정4리(본대2), 연방죽 중에서 나뉜다. 본대2리에 들어가는 시간대는 연방죽에 들어가지 않고 연방죽에 들어가는 시간대는 본대2리에 들어가지 않는다. 단, 진천에서 출발하는 첫차는 본대2리와 연방죽에 모두 들어간다.

무극 - 본대2. 연방죽 통합 시간표
횟수무극선정4연방죽비고번호
1진천
06:30
07:2007:30광일A→신평513
208:5009:10광일A→신평910
310:1010:30광일A→신평911
412:4013:00광일A→신평910
514:5015:10신평→광일A912
616:3016:50신평→광일A913
718:1018:30신평→광일A912
819:4020:00신평→광일A912

2.3. 무극 - 병암. 각회[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750번 무극 - 병암.능산.각회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각회리)
종점행첫차07:00기점행첫차07:25
막차09:40막차10:05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2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KT금왕점 → 정생2리 → 도신리 → 병암2리 → 병암3리(병암) → 관성4리 → 능산2리 → 관성4리 → 진골 → 각회2리.덕동 → 각회1리 → 하수처리장 → 용담산 → 무극2리 → 무극공용버스터미널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751번 무극 - 각회.능산.병암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각회리)
종점행첫차17:50기점행첫차18:00
막차17:50막차18:0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750번의 역순으로 운행.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752번 무극 - 각회. 능산. 삼성. 병암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각회리)
종점행첫차13:30기점행첫차13:35
막차13:30막차13:35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1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무극2리 → 용담산 → 하수처리장 → 각회1리 → 각회2리.덕동 → 진골 → 관성4리 → 능산2리 → 대정2리 → 삼성파출소 → 삼성터미널 → 대정2리 → 관성4리 → 병암3리(병암) → 병암2리 → 도신리 → 정생2리 → KT금왕점 → 무극공용버스터미널

무극을 출발하여 각회리 일대를 한 바퀴 돌아 다시 무극으로 되돌아오는 노선. 오전 2회 운행하는 750번은 병암리와 능산리를 먼저 경유하며, 오후 1회 운행하는 752번 버스는 각회리를 먼저 경유한 뒤 능산리와 대정리, 삼성터미널을 지난 다음 병암리를 다시 거쳐 무극으로 되돌아온다. 저녁 1회 운행하는 751번 버스는 750번의 역순으로 운행한다.

무극 - 각회 시간표
횟수무극각회번호
107:0007:40750
209:4010:20750
313:3013:35752
417:5017:55751

2.4. 무극 - 예순터. 육령[편집]




파일:음성 버스 145.jpg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예순터. 육령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광월리(수월2)
종점행첫차08:30기점행첫차08:50
막차17:10막차17:2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4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금석아파트 - 금석저수지 - 육령2리 - 육령1리 - (→ 예순터 →) - 능말 - 육령산업단지 - 오생리 - 수월2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육령. 오생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광월리(수월2)
종점행첫차07:30기점행첫차07:40
막차19:30막차19:4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2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금석아파트 - 금석저수지 - 육령2리 - 육령1리 - 예순터 - 능말 - 육령산업단지 - 오생리 - 수월2

무극에서 출발해 육령리를 거쳐 경계를 넘어 충주시 수월2리를 종점으로 삼는다.

6번 중 4번은 수월2리로 가면서 예순터에 들어갔다 나온다.

과거에는 수월2리를 거친 후 생리를 거쳐서 생극으로 가는 시간대가 있었으나 일자 미상으로 생극 방향으로 운행하지 않고 무극과 수월2리를 왕복하도록 변경되었다.

무극 - 육령 시간표
횟수무극예순터수월2번호
107:3007:40760
208:30경유08:50761
310:50경유11:10761
414:00경유14:20761
517:10경유17:20761
619:3019:40760


2.5. 무극 - 백야[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740번 (무극 - 백야)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백야리(백야리)
종점행첫차09:20기점행첫차09:40
막차19:10막차19:3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3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복지회관 - 진불사 - 백야리(버이네) - 백야낚시터 - 백야리

복지회관을 지나 백야 자연휴양림으로 올라가는 길목에서 회차한다.

무극 - 백야리 시간표
횟수무극백야리번호
109:2009:40740
215:3015:50740
319:1019:30740

2.6. 무극 - 덕산. 진천(봉곡)[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덕산. 진천(봉곡2)
기점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
종점행첫차07:10기점행첫차14:40
막차09:00막차18:2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2회
노선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진천시장 ← 진천신협) - 읍내4리 - 진천여중 - 진천 I.C - 가암 - 매산 - 귀농 - 하목 - 상목 - 덕산 - (혁신) - 용소 - 신돈2리 - 용촌1리 - 본성1.2리 - 쌍정2.3리 - 맹동 - 인곡1리 - 꽃동네 - 독골 - 인곡리 - 오양골 - 다부내 - 아랫말 - 봉곡2리 - 웃골 - 봉곡1리 - 신개천 - 용계2리 - 영풍아파트 - 무극중 - 용천초 - 무극3.2리 - 무극버스터미널

진천에서 덕산을 경유해 무극으로 가는 노선 중 봉곡2리에 들어가는 노선만 다룬다. 진천 - 덕산 - 무극간 전체시간표는 문서 참조.

오전 2회는 무극 방향으로, 오후 2회는 진천방향으로 운행하며 이 중 왕복 1회씩은 충북 혁신도시를 경유한다. 혁신도시를 지나는 버스 노선은 여기를 참조.

진천에서 봉곡리까지는 약 35분, 무극에서 봉곡리까지는 약 10분이 소요된다.

진천 - 무극(봉곡2) 시간표
횟수진천번호무극번호
107:1010214:40161
209:00
혁신경유
10518:20
혁신경유
167

2.7. 무극 - 부윤(삼봉. 상유촌)[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부윤(삼봉. 상유촌)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부윤리(부윤)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10
막차17:00막차18:50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4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무극2.3리 - 장미아파트 - 금왕읍사무소 - 내송리 - 금왕농공단지 - 오선리 - 별산댕이 - 유포리 - (유촌리회관 - 상유촌리) - 유포보건소 - 삼봉리 - (삼봉2리 - 세곡 - 개오개 - 봉현1리) - 부윤1리(부윤) (- 대소)

대소 - 무극 노선 중 상유촌과 삼봉리를 경유하는 시간대만 서술한다. 다른 시간대는 해당 문서 참조.

시간대에 따라 대소까지 가거나 삼봉과 상유촌을 모두 경유하기도 한다. 상유촌의 경우 무극 방향으로만 3회 경유한다.

무극 → 상유촌. 삼봉 → 부윤 통합 시간표
횟수무극상유촌삼봉행선지번호
106:50경유경유부윤930
210:30경유부윤929
313:20경유부윤. 대소924
417:00경유부윤929

부윤 → 삼봉. 상유촌 → 무극 통합 시간표
횟수출발지부윤삼봉상유촌번호
1부윤07:10경유930
2대소 09:0009:10경유
복지회관
920
3대소 12:0012:10경유경유921
4부윤18:40경유931

2.8. 무극 - 삼성(안골)[편집]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무극 - 삼성(안골)
기점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무극터미널)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삼성터미널)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
막차17:40막차-
운수사명진천여객
음성교통
배차간격1일 3회
노선무극버스터미널 - 무극2.3리 - 장미아파트 - 금왕읍사무소 - 내송1리 - 우원아파트 - 내송2리 - 쌍봉2.1리 - 쌍봉초 - 내곡보건소 - 사창리 - (행제2리 - 천불사(안골)) - 사창주유소 - 세보엠이씨 - 덕정리 - 제촌 - 삼성파출소 - 삼성터미널

무극 - 삼성 노선 중 안골을 경유하는 시간대만 서술한다. 무극 - 삼성 간 전체 시간표는 문서 참조.

삼성 방향으로만 3회 들어간다.

무극 - 삼성(안골) 통합 시간표
횟수무극행선지번호
106:40안골. 삼성797
213:00안골. 삼성. 광혜, 진천792
317:40안골. 삼성. 광혜, 진천79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3:05:16에 나무위키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금왕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 행정 지명은 금왕읍이지만 진천군, 음성군에서 제공하는 시간표에서는 무극으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