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초등학교

덤프버전 : r (♥ 0)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중일초등학교
파일:중일초등학교 로고.jpg
로고


개교2013년 8월 22일
유형초등학교
형태공립
교장김하진
교감정낙희
교화수수꽃다리
교목느티나무
학생 수1,243명[기준]
교직원 수62명[기준]
관할 교육청경기도교육청
주소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죽전대로527번길 36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교가
3. 학교 시설
4. 학교 연혁
5. 상징
6. 기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3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이다.


2. 교가[편집]


파일:중일초등학교 교가.jpg
작사:류경희, 작곡:이강산




3. 학교 시설[편집]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학교이다보니 대체로 깨끗한 편이다.
시설[1]
1층급식실, 교장실, 인쇄실, 보건실, 유치원, 시청각실, 방과후교실, 교장실, 행정실, 운영창고, Wee센터[사용가능]
2층1학년 교실, 2학년 교실, 방송실, 교무실, 전산실, 휴계실(남/여), 회의실, 도서관, 컴퓨터실, 북카페, 강당, 학생쉼터[2],
3층1학년 교실, 2학년 교실, 4학년 교실, 과학1•2실[3], 실과실
4층3학년 교실,4학년 교실, 6학년 교실,돌봄교실
5층5학년 교실, 6학년 교실, 음악실, 하늘정원,방과후교실, 학생자치실 어학실
엘리베이터가 있지만 학생들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우유배달이거나 고학년이 되면 신경안쓰고 타는편. 하지만학생들이 엘레베이터를 못타게한다

최근에는 학생이 늘어남에따라 주차장을 줄이는 대신 새 교실들을 중축했다.[4]


4. 학교 연혁[편집]


날짜연혁
2013.08.22개교(10학급 편성)
2013.08.22초대 류경희 교장 취임
2013.09.1011학급으로 증설
2013.10.0713학급으로 증설
2014.03.0120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5.03.0124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5.03.1226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6.03.0431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7.02.08제 4회 졸업식(88명) 총 276명
2017.03.01제 2대 김화순 교장 부임
2027.03.0136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8.02.13제 5회 졸업식(125명) 총 401명
2018.03.0139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9.01.09제 6회 졸업식(157명) 총 558명
2019.03.0143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9.05.17일반교실 10개 교실 증축
2020.01.03제 7회 졸업식(164명) 총 722명
2020.03.0145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22.03.0145학급 편성(특수학급 1학급, 병설유치원 2학급)
출처


5. 상징[편집]


파일:중일초등학교 상징.jpg


6. 기타[편집]


  • 위치가 위치인지라 학생 수가 엄청나게 늘고있다. [5]
  • 특이하게도 반 이름이 숫자가 아닌 색깔로 이루어져 있다. [6][7]
  • 6학년 대항전이 자주열린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5 00:52:57에 나무위키 중일초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준] A B 2022년 4월 19일[1] 2021년 기준.[사용가능] [2] 현재는 사용불가.[3] 방과후교실로도 쓰인다.[4] 방과후교실,학생쉼터,상담실 등이 새로 중축한 교실들이다.[5] 5단지의 아파트밖에 없어서 별거 아니라고 볼 수 도 있겠지만, 전부 다 합치면 자그마치 4,774세대라는 어마무시한 숫자를 자랑한다![6] 원래는 빨주노초파보까지밖에 없었지만, 추후 반이 늘어나면서 자주, 하양이 추가 되었다.[7] 초대교장선생님께서 반이름을 특이하게 지으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