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충청남도

덤프버전 : 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




1. 종합 결과
1.2. 공주시
1.3. 보령시
1.5. 서산시
1.6. 논산시
1.7. 계룡시
1.9. 금산군
1.10. 부여군
1.11. 서천군
1.12. 청양군
1.13. 홍성군
1.14. 예산군
1.15. 태안군


1. 종합 결과[편집]




1.1. 천안시[편집]


천안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본영154,696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9.31%당선
2박상돈92,1192위

ta-hash-start=w-2a7391fb632a4dac9422201bb041c04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5.31%낙선
6안성훈13,9983위

무소속

5.36%낙선
선거인 수509,817투표율
52.15%
투표 수265,863
무효표 수5,050

구본영과 박상돈은 육사 2기수 차이의 절친한 선후배 사이이다. 참고로, 박상돈이 2기수 선배이고, 둘 다 천안시장을 역임했었다.

민주당에서 양승조 당시 후보의 제안을 받아들여 구본영 시장을 공천했다. 일단 구본영 시장이 재선에 성공했지만, 6월 20일에 진행되는 재판에서 유죄가 나올 경우 천안시장 선거를 다시 치뤄야 할 수도 있다. 결국 구본영은 시장직 상실형을 받았고, 지방선거에서는 낙선했지만, 박상돈은 2020년 재보궐선거를 통해 기어이 천안시장으로 당선된다.


1.2. 공주시[편집]


공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섭31,3871위
더불어민주당56.68%당선
2오시덕23,9842위
자유한국당43.31%낙선
선거인 수92,935투표율
61.1%
투표 수56,755
무효표 수1,384


1.3. 보령시[편집]


보령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기호22,2162위
더불어민주당40.55%낙선
2김동일27,8131위
자유한국당50.77%당선
3조양희4,7493위
바른미래당8.66%낙선
선거인 수87,281투표율
64.6%
투표 수56,354
무효표 수1,576

자유한국당 후보 중 충청남도의 "시"에서 50.77%의 득표율로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그것도 10%정도 차이로 낙승했다.


1.4. 아산시[편집]


아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세현78,020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1.06%당선
2이상욱42,0912위

ta-hash-start=w-0d44cb642ff46b9b1693c39dd5714025[[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2.94%낙선
3유기준7,6593위

ta-hash-start=w-6725296e2660ad0fdda6667f175d7d96[[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5.99%낙선
선거인 수244,293투표율
57.96%
투표 수129,998
무효표 수2,228


1.5. 서산시[편집]


서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맹정호42,023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2.21%당선
2이완섭28,6002위

ta-hash-start=w-dacd97650582d1486c081adc286d8ea7[[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5.53%낙선
3박상무7,7613위

ta-hash-start=w-5dcb3acfb237e7af45f60b083a2b4305[[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9.64%낙선
5신현웅2,0964위

ta-hash-start=w-5a5ceee24492220aa1462229da195172[[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2.60%낙선
선거인 수139,529투표율
58.77%
투표 수82,002
무효표 수1,522



1.6. 논산시[편집]


논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명선31,0741위
더불어민주당50.6%당선
2백성현27,9162위
자유한국당45.46%낙선
3이창원2,4133위
바른미래당3.9%낙선
선거인 수103,367투표율
60.9%
투표 수62,961
무효표 수1,558
8회 지선에는 황명선 시장은 충남지사를 출마하기 위해
사퇴했다.

1.7. 계룡시[편집]


계룡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홍묵10,4831위
더불어민주당48.12%당선
2이응우6,7672위
자유한국당31.06%낙선
3이기원4,5343위
바른미래당20.81%낙선
선거인 수33,093투표율
66.9%
투표 수22,137
무효표 수353

표 분산하면서 20.81%로 선전한 이기원. 이기원의 표 분산으로 민주당의 최홍묵이 48.1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참고로 최홍묵은 본래 민주당이 아니라, 자민련을 거쳐 자유선진당을 거쳐 새누리당으로 흡수되는 것을 반대해 민주통합당으로 합류했던 인물이다. 이회창 최악의 실책


1.8. 당진시[편집]


당진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홍장37,186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9.49%당선
2오성환29,9692위

ta-hash-start=w-67772d6e54bc393a6f67e16bac3f83da[[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9.89%낙선
3이철수7,9693위

ta-hash-start=w-f55bc04205c753e3c3f933b3969e4eb8[[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10.60%낙선
선거인 수135,932투표율
56.40%
투표 수76,671
무효표 수1,547

49.49%의 득표율로 김홍장이 재선에 성공했다.


1.9. 금산군[편집]


금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정우10,6331위
더불어민주당35.34%당선
2이상헌6,8123위
자유한국당22.64%낙선
3박찬중1,8624위
바른미래당6.2%낙선
6박범인10,2392위
무소속34.03%낙선
7김진호5395위
무소속1.8%낙선
선거인 수46,310투표율
66.5%
투표 수30,785
무효표 수700

시골 지역인 금산군에서 표가 갈라지면서 35.34%의 득표율로 문정우가 당선되었다.


1.10. 부여군[편집]


부여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정현20,9711위
더불어민주당53.88%당선
2이용우17,9442위
자유한국당46.11%낙선
선거인 수60,334투표율
66.6%
투표 수40,205
무효표 수1,290

여기는 예산군, 청양군과 같이 충남의 보수세를 지탱하는 군이었는데, 청양군과 같이 더불어민주당에게 넘어갔다.
심지어는 청양군수인 김돈곤.태안군수인 가세로와 함께
8회 지선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1.11. 서천군[편집]


서천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승광10,5662위
더불어민주당32.03%낙선
2노박래12,2241위
자유한국당37.06%당선
6김기웅10,1893위
무소속30.89%낙선
선거인 수48,407투표율
70.2%
투표 수33,972
무효표 수993

시골 지역인 서천군에서 표가 갈라지면서 노박래가 37.0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1.12. 청양군[편집]


청양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돈곤9,0631위
더불어민주당43.96%당선
2이석화8,4782위
자유한국당41.12%낙선
3김의환1,3644위
바른미래당6.6%낙선
6이기성1,7113위
무소속8.3%낙선
선거인 수28,741투표율
73.9%
투표 수21,229
무효표 수613

여기는 예산군과 같이 충남의 보수세를 지탱하는 군이었는데, 표가 갈라지면서 더불어민주당에게 넘어갔다.


1.13. 홍성군[편집]


홍성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선경20,2822위
더불어민주당40.68%낙선
2김석환21,6541위
자유한국당43.43%당선
3채현병7,9133위
바른미래당15.87%낙선
선거인 수83,928투표율
60.8%
투표 수51,044
무효표 수1,195

민선 최초의 여성 군수 타이틀을 노리고 출마한 최선경과 3연임을 노리고 출마한 김석환의 양자구도로 이뤄졌다. 최선경은 박원순 등 수도권 민주당 유력인사들의 지원유세를 받으면서 순조롭게 선거운동을 진행한 반면 김석환은 사전선거운동 혐의로 인해 선관위로부터 조사와 경고조치를 받는 등 상대적으로 불리하게 선거전을 치렀다. 개표 당시에는 바른미래당 후보로 나온 채현병으로 인한 보수 유권자들의 분산까지 일어나면서 최선경과 1~2% 차이로 박빙승부를 벌였으며 내포신도시가 있는 홍북읍 지역 개표 당시에는 최선경이 1위를 잠시 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김석환에게 몰표가 나오면서 전세가 다시 역전되었고 결국 김석환 후보는 2.75% 차이로 신승하는데 성공했다. 이 지역도 인력풀이 좋지 못해서 최선경이 이번 7회 지방선거에서 어필하지 못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홍북읍과 관외사전투표에서만 최선경 후보가 이겼고, 나머지에선 김석환 후보가 이겼다. 그나마 최선경 후보는 관외사전투표에서 1000표 이상 격차로 이기고, 홍북읍에서 2000표 이상 격차로 이기고, 홍성읍에서 1000표 미만의 격차로 석패해서 표차를 1000여표 정도로 줄일 수 있었다.

1.14. 예산군[편집]


예산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남종17,2692위
더불어민주당40.2%낙선
2황선봉25,6791위
자유한국당59.79%당선
선거인 수70,654투표율
62.6%
투표 수44,252
무효표 수1,304

충북엔 단양이 있다면 충남엔 예산이 있다. 실제로도 황선봉 후보가 20% 차이로 낙승함으로써 보수성향을 그대로 증명했다. 다만 군의회는 5:5로 동일하다.


1.15. 태안군[편집]


태안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가세로17,5321위
더불어민주당48.53%당선
2한상기13,6332위
자유한국당37.74%낙선
6김세호4,9543위
무소속13.71%낙선
선거인 수55,792투표율
66.8%
투표 수37,244
무효표 수1,125

숨겨진 충남의 TK 지역이기도 한데, 시골 지역에서 표가 갈리면서 가세로가 당선되었다. 사실 박사모 상임고문에 태안군 지부장 출신이라서 문제였는데, 거기와는 진작에 정리했다고 밝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보수계 인물이였는데 박근혜 탄핵 이후, 민주당에 입당할 때 안희정을 지지하면서 넘어왔기 때문에 안희정계로 분류되었다.

가세로에게 있어서 단점은 박사모가 아니라, 정당이였던 셈. 게다가 민주당으로선 저번 지방선거에서 23.33%라는 저조한 득표율로 어떻게 보면 예산군 보다도 더 험지였기에 가세로가 입당한 건 호재였던 셈이다. 6회 지방선거에서 가세로가 36%라는 득표율을 보였고, 한상기에게 1% 차이로 낙선했기 때문이다. 여하튼 가세로가 승리하면서 태안군에도 민주당 깃발을 꽂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8 00:21:12에 나무위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충청남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