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노선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주항공

1. 개요
2. 국내선
3. 국제선



1. 개요[편집]



KD 운송그룹 뺨치는 아웃제주 항공사라는 별칭이 어울릴 정도로 타 지역 노선들이 많다. 특히 제주국제공항에서 제주발 국제선이 거의 없다. 이름에 부산이 들어간 항공사인 에어부산의 국제선 노선 대부분이 부산 김해공항발인 것과는 정반대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무안국제공항에도 제주항공 국제선이 있는 마당에 제주패싱이 따로 없다. 사실 현실적인 이유도 있는 것이 제주공항의 슬롯 확보 문제 때문인데, 제주도는 국내선 슬롯 줄여서 국제선을 더 넣기에는 수익성이 약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하도 제주발 국제선이 없는 상태가 오래 가다 보니, 2018년 신조기 도입 당시에는 아예 보잉에서 서울 항공사(...)로 소개되었다. 그러다가 2018년 9월 12일부터 26일까지 4년 동안 중단되었던 제주-후쿠오카 노선이 2주간 9회로 임시 노선을 개설한 다음 정기편으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이후 2018년 11월부터 제주-홍콩 정기편(주 4회) 운항을 시작했다. # 현재까지 제주항공이 보유한 제주발 국제선은 홍콩-제주 노선 한 개 뿐이었지만, 2019년 7월 2일부터 제주-후쿠오카 노선도 취항하게 되면서 2개가 늘어나게 되었고 7월 19일에는 방콕-제주 노선도 개설하면서 3개까지 늘어났고 7월 27일에는 지난 노선, 시안 노선, 베이징 노선까지 개설하게 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베이징, 마카오 노선 빼고는 운항이 중단되었고, 그나마 남아있는 것들도 일주일에 고작 2~3번, 그리고 심야 시간에만 운항한다.

2. 국내선[편집]





3. 국제선[편집]


국가도시공항
서울(김포) 착발 노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가오슝가오슝 국제공항[1]
서울(인천) 착발 노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나리타 국제공항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
나고야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후쿠오카후쿠오카 공항
삿포로신치토세 공항
오키나와나하 공항
시즈오카시즈오카 공항
히로시마히로시마 공항
마츠야마마츠야마 공항
오이타오이타 공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베이징베이징 다싱 국제공항[2]
칭다오칭다오 자오둥 국제공항
옌지(연길)연길 조양천 공항
하얼빈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옌타이옌타이 펑라이 국제공항
웨이하이웨이하이 다수이보 국제공항
자무쓰자무쓰 동지아오 공항
스자좡스자좡 정딩 국제공항
난퉁난퉁 싱동 국제공항[*운휴중 ]
하이커우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운휴중]
싼야싼야 펑황 국제공항[운휴중]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타이베이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가오슝가오슝 국제공항[운휴중]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홍콩
홍콩홍콩 국제공항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마카오
마카오마카오 국제공항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울란바토르칭기즈 칸 국제공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마닐라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클락클라크 국제공항
세부막탄 세부 국제공항
보홀보홀 팡라오 국제공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하노이노이바이 국제공항
호찌민떤선녓 국제공항
다낭다낭 국제공항
나트랑나트랑 국제공항
달랏리엔크엉 국제공항
푸꾸옥푸꾸옥 국제공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방콕수완나품 국제공항
치앙마이치앙마이 국제공항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비엔티안왓따이 국제공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파일:미국 국기.svg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사이판
사이판 국제공항
부산(김해) 착발 노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나리타 국제공항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
후쿠오카후쿠오카 공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스자좡스자좡 정딩 국제공항
장자제장자제 허화 국제공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타이베이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가오슝가오슝 국제공항[운휴중]
몽골울란바토르칭기즈 칸 국제공항
필리핀세부막탄 세부 국제공항
보홀보홀 팡라오 국제공항
베트남다낭다낭 국제공항
태국방콕수완나품 국제공항
치앙마이치앙마이 국제공항[3]
싱가포르싱가포르싱가포르 창이 공항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
사이판사이판 국제공항
대구 착발 노선
필리핀세부막탄 세부 국제공항
제주 착발 노선
중국베이징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홍콩홍콩홍콩 국제공항
마카오마카오마카오 국제공항

[1] 운수권을 확보하여 인천/부산 착발 노선 재개 시 신규 취항 가능성이 높다.[2] 운수권 확보로 취항 예정[운휴중] A B C D [3] 계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