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주 버스 343, 344

덤프버전 : r20210301 (♥ 0)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주요 관광지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간선버스 343번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절물자연휴양림)
종점행첫차05:50(터미널 출발,은혜마을 종료)
06:05(공항 출발)
06:50
기점행첫차07:20
06:40(은혜마을 출발)
막차19:00
20:10(은혜마을 종료)
막차20:25
21:12(은혜마을 출발)
배차간격1일 14회 운행
운수사명극동여객인가대수3대
노선제주버스터미널 - 제주국제공항 - 월성마을 - 제주버스터미널 - 남서광마을 - 제주시청 - 이도2동행정복지센터 - 신천동 - 대유대림아파트 - 신설동(한마음병원) - 한일베라체 - 봉개동 - 명도암 - 4.3평화공원 - 제주절물자연휴양림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간선버스 344번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절물자연휴양림)
종점행첫차05:57(공항 중간출발)
06:30
기점행첫차08:00
06:55(은혜마을 출발)
막차19:40
20:50(은혜마을 종료)
막차20:55
21:55(은혜마을 출발,공항 종료)
배차간격1일 14회 운행
운수사명극동여객인가대수3대
노선제주버스터미널 - 제주국제공항 - 용문마을 - 용문사거리 - 용담사거리 - 관덕정 - 동문로터리 - 제주여상 - 일도2동주민센터 - 서해아파트 - 신천동 - 대유대림아파트 - 신설동(한마음병원) - 한일베라체 - 봉개동 - 명도암 - (은혜마을) - 4.3평화공원 - 제주절물자연휴양림


2. 개요[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간선버스 노선으로, 극동여객에서 운행한다. 343번 전체 정류장 목록, 344번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17년 8월 26일 제주 버스 개편에 따라 신설되었다.
  • 2017년 12월 22일부터 343-2번이 344번으로 분리되며, 동시에 은혜마을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8년 10월 5일부터 종점이 제주국제공항에서 제주버스터미널로 변경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4. 특징[편집]


  • 343번과 344번은 인가대수는 6대(각 노선 별 3대씩 운행)이며 저상버스(현대 일렉시티)는 344번에서만 운행하고, 디젤 뉴 슈퍼 에어로시티는 343번에서만 운행했으나 2020년 6월 이후부터 두 노선 모두 차량을 공동배차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343번에서도 현대 일렉시티를 탑승할 수 있다.

  • 개편 전 43번 버스와 제주시티투어 버스 노선을 부분 계승하였으며, 기존에 명도암, 4.3평화공원, 절물휴양림으로 가려면 뜸하게 다니는 43번 버스를 타거나, 08~16시 한정으로 1시간마다 다녔던 제주시티투어버스를 이용해야 했다. 그리고 343, 344번 통합 배차간격이 30~45분 간격이 되어 기존보다 명도암, 4.3평화공원, 절물휴양림 접근성이 많이 개선되었다. 또 제주국제공항에서 곧바로 탈 수 있게 된 것도 좋아진 점이라 할 수 있겠다. 다만 바로 이어주진 않고 일도지구를 우회하기 때문에 그다지 빠르지 않으니 주의.

  • 개편 후 제주도 버스 문서 중에서 기존 시외버스 출신 버스 이외의 노선들 중에서 가장 먼저 내용이 채워진 문서이다.

  • 노선번호의 유래는 다름아닌 4.3 평화공원으로 보인다.

4.1. 시간표[편집]


2018년 10월 5일 기준


5. 주요 관광지[편집]


4.3 평화공원, 절물자연휴양림, 노루생태관찰원

6. 둘러보기[편집]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제주국제공항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