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호(1935)

덤프버전 : (♥ 0)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
|| 초대
이응준 || 2대
윤병현 || 3대
장도영 || 4대
유재흥 || 5대
장도영 ||
|| 6대
김종오 || 7대
최경록 || 8대
김형일 || 9대
장창국 || 10대
김용배 ||
|| 11대
김계원 || 12대
임충식 || 13대
문형태 || 14대
김상복 || 15대
한신 ||
|| 16대
심흥선 || 17대
서종철 || 18대
노재현 || 19대
이민우 || 20대
이희성 ||
|| 21대
윤성민 || 22대
황영시 || 23대
차규헌 || 24대
정호용 || 25대
소준열 ||
|| 26대
이기백 || 27대
김홍한 || 28대
박희도 || 29대
오자복 || 30대
최세창 ||
|| 31대
정동호 || 32대
박명철 || 33대
이진삼 || 34대
신말업 || 35대
이문석 ||
|| 36대
이문석 || 37대
김연각 || 38대
김진선 || 39대
김형선 || 40대
이재관 ||
|| 41대
길형보 || 42대
박영익 || 43대
강신육 || 44대
선영제 || 45대
신일순 ||
|| 46대
홍갑식 || 47대
박흥렬 || 48대
방효복 || 49대
한민구 || 50대
임관빈 ||
|| 51대
조정환 || 52대
김요환 || 53대
황인무 || 54대
김유근 || 55대
박찬주 ||
|| 56대
정연봉 || 57대
구홍모 || 58대
최병혁 || 59대
김승겸 || 60대
박주경 ||
|| 61대
황대일 ||
||<-5><bgcolor=#3d5114> ※ 초대~현재 : 중장 ||
||<-5><bgcolor=#3d511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
|| 초대
최영희 || 2대
김종오 || 3대
이성가 || 4대
오덕준 || 5대
김용배 ||
|| 6대
박임항 || 7대
김계원 || 8대
임충식 || 9대
김동빈 || 10대
류근창 ||
|| 11대
장춘권 || 12대
이민우 || 13대
이병형 || 14대
류병현 || 15대
이건영 ||
|| 16대
윤흥정 || 17대
최영구 || 18대
권영각 || 19대
오자복 || 20대
정동호 ||
|| 21대
장준익 || 22대
정만길 || 23대
김동진 || 24대
윤용남 || 25대
오영우 ||
|| 26대
김석원 || 27대
정영진 || 28대
김종환 || 29대
이상희 || 30대
권안도 ||
|| 31대
김종천 || 32대
이성출 || 33대
한기호 || 34대
조정환 || 35대
심용식 ||
|| 36대
김현집 || 37대
김영식 || 38대
임호영 || 39대
제갈용준 || 40대
최병혁 ||
|| 41대
안준석 || 42대
김현종 ||
||<-5><bgcolor=#1d2088> ※ 초대~현재 : 중장 ||
||<-5><bgcolor=#1d2088>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펼치기 · 접기 ]

1대
송정범
2대
허필은
3대
박기석
4대
윤필용
5대
정동호
6대
윤태균
7대
권병식
8대
박규열
9대
박정태
10대
정숭렬
11대
오점록
12대
손학래
13대
권도엽
14대
류철호
15대
장석효
16대
김학송
직무대행
신재상
17대
이강래
직무대행
진규동
18대
김진숙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경호실장
정동호
鄭東鎬 | Jeong Dong-ho
파일:정동호 의원.png
출생1935년 2월 20일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사망2009년 3월 26일 (향년 74세)
서울특별시
본관진주 정씨
재임기간제4대 대통령경호실장
1979년 10월 30일 ~ 1981년 7월 12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구형선
자녀슬하 3남
학력마산고등학교 (졸업)
육군보병학교 (수료)
육군대학 (졸업)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3, 14
경력대통령경호실장
육군참모차장
한국낙하산협회 회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총동창회장
재경마산고등학교 동창회장
국회 농림수산위원
한국스카이다이빙연맹 회장
한국도로공사 사장
군사 경력
임관육군사관학교 (13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57년 ~ 1986년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육군참모차장
주요 보직제5군단장
대통령경호실장 직무대행
제8보병사단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매체에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


2. 생애[편집]


본관은 진주(晉州).#

1935년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에서 태어났다.# 마산중학교, 마산고등학교(12회), 육군사관학교(13기)를 졸업하였다.


2.1. 12.12 군사반란[편집]


10.26 사태 당시에는 청와대 경호실 상황실장이었다. 하나회 멤버로서 12.12 군사반란 당시 반란에 가담했다. 당시 준장이었던 정동호는 대통령경호실장 직무대행이었다.

장관급(대장급)인 경호실장을 준장인 정동호가 직무대리했던 이유는 10.26 사태 이후 상관들이 대통령 시해에 대한 책임으로 숙청당했기 때문이다. NO.1인 경호실장 차지철이 비명횡사한 후 NO.2인 경호차장 이재전 중장은 보안사에 끌려가 구속되었고, 직후 예편. NO.3인 경호차장보 김복동 소장[1]제5군단 부군단장으로 좌천당하는 등 대통령 시해에 대한 도의적 책임에 대한 징계가 줄줄이 이어졌다. 그래서 NO.4였던 상황실장 정동호가 3계급을 뛰어넘어 대통령 경호실장을 직무대행하고 있었으며 이후 12.12 군사반란에서 후배인 고명승 작전담당관과 같이 총리 공관을 점거하며 최규하 대통령을 위협했다. 이 공로에 힘입어 전두환 정권에서 80년 8월부터 81년 7월까지 정식으로 경호실장을 지냈으며, 후배 장세동에게 경호실장을 이임하고 군에 복귀하여 제5군단장, 육군참모차장을 역임했다.

참모차장을 역임하며 차기 육군참모총장 후보군 중 한명으로 꼽혔으나[2] 국회 국방위원회 회식 난투극 사건으로 인해 강제 예편당했다.[3][4]

2.2. 대한민국 제5공화국[편집]


후에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하는 최세창과 함께 하나회 13기의 선두주자 중 하나였으나 육군참모차장 시절 1986년 국회 국방위원회 회식 난투극 사건이 일어나 이 일의 책임을 지고 예편했다.

그 후 바로 윤필용의 뒤를 이어 한국도로공사 사장을 지내게 된다.


2.3. 노태우 정부 ~ 말년[편집]


노태우 정권 때인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남 의령군-함안군 지역구에 민주정의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이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지역구에 민주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지는 않았지만 1993년 연초에 터진 재산공개 파동이 원인이 되어 민주자유당에서 제명되었다. 이후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지 않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12.12 사태에 대해서는 처벌받지 않았다.

2000년 총선에서는 새천년민주당에서 공천을 받아 나왔으나 3위로 낙선하였다. 경상도 전라도 지역이 당심을 따라가지 인심을 따라가지 않는다는 영호남의 당 정서의 예시 중 하나로 지역에서 간간이 회자될 때 쓰인다. 이후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5] 2009년 3월 26일 사망하였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의령·함안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4,861 (49.57%)당선 (1위)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c89cef51792c2c4420221ba3964e516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4,813 (53.03%)[6]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021123d53714a8c7bbbf9015a755dc76[[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470 (13.08%)낙선 (3위)

4. 매체에서[편집]


  • MBC 제4공화국에서는 윤석오가 연기했다.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와 달리 풍채가 좋고 우스꽝스러운 캐릭터로 나온다.
  • MBC 제5공화국에서는 조경호가 연기했다.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에서는 배우 임철형이 연기했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8:56:22에 나무위키 정동호(193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더군다나 김복동은 하나회 수장격인 全, 盧에게 찍혀있던 상황이었다.[2] 다른 한명은 최세창.[3] 난투극 당시에 술에 쩔어서 옆에 있던 민주정의당 이세기 원내총무의 머리를 잡고 술주정을 하는 등 막 나갔다고 한다. 아무리 군사정권기에 군 실세라고 해도 여당 원내대표격인 원내총무의 머리채를 잡고 술주정을 부린 행동은 꽤나 문제가 되었고 직속상관이였던 박희도 육군참모총장이 국회를 찾아 국방위원장과 국회의원들에게 머리를 숙여가며 일일히 사죄를 할 정도로 파장이 컸다고 한다.[4] 정동호가 국방위 난투극 사건으로 인해 예편당하고 최세창도 합참의장으로 가면서 육군참모총장은 박희도가 그대로 유임되었으며 박희도 이후에는 14기인 이종구가 육참총장이 되면서 육사13기는 육참총장을 배출하지 못해 12기와 14기 사이에 끼인 기수 취급을 받는다는 후문이 있다. 참고로 16기 역시 육참총장을 배출하지 못했으나 16기는 안기부장과 대통령경호실장을 지낸 장세동이나 국방부장관을 지낸 천용택 등을 배출하여 13기네 비해 끼인기수 취급은 덜한 편이다.[5] 이 쪽은 12.12 군사반란 재판으로 연금이 짤리지 않았다.[6] 1993. 3. 30 공직자 재산공개 파동으로 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