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중 사망한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장

덤프버전 : (♥ 0)

1. 개요
2. 민선 2기(1998~2002)
3. 민선 3기(2002~2006)
4. 민선 4기(2006~2010)
5. 민선 5기(2010~2014)
6. 민선 7기(2018~2022)
7. 민선 8기(2022~2026)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도지사, 시장[1], 구청장[2], 군수들 중 임기 도중에 사망한 인물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2. 민선 2기(1998~2002)[편집]


이름 및 지역구사망일 및 나이소속선수사인비고
신동영
(경기 고양시장)
1999.6.24.(55세)새정치국민회의재선[3]심장마비-


3. 민선 3기(2002~2006)[편집]


이름 및 지역구사망일 및 나이소속선수사인비고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2004.2.4.(65세)한나라당재선[4]자살[5]
박태영
(전라남도지사)
2004.4.29.(62세)무소속[6]초선[7]
이준원
(경기 파주시)
2004.6.4.(51세)한나라당초선[8]
전태홍
(전남 목포시)
2005.1.12.(67세)새천년민주당초선심근경색-
신철주
(제주 북제주군)
2005.6.22.(66세)한나라당3선[가]심장마비-
황대현
(대구 달서구)
2005.9.9.(68세)한나라당3선[가]대장암-
성낙합
(서울 중구)
2006.3.10.(56세)한나라당초선심근경색-


4. 민선 4기(2006~2010)[편집]


이름 및 지역사망일 및 나이소속 정당선수사인비고
오근섭
(경남 양산시)
2009.11.27.(62세)한나라당초선자살[10]
이재복
(경남 진해시)
2009.12.7.(62세)한나라당초선폐암[11]


5. 민선 5기(2010~2014)[편집]


민선 5기 임기중 사망한 두 단체장은 모두 병사이며 특히 권태우 전 군수는 선거기간중 쓰러져 취임과 동시에 병가를 내 실질적으로 군수로써 권한을 전혀 행사하지 못한 안타까운 사례이다.
이름 및 지역사망일 및 나이소속 정당선수사인비고
권태우
(경상남도 의령군)
2010.9.25.(61세)무소속초선뇌출혈-
황종국
(강원도 고성군)
2013.9.17.(76세)무소속3선[12][13]


6. 민선 7기(2018~2022)[편집]


이름 및 지역사망일 및 나이소속 정당선수사인비고
박원순
(서울특별시)
2020.7.10.(65세)더불어민주당3선[14]자살[15]
이승율
(경상북도 청도군)
2022.1.2.(69세)[16]국민의힘재선췌장암


7. 민선 8기(2022~2026)[편집]


이름 및 지역사망일 및 나이소속 정당선수사인비고
김부영
(경남 창녕군)
2023.1.9.(56세)국민의힘초선자살[17]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4:59:04에 나무위키 임기 중 사망한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후 제주시장·서귀포시장은 제외[2] 자치시 산하 일반구청장 제외[3] 민선 1·2기[4] 민선 2·3기, 다만 1988년 5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관선 부산시장을 역임했다.[5] 뇌물수수로 구속수감 중이었다.[6] 2004.3.15. 새천년민주당 탈당[7] 사망 당시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시절 인사비리로 조사중이었다.[8] 사망 당시 뇌물수수로 조사중이었다.[가] A B 민선 1~3기[9] 훗날 민선 7기 부산광역시장[10] 사망 당시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중이었다.[11] 2010년 진해시가 창원시와 통합되어 최후의 진해시장으로 남았다.[12] 민선 2·4·5기[13] 재선 때 상대 윤승근 후보를 단 1표차이로 꺾고 승리해 유명한 인물이었다.
파일:1표차이.jpg
[14] 민선 5·6·7기, 역대 최장기 재임 서울시장. 이 타이틀은 그의 전임자이자 후임자인 오세훈이 4선 임기를 다 채우면 경신될 예정이다.[15] 사망 며칠전 성폭력 피소[16] 실제 재임은 2021년 12월 31일까지였다.[17] 사망 당시 선거법 위반으로 재판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