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역세권개발사업

덤프버전 : (♥ 0)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도시개발사업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중구영종국제도시인천역세권개발사업동인천역세권개발사업제물포르네상스뉴홍콩시티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동구화수화평 주택 재개발사업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미추홀구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주안 2,4동 일원
재정비촉진지구
용현학익지구
파일:연수구 CI_White.svg 연수구송도국제도시송도역세권개발사업
파일:남동구 CI_White.svg 남동구구월2지구
파일:부평구 CI_White.svg 부평구산곡구역 재개발정비사업
파일:계양구 CI_White.svg 계양구계양신도시계산지구효성 도시개발사업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라국제도시검단신도시루원시티경서3구역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파일:강화군 CI_White.svg 강화군뉴홍콩시티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_White.svg 옹진군
인천경제자유구역수도권 신도시


仁川驛勢圈開發事業

파일:SHqjxuz.jpg
파일:1447656965271634.jpg
조감도

1. 개요
2. 배경
3. 추진과정
3.1. 주거시설
3.2. 업무시설
3.3. 상업시설
3.4. 공공시설
3.5. 문화시설
4.1. 철도교통
4.2. 도로교통
4.3. 버스교통
5. 생활환경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 역세권 일대에 추진중인 역세권개발사업. 사업자는 한국철도공사로 예정되어 있다.


2. 배경[편집]


인천광역시 인천역 일대는 경인선의 개통 이후부터 난개발되어 구도심으로 낙후해버렸다. 이에 계속해서 재개발 요구가 흘러나왔고, 이에 대해 인천광역시역세권개발사업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개통에 맞춰서 역세권개발사업을 통해 인천역 역세권 일대를 부활시켜보자는 것. 인천개항창조도시 사업의 일부이다.


3. 추진과정[편집]


2016년 6월에 착공을 추진하기 위해 인천광역시청에서 4월에 심의를 신청할 계획을 기사로 냈다. 기사 하지만 7년이 다가오는 2023년 시점에도 인천역 역사는 2010년 이후 팻말 빼고 바뀐게 없다.


3.1. 주거시설[편집]




3.2. 업무시설[편집]




3.3. 상업시설[편집]




3.4. 공공시설[편집]




3.5. 문화시설[편집]




4. 교통[편집]



4.1. 철도교통[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경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환승역인천역이 있다. 경인선을 통하면 서울특별시부천시로 갈 수 있고, 수인분당선을 통하면 시흥시, 안산시, 수원시, 용인시, 성남시 등으로 갈 수 있어 개발 파급효과가 상당히 큰 곳이다. 한편 인천발 KTX를 이곳으로 연장한다고 추진하는 중이라 더 주목받고 있다.


4.2. 도로교통[편집]



4.3. 버스교통[편집]




5. 생활환경[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3:00:11에 나무위키 인천역세권개발사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