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덤프버전 : (♥ 0)

||
선거인 수141,262명 (2024)
상위 행정구역경상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의성군 전역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사면

청송군 전역
청송읍, 주왕산면, 부남면, 현동면, 현서면, 안덕면, 파천면, 진보면

영덕군 전역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

울진군 전역
울진읍, 평해읍, 북면, 금강송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죽변면, 후포면
신설년도2024년
이전 선거구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형수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3. 기타



1. 개요[편집]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된 선거구.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선거구 인구의 하한선 미달과 더불어 2023년 7월 1일부로 군위군대구광역시편입됨에 따라 군위군이 동구 을과 합구하여 동구·군위군 을에 편입되는 대신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의 울진군을 넘겨받아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국민의힘 측에서 획정위 잠정안을 백지화하여 안동시·예천군 선거구에서 예천군을 분리하여 안동시/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예천군 선거구로 조정하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부작용이 우려되었기에 울진군 편입안이 최종안으로 확정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넷 다 대구경북 지역의 군인데다 고령화 비율도 엄청 높은지라 전국에서 보수정당세가 가장 강하다.[1] 또한, 4개 군 모두 대학교가 없어 경북의 선거구 중 유일하게 고등교육기관이 없는 선거구이다.[2]

게다가 아직까지도 이 선거구에서 KTXITX를 탈 수 없다.[3]

인구는 의성, 울진, 영덕, 청송 순서로 많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2.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의성군 일원[의성], 청송군 일원[청송],
영덕군 일원[영덕], 울진군 일원[울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박형수(朴亨修)80,495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83.33%당선
7심태성(沈太成)16,0982위

무소속

16.66%낙선
선거인 수141,262투표율
70.97%
투표 수100,262
무효표 수3,669

22대 총선 경북 의성군 개표 결과
정당국민의힘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형수심태성
득표수
(득표율)
27,808
(84.19%)
5,222
(15.80%)
+ 22,586
(△68.39)
34,309
(74.00%)
의성읍83.13%16.86%△66.2766.38
단촌면83.92%16.07%△67.8576.19
점곡면83.36%16.63%△66.7373.62
옥산면85.81%14.18%△71.6375.09
사곡면87.93%12.06%△75.8775.28
춘산면84.15%15.84%△68.3176.21
가음면88.49%11.50%△76.9977.89
금성면[4]88.67%11.32%△77.3571.78
봉양면83.14%16.85%△66.2971.88
비안면88.16%11.83%△76.3371.06
구천면86.84%13.15%△73.6972.53
단밀면86.69%13.30%△73.3973.40
단북면88.48%11.51%△76.9774.29
안계면84.48%15.51%△68.9672.50
다인면84.15%15.84%△68.3172.42
신평면83.43%16.56%△66.8784.09
안평면[5]82.90%17.09%△65.8178.91
안사면82.26%17.73%△64.5376.43
후보박형수심태성격차
거소·선상투표82.60%17.39%△68.31
관외사전투표76.41%23.58%△52.83
재외투표38.70%61.29%▼22.59

22대 총선 경북 청송군 개표 결과
정당국민의힘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형수심태성
득표수
(득표율)
12,716
(80.95%)
2,992
(19.04%)
+ 9,724
(△61.91)
16,235
(72.80%)
청송읍80.11%19.88%△60.2370.58
주왕산면82.78%17.21%△65.5770.78
부남면81.10%18.89%△62.2174.59
현동면85.56%14.43%△71.1371.33
현서면83.28%16.71%△66.5774.62
안덕면83.64%16.35%△67.2969.68
파천면81.43%18.56%△62.8773.32
진보면[6]80.93%19.06%△61.8767.93
후보박형수심태성격차
거소·선상투표83.87%16.12%△67.75
관외사전투표71.28%28.71%△42.57
재외투표35.00%64.99%▼29.99

22대 총선 경북 영덕군 개표 결과
정당국민의힘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형수심태성
득표수
(득표율)
17,330
(83.53%)
3,417
(16.46%)
+ 13,913
(△67.07)
21,458
(68.91%)
영덕읍80.99%19.00%△61.9966.58
강구면[7]85.64%14.35%△71.2963.70
남정면[8]87.10%12.89%△74.2167.36
달산면81.42%18.57%△62.8570.27
지품면81.41%18.58%△62.8374.38
축산면89.17%10.82%△78.3569.07
영해면85.02%14.97%△70.0565.24
병곡면89.30%10.69%△78.6169.32
창수면86.66%13.33%△73.3374.71
후보박형수심태성격차
거소·선상투표88.57%11.42%△77.15
관외사전투표72.86%27.13%△45.73
재외투표32.14%67.85%▼35.71

22대 총선 경북 울진군 개표 결과
정당국민의힘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형수심태성
득표수
(득표율)
22,641
(83.52%)
4,467
(16.47%)
+ 18,174
(△67.04)
28,260
(68.15%)
울진읍82.14%17.85%△64.2966.78
평해읍[9]89.46%10.53%△78.9370.73
북면[10]79.24%20.75%△58.4963.29
금강송면85.05%14.94%△70.1172.32
근남면84.16%15.83%△68.3372.99
매화면88.05%11.94%△76.1169.16
기성면85.89%14.10%△71.7967.15
온정면90.97%9.02%△81.9573.66
죽변면86.21%13.78%△72.4360.14
후포면87.57%12.42%△75.1564.71
후보박형수심태성격차
거소·선상투표86.07%13.92%△72.15
관외사전투표70.37%29.62%△40.75
재외투표56.25%43.74%△12.51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후보박형수심태성격차
전체87.4%12.6%74.8%p
국민의힘에서 등록한 6명의 예비후보 중 김재원 전 의원과 박형수 현직 국회의원 두 명이 경선에 진출했다. 전국에서 가장 보수 지지세가 강한 지역구인 만큼 양자 경선이 본선 급인 셈.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선거구에서 김재원 입장에선 울진과 영덕이 익숙하지 않은 지역이며, 박형수 입장에선 울진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익숙하지 않은 지역이다. 2024년 3월 14일 발표된 경선 결과 박형수 의원이 김재원 전 의원을 꺾고 공천을 받았다. #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의성군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임미애 경북도당위원장의 출마 가능성이 가장 높아보였으나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출마로 선회하였고, 영덕 출신의 강부송 지역위원장은 개인 사정으로 인해 출마하지 못하게 되어 마땅한 후보를 구하지 못했으며, 다른 야권에서도 후보를 아예 내지 못했다.[11]

한편 영덕군 출신의 심태성 상상수산 대표가 무소속으로 후보 등록하여, 박형수 의원이 무투표로 당선되는 결말은 저지했다. # 임미애 전 도당위원장에 따르면 총선 전에 심태성 후보를 만났으나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할 의사가 없었다고 한다. #

개표결과 박형수 의원이 83.33%를 얻어 국민의힘 당선자 중 1위를 기록하여 이 지역의 보수적 성향을 확실하게 증명하였다. 심태성 후보는 출구조사에서 12.6%에 그쳐 선거비도 반액을 돌려받을 뻔했지만 최종적으로는 16.66%를 얻으면서 다행히 선거비 전액을 돌려받게 되었다. 심지어 4개 군 모두에서 전액보전에 성공하는 기염을 토했다. 동시에 박형수 후보도 4개 군 모두에서 득표율 80%를 넘겼다. 즉 4개 군 모두에서 박형수 후보 80~85%, 심태성 후보 15~20%의 득표율이 형성된 셈.

양 후보의 득표수 비는 거의 5:1에 달한다.

3. 기타[편집]


  • 대구경북연구원이 조사, 발표한 생활권역에 따르면 의성군과 청송군은 안동생활권, 영덕군과 울진군은 포항생활권이다.(중추도시생활권 기준)

  • 이 선거구의 관할 행정구역인 청송군 진보면경북북부교도소 4개[12]가 모두 몰려 있어서 전국에서 교도소가 가장 많은 선거구다. 거기에 청송군은 여자교도소 유치를 요청하고 있기도 하다.

  • 선거구의 모습이 게리맨더링의 원조격인 도마뱀 형상과 흡사할 정도로 울퉁불퉁하다. 혹은 한글 (니은)이 거꾸로 된 형상과 유사[13]하다. 아랍 문자 ل (lām)과도 비슷하다. 이렇게 된 이유는 복합적으로, 경상북도의 인구 저밀도 지역의 한가운데에 단독 선거구를 구성할만한 안동시가 있기 때문에 안동시(안동시·예천군)을 중심으로 퍼즐맞추기 식으로 선거구를 떼었다 붙였다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도 한 몫 하였다. 대안으로 제시된 의성군·청송군·영덕군·예천군 선거구 역시 기괴한 형태의 선거구였다.[1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6:09:56에 나무위키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같은 동네인 대구 동구·군위군 을 지역구도 군위군 전체를 포함한 지역구라 고령층 비율이 매우 높기에 이전의 동구 을보다 보수세가 매우 강해졌다고 봐야된다.[2] 한때 경북대학교 울진캠퍼스 조성 논의도 있었으나 의견 불일치로 백지화되었다.[3] 다만 빠르면 2024년 내로 철도 불모지청송군을 제외하고 KTX, ITX를 모두 탈 수 있게 된다.[의성]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사면[청송] 청송읍, 주왕산면, 부남면, 현동면, 현서면, 안덕면, 파천면, 진보면[영덕]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울진] 울진읍, 평해읍, 북면, 금강송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죽변면, 후포면[4] 김희국 전 의원의 고향[5] 김재원 전 의원의 고향[6] 경북북부교도소가 있는 동네[7] 강구항이 있는 동네[8] 영화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의 촬영 장소[9] 박형수 후보의 고향[10] 울진 원자력 발전소 및 사택이 있는 동네[11] 만약 임미애가 이 지역구에 그대로 출마했을 경우 득표율은 아마 2년 전 지방선거 경북지사 스코어와 거의 비슷하게 나왔을 공산이 크다. 비록 문재인 허니문 기간에 당선되긴 했지만 민주당의 상험지(사지) 의성군 지역구의 경북도의원까지 지낸 본인의 개인기와 약간의 지역 조직력이 있기 때문에 심태성 후보보다는 표를 몇%p 더 받았겠지만, 어쨌든 당선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득표율을 기록했을 것이기에 의미없는 소리. 이후 임미애는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13번을 받았고 당선되면서 국회 입성에 성공한다.[12] 경북북부제1교도소, 경북북부제2교도소, 경북북부제3교도소, 경북직업훈련교도소.[13] 비슷한 곳이 고양시 을 선거구로 여기 역시 이번 조정에서는 백석동을 빼긴 했지만, 그래도 작은 거꾸로 'ㄴ' 선거구 형태이다. 차이가 있다면, 고양시 을은 관할 지역을 적어도 하루 안에 갈 수 있지만, 이 곳은 하루 만에 관할 지역들을 다 돌아다닐 수 없다.[14] 20대 총선에서도 이렇게 기괴한 형태의 선거구가 있었는데, 강원도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선거구가 그것이다. 악어가 입을 쩍 벌려 춘천시를 잡아먹으려는 듯한 모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