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EFA 유로 2024/예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UEFA 유로 2024



1. 개요
2. 일정
3. 조추첨
3.1. 포트 배정
3.2. 추첨 결과
4. 진행 상황



1. 개요[편집]


독일에서 개최되는 UEFA 유로 2024 본선에 출전할 24개국 중 개최국 독일을 제외한 23개국을 가리는 대회이다. 53개국(러시아 실격)이 10개 조로 나뉘어 각 조에서 2위 안에 든 20개국은 본선 직행, 나머지 3개국은 플레이오프 과정을 통해 본선 자격을 얻게 된다.


2. 일정[편집]


매치데이 12023년 3월 23일 ~ 25일
매치데이 22023년 3월 26일 ~ 28일
매치데이 32023년 6월 16일 ~ 17일
매치데이 42023년 6월 19일 ~ 20일
매치데이 52023년 9월 7일 ~ 9일
매치데이 62023년 9월 10일 ~ 12일
매치데이 72023년 10월 12일 ~ 14일
매치데이 82023년 10월 15일 ~ 17일
매치데이 82023년 10월 15일 ~ 17일
매치데이 92023년 11월 12일 ~ 18일[1]
매치데이 102023년 11월 19일 ~ 21일
플레이오프 준결승2024년 3월 21일
플레이오프 결승2024년 3월 26일


3. 조추첨[편집]


2022년 10월 9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예선 조추첨이 열린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FIFA 및 UEFA에서 모든 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받은 러시아는 2022년 9월 20일에 UEFA에 의해 UEFA 유로 2024 대회 참가마저 금지당했다. 러시아가 실격되면서 53개국이 5개국 7개조 + 6개국 3개조 구성으로 예선 조 편성을 받게 된다. 러시아는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공동 개최된 UEFA 유로 2000 예선에서 탈락한 이후 24년 만에 UEFA 유러피언 풋볼 챔피언십 본선 참가가 좌절되었다.

2022년 9월에 끝나는 2022-23 UEFA 네이션스 리그의 성적을 토대로 포트 배정이 이루어진다. 조가 10개이기 때문에 리그 A에 참가하는 16개국 중 최소 5개국, 최대 6개국이 2번 포트로 밀리게 되는데[2] 이 말은 즉 리그 A의 각 조에서 꼴찌를 하는 국가는 2번 포트 확정이라는 말이다. 때문에 리그 A에서 최악의 성적을 거둔 프랑스, 심지어 강등까지 당한 잉글랜드가 2번 포트에 들어갔고 이들이 곧 죽음의 조 메이커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심지어 저번 시즌 리그 A에서 강등당했던 스웨덴은 이번 시즌 리그 B에서도 충격의 강등을 당하며 3번 포트까지 떨어지고 말았다. 또한 리그C에서 실망스러운 경기력을 펼친 북아일랜드와 슬로바키아가 5번 포트에 들어가 약팀이 없는 예측이 불가능한 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

리그 A에서 1위를 해 파이널에 진출하는 4개국은 5개국으로 구성되는 조에 들어가게 된다.

조 추첨에 있어서 추가 제한사항은 다음과 같다.
  • 정치적 갈등이 있는 다음 팀들은 서로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는다.

  • 혹한 기후가 존재하는 다음 국가들은 각 조에서 2팀을 초과하지 못한다.
  • 혹한이 극심하여 겨울에 정상적인 홈 경기 진행이 불가능한 페로 제도아이슬란드는 3월과 11월에 진행되는 매치데이 1, 2, 9, 10에 반드시 원정 경기를 해야 한다.

  • 각 조 사이의 원정 경기 이동거리 차이가 극심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래에 나온 팀 조합은 한 조당 1개를 초과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 아이슬란드, 아제르바이잔은 각각 2, 3, 4번 포트이므로 추첨식에서 한 조로 뽑힐 가능성이 있으나, 그렇게 되면 아래 표의 2번6번 조합이 한 조에 들어가는 것이므로 나중에 뽑힌 아제르바이잔이 다른 조로 강제 이동된다. 사실상 카자흐스탄 특별법

예선 때 위의 조건을 전혀 따지지 않는 AFC에 소속된 국가에서는 문화 충격을 느낄 수도 있다.
  • 정치적 갈등: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때 대한민국북한이 한 조였고, 최종예선 A조는 한일관계보다도 험악한 관계인 이란이라크가 한 조였다. 대한민국과 일본이 잘 안 만나는 건 포트가 같아서인 데다가[3] 우연이 한 몫 했다. 이건 좀 부럽다.
  • 기후: 일단 혹한은 따질 이유가 없다. 혹한이 극심한 '지역'은 많지만 따뜻한 지역이 공존하기 때문에 거기서 치르면 되며,[4] 나라 전체가 혹한이 극심한 곳은 몽골, 북한 정도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혹서를 따진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당연히 혹서를 따지지도 않는다.
  • 이동거리: 비행기로 최소 10시간 거리인 중동 국가와 동아시아 국가가 한 조인 일이 항상 일어난다.[5]

3.1. 포트 배정[편집]


1번 포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파일:스페인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덴마크 국기.svg파일:포르투갈 국기.svg파일:벨기에 국기.svg파일:헝가리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폴란드 국기.svg
2번 포트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이스라엘 국기.svg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핀란드 국기.svg
3번 포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파일:노르웨이 국기.svg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파일:아일랜드 국기.svg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파일:루마니아 국기.svg파일:스웨덴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4번 포트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그리스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파일:코소보 국기.svg파일:불가리아 국기.svg파일:페로 제도 기.svg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5번 포트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파일:키프로스 국기.svg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지브롤터 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파일:몰도바 국기.svg파일:몰타 국기.svg
6번 포트파일:안도라 국기.svg파일:산마리노 국기.svg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하늘색 바탕색이 칠해진 4개 국가는 2022-23 UEFA 네이션스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4개국으로, 이들은 네이션스 리그 일정과 겹치지 않게 무조건 5개국이 편성되는 조에 들어간다.

현재 포트상황으로 가장 최악의 죽음의 조는 1포트(이탈리아 or 네덜란드 or 스페인 or 포르투갈)-2포트(프랑스 or 잉글랜드 or 체코 or 세르비아)-3포트(우크라이나 or 노르웨이 or 아이슬란드 or 스웨덴)-4포트(그리스 or 북마케도니아 or 튀르키예)-5포트(슬로바키아 or 북아일랜드) 정도로 된다. 만약, 이탈리아-프랑스-스웨덴-북마케도니아-슬로바키아라는 조가 편성되면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가 예선에서 탈락할지도 모른다.[6][7][8]


3.2. 추첨 결과[편집]




추첨결과, 죽음의 조는 C조가 되었다. 지난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와 준우승팀인 잉글랜드, 8강에 진출했던 우크라이나, 그리고 이탈리아에 2022 카타르 대회 본선진출 좌절이란 치명타를 안긴 북마케도니아, 그리고 하위 시드 팀 중에서 고춧가루를 뿌릴 역량이 가장 큰 팀인 몰타까지 있다. 더구나 이탈리아는 자신들에게 설욕을 하고자 하는 팀과, 자신들이 설욕을 해야하는 팀 사이에 끼게 되었다.

4. 진행 상황[편집]






4.1. 조별리그[편집]



4.1.1. A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A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ESP.png스페인6501193+1615본선 진출
2파일:UEFA EURO SCO.png스코틀랜드6501123+915본선 진출
3파일:UEFA EURO NOR.png노르웨이7313119+210직행 불가
4파일:UEFA EURO GEO.png조지아6213913-47PO 진출
5파일:UEFA EURO CYP.png키프로스7007225-230예선 탈락


4.1.2. B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B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FRA.png프랑스6600131+1218본선 진출
2파일:UEFA EURO NED.png네덜란드6402107+312
3파일:UEFA EURO GRE.png그리스7403126+612
4파일:UEFA EURO IRL.png아일랜드720599-06직행 불가
5파일:UEFA EURO GIB.png지브롤터6006021-210예선 탈락


4.1.3. C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C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ENG.png잉글랜드6510193+1616본선 진출
2파일:UEFA EURO UKR.png우크라이나7412118+313
3파일:UEFA EURO ITA.png이탈리아6312117+410
4파일:UEFA EURO MKD.png북마케도니아6213714-77예선 탈락
5파일:UEFA EURO MLT.png몰타7007218-160예선 탈락


4.1.4. D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D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TUR.png튀르키예7511136+716본선 진출
2파일:UEFA EURO WAL.png웨일스631288010
3파일:UEFA EURO CRO.png크로아티아6312104+610
4파일:UEFA EURO ARM.png아르메니아621389-17
5파일:UEFA EURO LVA.png라트비아7106517-123예선 탈락

4.1.5. E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E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ALB.png알바니아6411113+813
2파일:UEFA EURO CZE.png체코632185+311
3파일:UEFA EURO POL.png폴란드731399010
4파일:UEFA EURO MDA.png몰도바62316609
5파일:UEFA EURO FRO.png페로 제도7016214-121직행 불가


4.1.6. F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F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BEL.png벨기에7520174+1317본선 진출
2파일:UEFA EURO AUT.png오스트리아7511157+816본선 진출
3파일:UEFA EURO SWE.png스웨덴6213129+37예선 탈락
4파일:UEFA EURO AZE.png아제르바이잔6114412-84직행 불가
5파일:UEFA EURO EST.png에스토니아6015218-161직행 불가

4.1.7. G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G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HUN.png헝가리6420114+714
2파일:UEFA EURO SRB.png세르비아7412137+613
3파일:UEFA EURO MNE.png몬테네그로622268-28
4파일:UEFA EURO LTU.png리투아니아7133812-46예선 탈락
5파일:UEFA BUL.png불가리아6024310-72직행 불가

4.1.8. H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H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SVN.png슬로베니아8611176+1119
2파일:UEFA EURO DEN.png덴마크8611177+1019
3파일:UEFA EURO KAZ.png카자흐스탄8503129+315
4파일:UEFA EURO FIN.png핀란드8404129+312PO 진출
5파일:UEFA EURO NIR.png북아일랜드820679-26예선 탈락
6파일:UEFA EURO SMR.png산마리노8008126-250예선 탈락


4.1.9. I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I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ROU.png루마니아8440134+916
2파일:UEFA EURO SUI.png스위스7430208+1215
3파일:UEFA EURO ISR.png이스라엘632177011
4파일:UEFA EURO KOS.png코소보71428807
5파일:UEFA EURO BLR.png벨라루스8134714-76예선 탈락
6파일:UEFA EURO AND.png안도라8026317-142예선 탈락


4.1.10. J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UEFA 유로 2024/예선/J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UEFA EURO POR.png포르투갈8800322+3024본선 진출
2파일:UEFA EURO SVK.png슬로바키아8512115+616
3파일:UEFA EURO LUX.png룩셈부르크8323818-1011
4파일:UEFA EURO ISL.png아이슬란드83141510+510
5파일:UEFA EURO BIH.png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8305714-79PO 진출
6파일:UEFA EURO LIE.png리히텐슈타인8008125-240예선 탈락


4.2.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는 네이션스리그 리그 A, B, C에 대응되는 세 개의 4강 토너먼트 패스로 이루어진다. 이번 대회에서는 독일이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고, 리그 D의 규모가 많이 쪼그라든 관계로 이번 플레이오프에서 리그 D는 별도의 패스가 부여되지 않고 2022-2023시즌 리그 D 최우수 팀 에스토니아에게 보결 순위로 플레이오프에 갈 기회만 일부 제공한다.

전 대회인 유로 2020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오프 진출권 12장 전체가 모두 네이션스 리그 성적으로만 결정된다. 때문에 조별 예선에서 조 3위를 해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할 수 있다. 조별리그에서 본선에 진출하지 못해도 플레이오프 진출이 보장되는 팀들은 2022-23 네이션스 리그 A에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 팀들, 리그 B, C의 각 조에서 1위를 하여 상위 리그로 승격한 팀들이다.

다만 본선 조 편성 시 시드는 조별리그 순위를 바탕으로 하므로 플레이오프로 올라간 팀들은 조 추첨시 4포트에 고정되어 조를 배정받게 된다.


4.2.1. 참가팀 선정[편집]


조별리그에서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팀들 중 2022-23 UEFA 네이션스 리그 A(파이널), B(리그 A로 승격), C(리그 B로 승격)의 각 조 우승팀이 우선 진출한다. 조 우승팀이 이미 조별리그에서 진출을 확정지은 경우, 해당 리그 차순위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만약 예선 조별리그에서 진출에 실패한 팀이 네 팀 미만인 리그가 있는 경우, 해당 리그에 대응되는 남은 자리에는 리그 D 최우수 팀 에스토니아가 우선 배정되며[9], 그러고도 자리가 남는 경우 네이션스리그 통합 순위 순서대로 남은 자리를 채운다.

네이션스 리그 본선 진출랭킹은 다음과 같다.

순위리그 A리그 B리그 C리그 D
1위파일:UEFA ESP.png 스페인파일:UEFA ISR.png 이스라엘파일:UEFA GEO.png 조지아파일:UEFA EST.png 에스토니아[PPO]
2위파일:UEFA CRO.png 크로아티아파일:UEFA BIH.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UEFA GRE.png 그리스파일:UEFA LVA.png 라트비아
3위파일:UEFA ITA.png 이탈리아파일:UEFA SRB.png 세르비아파일:UEFA TUR.png 튀르키예파일:UEFA MDA.png 몰도바
4위파일:UEFA NED.png 네덜란드파일:UEFA SCO.png 스코틀랜드파일:UEFA KAZ.png 카자흐스탄파일:UEFA MLT.png 몰타
5위파일:UEFA DEN.png 덴마크[LPO]파일:UEFA FIN.png 핀란드[LPO]파일:UEFA LUX.png 룩셈부르크[LPO]파일:UEFA AND.png 안도라
6위파일:UEFA POR.png 포르투갈파일:UEFA UKR.png 우크라이나파일:UEFA AZE.png 아제르바이잔파일:UEFA SMR.png 산마리노
7위파일:UEFA BEL.png 벨기에파일:UEFA ISL.png 아이슬란드파일:UEFA KOS.png 코소보파일:UEFA LIE.png 리히텐슈타인
8위파일:UEFA HUN.png 헝가리파일:UEFA NOR.png 노르웨이파일:UEFA BUL.png 불가리아
9위파일:UEFA SUI.png 스위스파일:UEFA SVN.png 슬로베니아파일:UEFA FRO.png 페로 제도[PPO]
10위파일:UEFA GER.png 독일파일:UEFA IRL.png 아일랜드[PPO]파일:UEFA MKD.png 북마케도니아
11위파일:UEFA POL.png 폴란드파일:UEFA ALB.png 알바니아파일:UEFA SVK.png 슬로바키아
12위파일:UEFA FRA.png 프랑스파일:UEFA MNE.png 몬테네그로파일:UEFA NIR.png 북아일랜드
13위파일:UEFA AUT.png 오스트리아파일:UEFA ROU.png 루마니아파일:UEFA CYP.png 키프로스
14위파일:UEFA CZE.png 체코파일:UEFA SWE.png 스웨덴파일:UEFA BLR.png 벨라루스
15위파일:UEFA ENG.png 잉글랜드파일:UEFA ARM.png 아르메니아파일:UEFA LTU.png 리투아니아
16위파일:UEFA WAL.png 웨일스[PPO]파일:UEFA RUS.png 러시아파일:UEFA GIB.png 지브롤터

굵은 글씨는 플레이오프 진출이 보장된 각 조 우승국, 하늘색은 플레이오프 진출권 국가, 초록색은 본선 직행권 국가, 금색은 본선 진출이 확정된 국가, 보라색은 플레이오프 진출이 확정된 국가, 엷은 분홍색은 본선 직행이 불가능한 국가, 회색은 유로 2024 참가가 금지된 러시아, 빨간색은 유로 2024 예선 탈락 확정 국가


4.2.2. 패스 구성[편집]


네 팀 이상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리그는 해당 리그 출신 팀 중 네 팀으로 패스 하나를 구성하고, 리그 B, C의 조 우승팀은 더 높은 리그의 팀과 함께 배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리그 C부터 시작하여 리그 A까지 차례대로 다음 규칙에 따라 패스를 구성한다.

- 해당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팀이 네 개인 경우, 그 네 팀으로 패스를 구성한다.
- 해당 리그에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이 네 팀을 초과하는 경우, 네이션스 리그 조 우승팀(승격팀)은 해당 패스에 반드시 포함하고, 우승하지 못한 팀 중 일부를 추첨하여 패스를 구성한다. 남는 팀은 상위 패스의 빈자리에 들어간다.
- 해당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팀이 네 팀 미만인 경우, 하위 리그에서 해당 리그 패스에 포함되지 못한 팀 중에서 추첨하여 남는 자리를 채운다.
- 리그 A 이외의 리그에서 해당 리그 조 꼴등팀(강등팀)은 본선 직행을 따내지 못하면 무조건 탈락한다. 즉, 패스 구성에서 제외된다.


4.2.3. 대진[편집]


각 패스 별로 네이션스 리그 순위대로 1위 vs 4위, 2위 vs 3위의 준결승 대진을 만든다. 네이션스 리그 상위 팀이 홈 팀이 된다. 두 준결승 중 하나를 사전에 추첨하여 그 경기의 승자가 결승전 홈 팀이 된다.


4.3.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7:38:25에 나무위키 UEFA 유로 2024/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I 조의 7차전과 8차전(이스라엘 대 스위스)와 (코소보 대 이스라엘)의 두 경기는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인해 각각 2023년 11월 15일과 12일로 변경되었다.#[2] 개최국 독일의 네이션스 리그 성적에 따라 달라진다.[3] 지역예선에서는 둘 다 톱시드이며 본선에서도 같은 대륙이라 잘 안 만난다.[4] 즉 한국은 강릉이 추우면 제주도, 중국은 하얼빈이 추우면 상하이, 일본은 홋카이도가 추우면 오키나와에서 경기하면 그만이다.[5] 2차 예선에서 운이 좋으면 중동을 피하는 건 가능하지만 최종예선에서 중동 국가들이 태반이라 피하는 건 불가능하다.[6] 참고로 모든팀이 이탈리아의 흥망성쇠를 직접적으로 만든 팀이 된다.[7] 스웨덴 상대로 2018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북마케도니아 상대로 2022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슬로바키아 상대로 2010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침몰당했다.[8] 실제로 C조에서 이탈리아-잉글랜드-우크라이나-북마케도니아-몰타가 걸린 죽음의 조가 탄생했다.[9] 단, 리그 D 최우수 팀이 본선 직행에 성공하더라도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리그 D의 차순위 팀에게 승계되지 않는다.[PPO] A B C D 여기까지 해당 리그에서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 존재[LPO] A B C 여기까지 해당 리그에서 최소 플레이오프 진출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