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드랜즈역

최근 편집일시 : (♥ 0)

[ 펼치기 · 접기 ]

상징잘루르 그밀랑 · 국가 · 국호
역사역사 전반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믈라카 술탄국 · 영국령 말라야(말레이 연합주 · 말레이 비연합주 · 해협식민지 · 사라왁 왕국 · 북보르네오) · 일본령 말라야 · 말라야 연합 · 말라야 연방 · 말라야 비상사태 ·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정치정치 전반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말레이시아/이념 · (희망동맹 · 국민전선 · 사라왁 정당연합 · 국민연합) · 푸트라자야 · 분리주의(동말레이시아) · 인종차별 정책(말레이시아 이민국 · 부미푸트라) · 14번째 주
경제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 페트로나스 · 페로두아 · 프로톤 · KL118
국방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 해군 · PASKAL · 조호르군)
외교외교 전반 · ASEAN · IPEF · 영연방 · 말레이권 · 이슬람 협력기구 · 비자/말레이시아
교통교통 전반 · 말레이시아 항공 · 에어아시아 ·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말레이 철도 · 쿠알라룸푸르 도시철도)
문화문화 전반 · 말레이시아 요리 · 말레이시아 영화 · 말레이시아 스포츠(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이슬람교 · 세계유산 · 말레이시아인(말레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크리스탕)
언어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라틴 문자
사회사회 전반 · SPM · (말라야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 사바 대학교 · 헬프 대학교)
기타말레이 반도 · 보르네오 섬 · 압둘 라작 · 말라야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정치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싱가포르군(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르바르 국제공항 · 셀레타 공항
교육다중언어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 공과대학교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문화언어 · 종교 · 교육 · 사회 · 요리(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중국어(표준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간체자 · 정체자)
인물리콴유 · 리셴룽
교통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제트스타 아시아 · 실크에어) · 싱가포르 항만 공사 · 싱가포르 MRT(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우드랜즈 역
관광관광
민족싱가포르인(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베트남인)
기타싱가포르 주택개발청



2. 개요
2.1. 개요
2.2. 역 정보
2.3. 구조
2.4. 이용 가능 국제열차
2.5. 주변 교통


1. 기차역[편집]


말레이 철도
Woodlands Train Checkpoint
파일:Keretapi_Tanah_Melayu_Berhad_Logo.svg.png
종점종점
← -.- ㎞

다국어 표기
영어Woodlands Train Checkpoint
마인어Pusat Pemeriksaan Kereta Api Woodlands
주소
싱가포르 우드랜즈
개업일
1998년 8월 1일


2. 개요[편집]


말레이 철도 이스트 코스트선의 종점역.



파일:external/www.ica.gov.sg/News%20Release%2018%20May%2011.jpg


2.1. 개요[편집]


싱가포르에 위치한 말레이 철도의 유일한 이자 말레이시아 철도의 제1간선인 웨스트코스트 선의 종착역이다.

도시국가인 싱가포르의 국토 구조상 도시철도 역할을 하는 싱가포르 MRT를 제외한 유일한 기차역이며 이 역에서 발착하는 열차는 이스턴 오리엔탈 특급열차를 제외하면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로 향하는 단거리 셔틀열차이다.[1]


2.2. 역 정보[편집]


과거에는 이 역보다 좀 더 싱가포르 시가지 안쪽에 부킷티마[2] 역과 탄종파가[3] 역이 있었으며, 탄종 파가 역이 싱가포르의 메인 기차역이었다.[4]

당시 말레이시아조호르바루-싱가포르국경 근처에 있는 이 역은 원래 제대로 된 역도 아니었고 승하차도 할 수 없었으며 싱가포르출입국 관리 시설만 겨우 존재했었다.[5]

그러다가 1990년싱가포르 시가지 철도 구간 재개발이 합의되었으며 1998년에 정식으로 역으로 개업했다.[6]

2011년 6월 30일에 싱가포르 시내 구간이 폐선되면서 당해 7월 1일부터 웨스트코스트 선종착역이자 싱가포르의 유일한 여객열차역이 되었다. 구 싱가포르역이던 탄종파가역은 서클선 연장선의 역 중 하나인 캔튼멘트 역의 역사가 될 예정이니 다시 철도역으로 부활한다만 지상 디젤열차가 아니라 지하역에서 전동차가 다니는 지하철역으로 계승된다.

초호화 열차인 이스턴 오리엔탈 특급열차[7]가 이 역에서부터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역[8]을 경유해 태국 방콕후아람퐁역을 잇는다.

여기서 열차가 자주 다니지 않는지라 조호르바루로 빨리 넘어가고 싶다면 차라리 근처의 싱가포르 MRT 남북선 크란지(Kranji)역을 이용하여 거기서 국경 셔틀버스를 타는 편이 낫다.


2.3. 구조[편집]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다.


2.4. 이용 가능 국제열차[편집]


SHUTTLE TEBRAU
15분 ~ 1시간 배차로 운행. 운행시간 5분
JB 센트럴 역 방면
JB 센트럴 역
우드랜즈 역종착역

이스턴 오리엔탈 특급열차
방콕 후아람퐁 역 방면
쿠알라룸푸르 역
우드랜즈 역종착역


2.5. 주변 교통[편집]


싱가포르 MRT 남북선마실링 역[9]이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이지만 걸어가기에는 조금 멀다. 시내버스택시를 타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8:18:46에 나무위키 우드랜즈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전 존재했던 버터워스 역 / KL 센트럴 역행 열차가 JB 센트럴 ↔ 우드랜즈 간 셔틀열차를 포함한 3개 노선으로 분할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시티 항목 참고.[2] Bukit Timah Railway Station. 1932년 5월 3일 개업, 2011년 6월 30일 폐역. 역 건물과 철교 등 일부 철도는 고스란히 남아있다. 하지만 들어가는 길에 거미줄이나 벌레들이 많으니 징그러운것을 싫어하는 분들이라면 주의하자. 현재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킹 앨버트 파크(King Albert Park)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3] Tanjong Pagar Railway Station. 1932년 5월 3일 개업, 2011년 6월 30일 폐역. 현재 싱가포르 MRT 동서선의 탄종파가 역과 이름은 같지만 위치는 조금 다르다. 두 동명의 역간의 거리는 1km 정도이며, MRT 아우트램 파크(Outram Park)역에서 남쪽으로 약 800m 떨어져 있으며 잘 보존되어 있다[4]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여객열차역이었으므로 공식 명칭은 아니지만 간단하게 싱가포르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5] 제한적으로만 가능했다.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방면에서 싱가포르로 들어올 때 이 역에 도착한 경우에만 편의 상 입국심사 후 하차가 가능했다.[6] 이때를 기점으로 단선 디젤열차가 운영되던 도심 철도 구간을 정시성이 보장되는 지하철로 대체하기로 합의하고 싱가포르 MRT 노선이 여기저기로 확장되게 된다.[7] 프랑스에서 출발해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베네치아를 거쳐 체코 프라하까지 연결하는 베니스 심플론 오리엔트 급행의 동남아시아 버전이었다.[8] 쿠알라룸푸르의 중앙역KL 센트럴 역이고 쿠알라룸푸르 역은 전철전용역 정도로 위상이 격하되었지만 이스턴 오리엔탈 특급열차는 여전히 쿠알라룸푸르 역에 정차한다.[9] Marsling MRT 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