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옵티머스 L9

덤프버전 :

파일:lgoptimus2.png
LG L 시리즈
2012년(1세대)2013년(2세대)
L3L5L7L9L1 IIL2 IIL3 IIL4 IIL5 IIL7 IIL9 II
2014년 상반기(3세대)2014년 하반기(4세대)
L20L30 L40L50L60L70L80L90LG L FinoLG L Bello
L35L45L65




파일:OptL9_1.jpg

1. 개요
2. 사양
3. 상세



1. 개요[편집]


LG전자가 2012년 10월에 출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한국에는 2013년 2월 27일에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되었다.


2. 사양[편집]


프로세서TI OMAP 4430 SoC. ARM Cortex-A9 MP2 1 GHz CPU, PowerVR SGX540 304 MHz GPU
메모리1 GB LPDDR2 SDRAM, 4 GB 내장 메모리, micro SDHC (최대 32 GB 지원)
디스
플레이
4.7인치 qHD(960 x 540) RGB 서브픽셀 방식의 IPS TFT-LCD (245 ppi)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HSPA+ 21Mbps, HSDPA & HSUPA & UMTS, GSM & EDGE
근접통신Wi-Fi 802.11b/g/n, 블루투스 3.0, NFC
카메라전면 30만 화소, 후면 500만 화소 AFLED 플래시
배터리Li-Ion 2150 mAh
운영체제안드로이드 4.0 (Icecream Sandwich) → 4.1 (Jelly Bean)
옵티머스 UI 3.0
규격68.8 x 127.8 x 9.1 mm, 119.1 g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기타FM 라디오 지원


3. 상세[편집]


L-Style 제품군의 상급형 모델이다. 사양이 동 시기에 나온 모델보다 떨어지긴 하지만 못 쓸 정도는 아니다. 사실, ARM Cortex-A9 듀얼코어로 넘어옴과 동시에 안드로이드 버전이 4.0 ICS로 넘어가면서 기기들이 나름대로 준수한 성능을 기본적으로 내주기 때문이다. 갤럭시 S II갤럭시 넥서스가 2013년 2월 현재도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도 이 때문이다.

다만,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qHD라는 게 흠이라면 흠. 같은 화면 크기에 HD 720p 해상도인 테이크 LTE[1]도 있는데, 이건 흔히 말하는 변태 해상도이기 때문이다. 모토로라 아트릭스와 비슷한 처지라 보면 된다. 또한 내장 메모리 역시 4 GB로 작은 편이다.

배터리는 교체형 2150mAh이며, 옵티머스 뷰2와 동일한 모델을 사용한다.

한국에는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되었다. 다만, 실질적으로는 CJ헬로비전과 플러스모바일[2]MVNO 통신사를 통해서만 출시되었다.

2013년 3월, T-모바일 US 모델을 비롯한 글로벌 모델의 4.1.2 젤리빈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한국 모델의 업그레이드는 진행되지 않았다.

그래도 국내판과 해외판인 P760과의 부품이 동일해서, 해외모델인 P760의 펌웨어[3]를 씌워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하다. 그런 거면 왜 안 한거지

해외 모델 같은 경우에는 CyanogenMod같은 커스텀 펌웨어를 이용해 안드로이드 5.0 롤리팝(!!)까지 올릴 수 있다고 한다 그나마 쓸만한 것은 4.4 킷캣인데 잔렉이 많다고 한다.

참고로, 커스텀롬은 그냥은 안 올라간다. 프라다폰 3.0 처럼 부트로더 해킹하고 올려야 오류가 안 생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4:40:11에 나무위키 옵티머스 L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 한정이다. 테이크 시리즈는 한국에만 나온다.[2] 홈플러스가 운영하는 MVNO 통신사이다.[3] 커스텀롬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