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영선초등학교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영선초전경.jpg
현재의 학교 전경

대구영선초등학교
Daegu Youngsun Elementary School
大邱靈仙初等學校
파일:대구영선초등학교_교표.png


비전더불어 살아가는 세계시민을 기른다
개교1962년 4월 12일
유형초등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 형태공립
교장김O옥
교감송O연
학생 수298명
(2023년 기준)
교직원 수35명
(2023년 기준)
상징교목: 느티나무
교화: 장미
관할 교육청대구광역시교육청
주소대구광역시 남구 영선길 96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상징
3.1. 교훈
3.2. 교목, 교화
3.3. 교가
4. 특징
5. 학교시설
6. 학교생활
7. 출신인물
8. 교통
8.1. 버스
8.2. 도시철도
9. 기타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에 위치한 초등학교. 1963년에 개교했다. 학교의 위치는 본래 영선(靈仙)못이라는 농업용 저수지가 있던 자리였고, 이 연못은 일제강점기에는 대구(현 대구광역시)에서도 알아주는 관광 명소였다. 해방 이후 영선못이 매립된 장소에 세워진 학교이기에, '영선'초등학교라는 교명이 붙었다.

일제강점기 영선못의 모습
파일:영선못.jpg



2. 역사[편집]


파일:대구영선초등학교.jpg
1963년대와 2010년대의 모습.
파일:CAM00301.jpg
2010년대와 2016년대의 모습.
과거의 학교 전경

1963.03.02개교(대구,대봉,명덕에서 999명 인수, 20학급 편성)
1972.07.10신관 28개 교실 증축(본관 증축)
1991.12.30동관 21개 교실 개축
1999.09.18개교기념일 11월 3일로 변경
2001.11.21장사의 집(씨름장) 개관(70평)
2003.03.01제18대 강소웅 교장 부임
2005.02.06신관 교사 60개 교실 개축(교실,관리실,특별실)
2008.09.01구강 보건실(남부보건소 MOU사업) 개소
2008.12.10영선 해오름 도서관 개관, 외국어 체험실 개관
2009.07.25열린 학습실 무대 설치, 제2과학실 현대화 작업 완료
2009.09.01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지정(6개월)운영
2010.03.01학력향상 창의경영학교(3년) 지정 운영
2010.08.25영선 마루관(체육관,시청각실,급식실)준공
2011.03.01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 지정 운영
2011.06.20복지 상담실 개관
2011.09.01주5일 수업제 선도학교 지정(6개월)운영
2011.12.07운동장 인조잔디 조성사업 완공
2011.12.20운동장 놀이 시설장 완공
2012.03.10Wee클래스 상담실 개관
2012.03.20학습준비물실 개설
2012.09.20보건실 현대화 및 냉온수 세면실(3실)준공
2012.10.01영선 학생 오케스트라단 창단
2012.12.282012학년도 학교경영평가 '최우수'수상
2013.03.01제22대 임휘득 교장 부임
2014.11.11영선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대덕문화전당)
2015.11.03제 4회 영선 학생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대덕문화의 전당)
2016.01.21한중청소년문화예술교류(중국 광동성 광명초)
2016.02.04제 50회 졸업식(졸업생수 21,357명)
2016.03.0121학급 편성 (특수 2학급 포함)
2016.11.08제 5회 영선학생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대구 청소년 수련원)
2021.03.022021학년도 신입생 입학(남:22명, 여:22명 계:44명)
2022.03.01대구광역시교육감 지정 "대구미래학교(행복학교)" 지정
(2022.3.1.~2027.2.28.)

출처: 대구영선초등학교 홈페이지


3. 상징[편집]


파일:external/www.yeongseon.es.kr/sub1_4_img01.jpg
파일:external/www.yeongseon.es.kr/noname01.jpg


3.1. 교훈[편집]


바르고 슬기로우며 튼튼한 어린이



3.2. 교목, 교화[편집]


파일:external/www.yeongseon.es.kr/sub1_4_img04.jpg
파일:external/www.yeongseon.es.kr/sub1_4_img03.jpg


3.3. 교가[편집]


파일:external/www.yeongseon.es.kr/sub1_4_img05.gif


4. 특징[편집]


학교 역사가 길어서인지, 후문은 계단을 통해 걸어 올라가야 하고 차량은 정문을 통해 출입해야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학교 주변에는 영선시장이 있고, 상아맨션을 제외하면 단독주택과 다세대ㆍ다가구주택, 원룸 등이 분포하는 주택가였으나, 2010년대 이후 월드메르디앙 아파트 등 신축 아파트들이 입지하고 있다.

학교 바로 앞 상아맨션은 본래 능인중학교능인고등학교의 부지였다. 이 학교들이 이전하면서 그 부지에 아파트가 들어섰다. 학교 근처에는 대구 수도사업소도 입지하고 있다.
본래 지금 주차장 자리에서 정문 방향으로 본관이 길게 늘어서 있었으나, 2004년 제18대 강소웅 교장 재직 당시 노후화된 본관 건물을 헐고 지금의 본관을 개축하였다.


5. 학교시설[편집]


장사의 집(씨름부 훈련시설): 씨름 훈련을 할 수 있는 시설(모래밭)이 있으며, 이곳에서 씨름 훈련을 했던 씨름부 학생들 중에는 국가대표 레슬링 선수로 진출한 경우도 있다.


6. 학교생활[편집]




7. 출신인물[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8. 교통[편집]


파일:external/www.yeongseon.es.kr/sub1_8_img01.gif


8.1. 버스[편집]


버스 정류장: 상수도사업본부, 상수도사업본부 건너(대백방면:05-271,명덕역방면:05-112) 학교에서 300m떨어짐


8.2. 도시철도[편집]




9.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0:20:51에 나무위키 대구영선초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