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의장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문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번 문단을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직책명
3. 지위
4. 육해공의 비중
5. 국가별 사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많은 국가 군대의 3군[1] 통합 의결기구인 합동참모본부의 의장이다. 보통은 줄여서 합참의장이라고 부른다.[2]


2. 직책명[편집]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合同參謀議長)' 직책의 기능과 명칭은 미군의 합동참모의장(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에서 기원한다. 하지만 모든 국가들이 같은 명칭을 쓰고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은 유럽 국가들은 영국과 이탈리아처럼 '국방참모총장(Chief of the Defence Staff)'이라는 직책명을 사용한다. 한편 독일에서는 특이하게도 감찰관에서 기원한 '연방군총감(Generalinspekteur der Bundeswehr)'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기존에 쓰던 '총참모장(Generalstabchef)'라는 직책명이 프로이센 군국주의와 연관되어 있다는 이유로 폐기하고 새로 만든 것이다.

아시아 국가들도 마찬가지. 중화민국 국군에서는 합참의장을 '참모총장'이라고 부르고, 한국의 참모총장에 해당하는 직위는 육/해/공군 '사령'이라고 부른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연합참모부 참모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북한군 합참의장의 경우 '총참모장'이라고 호칭한다. 마지막으로 준군사조직인 일본 자위대는 '통합막료장'이라는 민간 공무원식 직책명을 씀으로써 군사적 색채를 지운다.

물론, 한국에서의 일반적인 용례는 국군에서 사용하는 합동참모의장이다. 이는 타국의 동급 직책명을 번역하는 데에도 사용한다. 한자어를 사용하기에 그대로 읽으면 되는 아시아 국가들의 경우만이 일부 예외이다. '국방참모총장'이라는 명칭은 직역한 것이 아닌 이상 거의 쓰이지 않으며, '총참모장'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는 북한군의 총참모장만을 한정하는 의미로 쓰인다.

3. 지위[편집]


현역 군인이 오를 수 있는 가장 최고위 보직이다. 국방부 장관 다음인 국군 서열 2위이다.[3] 합동참모회의 또는 총참모부는 보통 그 나라 군대의 가장 높은 의결기구이다. 합참의장은 바로 이 의결기구의 의장이자 총책임자인 만큼 경험이 제일 많은 대장이 보임된다. 대한민국 국군의 대장 7명 중에서도 서열이 가장 높기 때문에 합참의장은 현역 군인의 좌장(座長)이라고도 불린다.

다른 국가들에서는 전용 계급을 수여하는 경우도 많다. 독일 연방군이나 핀란드군 또는 노르웨이군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에서는 대장 계급을 사실상 합동참모의장 전용 계급으로 쓰고 있다.[4] 군 규모가 작아 대장 계급이 없는 영세한 국가들의 경우에는 중장을 합참의장의 전용 계급으로 명시한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까지의 대만군영국군, 오늘날의 이탈리아군러시아군의 경우에는 자국 합동참모의장에게 아예 원수 내지는 상급대장이나 일급상장(一級上將)과 같이 원수에 준하는 계급을 부여하여[5] 그 독보적인 지위를 보장한다.

국방부 장관 같은 경우에는, 엄연히 계통상으로 군대 조직 내부의 자리가 아닌 '국가 행정부 관료로서의 보직'이다.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문민통제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제복군인은 할 수가 없고 오로지 비 제복군인 신분의 민간인만 될 수 있다.[6] 그래서 이론상으로는 순수한 문관 출신도 가능하다. 실제로 현재 문민통제를 보다 더 확실하게 시행하는 대부분의 유럽, 북미 등지에서는 입대 자체를 해본 적 없는 민간인 출신들도 국방장관을 많이 맡는다. 하지만 한국 같은 경우에는, 군부정권 시기때부터 퇴역 4성 장성[7] 맡는 게 의례화되어 문민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올라갈 만큼 올라간 고위장성이 퇴역하고 바로 가는 자리이다. 마치 회사에서 사원인 부장이 퇴직하여 퇴직금 정산받고 임원으로 가는 것과 같이 신분이 바뀐다. 그래서 국방부 장관은 민간인이지 군인은 아니다. 물론 바로 어제까지 군인이었으니 일반 민간인하고 같을 수는 없다. 따라서 정부 입장에서는 군 조직의 통솔과 장악에 유리하기 때문에 이렇게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군사정권을 오래 경험한 한국에서 굳어진 경향이라서 문제가 되고 있는것이다. 미국만 하더라도 아예 군생활을 해본 적 없는 인사나 병이나 초급 장교 생활만 하고 은퇴한 인사 혹은 장성 출신이라도 퇴역한지 한참 지나 현역 군조직에 영향력이 강하지 않은 인사가 임명되고 있다.

보통 장성들에게는 신변보호와 사무연락 등의 일을 하는 전속부관이 있다. 합동참모의장은 이 밖에도 '보좌관'이라는 직함을 가진 비서 보직이 있다. 이 보좌관은 전도유망한 국군 대령이 보임된다. 일례로 제42대 국방부장관을 지낸 김태영 예비역 대장도 대령 시절 합참의장 보좌관을 지냈다. 합참의장의 비서실장은 준장이다. 대개 공군 준장이 임명되며, 김성일, 최차규공군참모총장이 비서실장을 역임한 바 있다.

참고로 국군 대장 7명의 의전서열은 '합참의장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그외 4성장군 3명'순이다. 나머지 4성장군인 한미연합사 부사령관과 육군의 작전사령관 2명 중에서는 진급일이 빠른 순으로 서열이 높아진다. 국방일보 기사 정확한 서열은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 문서로.


4. 육해공의 비중[편집]


한국군의 경우 44대 김명수 합참의장까지 육군이 35명[8], 해군이 2명 공군이 3명씩이다.

미군의 경우 21대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까지 육군이 10명, 해군이 4명, 해병대가 2명, 공군이 5명이다.

자위대의 경우 통합막료회의의장과 통합막료장을 합쳐 요시다 요시히데 7대 통합막료장까지 총 31명인데 이중 육상자위대가 16명, 해상자위대가 8명, 항공자위대가 7명이다.

5. 국가별 사례[편집]



5.1. 대한민국 국군[편집]



5.1.1. 역대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미군[편집]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합동참모본부의 현역 대장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3><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합동참모의장#s-4|{{{#000000,#e5e5e5 합동참모의장}}}]] || ||<-3><bgcolor=#ffffff,#191919><height=43> [[찰스 브라운]] {{{-2 (공군)}}} || ||<-3> [[합동참모차장#s-3|{{{#000000,#e5e5e5 합동참모차장}}}]] || ||<-3><bgcolor=#ffffff,#191919><height=43> [[크리스토퍼 그레이디]] {{{-2 (해군)}}} || ||<-3><bgcolor=#4169e1> || ||<width=33.33%> [[육군참모총장#s-2.2|{{{#000000,#e5e5e5 육군참모총장}}}]] ||<width=33.33%> [[해군참모총장#s-3|{{{#000000,#e5e5e5 해군참모총장}}}]] ||<width=33.33%> [[공군참모총장#s-3|{{{#000000,#e5e5e5 공군참모총장}}}]]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랜디 조지]]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리사 프란체티]]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데이비드 올빈]] || || [[육군참모차장#s-2.2|{{{#000000,#e5e5e5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s-3|{{{#000000,#e5e5e5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s-3|{{{#000000,#e5e5e5 공군참모차장}}}]]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공석 ||<bgcolor=#ffffff,#191919><height=43> 공석 ||<bgcolor=#ffffff,#191919><height=43> 공석 || ||<-3><bgcolor=#4169e1> || || [[해병대사령관#s-2.1|{{{#000000,#e5e5e5 해병대사령관}}}]] || [[해안경비대사령관#s-2.2|{{{#000000,#e5e5e5 해안경비대사령관}}}]] || [[미합중국 우주군#s-2.1|{{{#000000,#e5e5e5 우주군참모총장}}}]]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에릭 스미스(군인)|에릭 스미스]]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린다 파간]] ||<bgcolor=#ffffff,#191919><height=43> [[챈스 솔츠먼]] || || [[미합중국 해병대#s-2.1|{{{#000000,#e5e5e5 해병대부사령관}}}]] || [[미합중국 해안경비대|{{{#000000,#e5e5e5 해안경비대부사령관}}}]] || [[미합중국 우주군#s-2.1|{{{#000000,#e5e5e5 우주군참모차장}}}]]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크리스토퍼 마호니]] ||<bgcolor=#ffffff,#191919><height=43> [[스티븐 포울린]] ||<bgcolor=#ffffff,#191919><height=43> 공석 || ||<-3> [[주방위군총감|{{{#000000,#e5e5e5 주방위군총감}}}]] || ||<-3><bgcolor=#ffffff,#191919><height=43> [[다니엘 호칸슨]] {{{-2 (육군)}}} ||





제18대 미군 합참의장인 육군대장 Martin Dempsey 장군. 노래 부르는 걸 좋아하는지 구글에 martin dempsey singing이 완성된다

현직
파일:CJCS_Brown.jpg
이름찰스 Q. 브라운(Charls Q. Brown Jr.)
출신ROTC '85
출신군공군
생년월일1962
임관일1985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기.svg
미국 합동참모본부(Joint Chiefs of Staff / JCS)의 최고 책임자이자 미군 내 서열 1위이다.[9] 미국-스페인 전쟁 때만 해도 미국 육군과 해군은 따로 놀았다. 그 때문에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육해군 합동위원회(Joint Board)'를 설치하였으나 자문기관에 불과하였다.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수준까진 아니었지만 미국 해군과 육군은 각각 해군부와 육군부 소속이었고 국방부가 생긴 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이었다. 당시 미군은 영국군과 작전을 수행했는데 영국군에 '국방참모본부(Chiefs of Staff Committee)'[10]가 있던 것과 달리 미국에는 상응할 만한 조직이 없었다. 미군은 영국군과 '연합참모본부(Combined Chiefs of Staff)'를 구성했는데, 영국 국방참모총장에 상응할 만한 미군의 직책으로 육해군 최고사령관 참모총장(Chief of Staff to the Commander in Chief of the Army and Navy)을 1942년 7월 20일에 창설했다.[11] 이는 오늘날의 합참의장에 해당한다. 참고로 연합참모본부에 참석했던 미군 측 장성은 4명이었는데, 육해군 최고사령관 참모총장 윌리엄 리히(William D. Leahy) 해군원수, 육군참모총장 조지 마셜 원수, 해군참모총장 어니스트 킹 원수, 육군항공사령관[12] 헨리 아놀드 원수가 나머지 구성원이었다.

1947년에 국방부가 생기면서 합참은 국방부의 산하기관이 되었고, 1949년 오마 브래들리 대장이 취임[13]하면서 해당 보직의 명칭을 오늘날의 명칭(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으로 고쳤다.

한국군과는 달리 각군 대장들이 적어도 한 번씩은 취임한 적이 있다. 이쪽은 육·해·공군뿐만이 아니라 해병대 대장도 합참의장을 역임해왔다. 물론 역대 미 합참의장들의 출신을 거론하면 육군의 비율이 가장 높지만, 각 군별로 그렇게 크게 차이가 나진 않는다. 대충 육군이 역대 합참의장의 과반에 조금 못미치게 임명되었고 나머지 과반을 해군과 공군, 가끔 해병대가 내정되는 식.[14] 한국군 합동참모의장처럼 전군을 대표하는 제복군인의 장이지만 그쪽은 우리와는 달리 군령권이 없다.

JCS는 말 그대로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과 제복군인들 위에서 군령권을 갖고 있는 국방장관의 참모라고 보면 된다. 미군에서 작전권한을 가진 가장 높은 군인들은 각 통합전투사령관들. 지역별로는 6개(중부, 태평양, 북부, 남부, 유럽, 아프리카), 기능별로는 4개(전략, 수송, 특수작전, 사이버전) 등 총 10개 사령부가 편성되어 있다. 통합전투사령관을 거친 후에 각군 참모총장이나 합참의장에 임명되는 순간부터 야전업무에 관한 직접적인 영향권(작전권)을 거의 상실한다. 이러한 지휘구조는 '장성 1인에게 군 전체의 지휘권을 맡기면 문민통제에 어긋난다'는 지적과 더불어, 전세계를 대상으로 자국 군대를 배치 및 운용하는 미국의 군사적 특수성을 반영한 결과이기도 하다(만약 미국이 자국 영토의 방어만을 신경써야 하는 평범한 국가라면, 병력 전체를 총괄 지휘하는 최고사령관 1인을 별도로 둘 수밖에 없다). 의장부대와 합참 직속 참모진을 빼고는 예하 부대도 없게 된다. 게다가 한술 더 떠서 군령 자체가 합참의장과 각군 참모총장들을 완벽하게 우회해서 대통령 → 국방장관 → 통합전투사령관 → 예하 야전군으로 하달되는 형식이니 정말 실권하나 없는 직책처럼 보인다.

그러나 대통령과 국방장관의 제1보좌역이자 합동참모회의에서 각군 참모총장의 의견을 조율하는 것이 주된 업무인 데다가 명색이 제복군인의 1인자이다 보니 군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게 크다(군령권만 없을 뿐). 같은 이유로 각군 참모총장들도 은근히 뒷방영감같아 보이지만 영향력이 생각보다 세다. 그래도 통합전투사령관 보직이 확실히 제복군인으로서는 가장 간지나는 요직.

합참의장이 군령권 없이 통합사령부들의 전략 기획 및 조율을 담당하는 점이 비효율적이라며 작전권을 줘야한다는 얘기가 1980년대 중반에 나오기도 했지만 미국 의회에서 거부했다. 미국 헌법의 기본이 제복군인 1인에게 미합중국 전군의 작전 지휘권을 주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골자였다. 출처

합동참모의장


5.2.1. 역대 합동참모의장[편집]


미국 정부는 합참의장 배분에 있어서 다양한 출신을 등용하려고 애쓰는 편이다. 미군에서 시기에 따라 달라도 보통 대장의 70% 정도는 사관학교 출신이긴 하지만[15] 합참의장에선 비사관학교 출신들도 꽤 많다. 재임 중에 6.25 전쟁이 발발하고 원수로 진급한 오마 브래들리를 제외하면 전원 대장이다.

여담으로 미국공군사관학교는 아직 한 명도 합참의장을 배출 못 했다. 미 공군은 역대 4명의 합참의장을 배출했지만 웨스트포인트 출신이 둘, 학사 1명에 학군 1명이다. 미국공군사관학교가 의외로 꽤 늦게,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보다도 늦게 생겼을 정도로 역사가 짧은 편이라... 참고로 육군에서 독립한 뒤 1959년 공사가 첫 졸업생을 배출할 때까지 10년 넘는 기간에는 미국육군사관학교미국해군사관학교에서 공군 장교가 배출되었다.[16]

사병 출신 장성은 네 명이다. 3대인 네이선 트와이닝과 8대인 조지 브라운은 사병으로 복무중에 사관학교에 진학했고 10대인 존 베시현지임관으로 장교가 됐고 13대인 존 샬리카시빌리는 병으로 복무 중에 학사사관에 지원했다.
||
[ 펼치기 · 접기 ]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우주군

1대2대3대4대5대
육군
오마 브래들리
해군
아서 래드포드
공군
네이선 트와이닝
육군
라이먼 렘니처
육군
맥스웰 테일러
6대7대8대9대10대
육군
얼 휠러
해군
토머스 무어
공군
조지 브라운
공군
데이비드 존스
육군
존 베시
11대12대13대14대15대
해군
윌리엄 크로우
육군
콜린 파월
육군
존 샬리카시빌리
육군
휴 쉘튼
공군
리처드 마이어스
16대17대18대19대20대
해병대
피터 페이스
해군
마이크 멀린
육군
마틴 뎀프시
해병대
조지프 던퍼드
육군
마크 밀리
21대
공군
찰스 브라운


역대사진이름군종임관경로재임기간
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General_of_the_Army_Omar_Bradley.jpg오마 브래들리(Omar Bradley)미 육군미국육군사관학교1949-1953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DM_Arthur_Radford.jpg아서 래드퍼드(Arthur W. Radford)미 해군미국해군사관학교1953-1957
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Nathan_Twining_02.jpg네이선 트와이닝(Nathan F. Twining)미 공군미국육군사관학교[17]1957-1960
4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Lyman_L._Lemnitzer.jpg라이먼 렘니처(Lyman Lemnitzer)미 육군미국육군사관학교1960-1962
5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Maxwell_D_Taylor_official_portrait.jpg맥스웰 테일러(Maxwell D. Taylor)미 육군미국육군사관학교1962-1964
6파일:external/9fee885bf9b60b0b9ff461c55fa35f2221ce732379a2aa33e197d8cdc52085de.jpg얼 휠러(Earle Wheeler)미 육군미국육군사관학교1964-1970
7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DM_Thomas_Moorer.jpg토머스 무어(Thomas H. Moorer)미 해군미국해군사관학교1970-1974
8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GEN_George_Brown.jpg조지 브라운(George S. Brown)미 공군미국육군사관학교[18]1974-1978
9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David_C_Jones_official_portrait.jpg데이비드 존스(David C. Jones)미 공군학사장교[19]1978-1982
1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Gen_John_Vessey_Jr.jpg존 베시(John W. Vessey Jr.)미 육군현지임관[20]1982-1985
1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dm_William_Crowe_Jr.jpg윌리엄 크로(William J. Crowe, Jr.)미 해군미국해군사관학교1985-1989[21]
12파일:external/41b2480f8b6b36493470b48b151db06b24b24213f185f85681d68a89d68cf5bb.jpg콜린 파월(Colin Powell)미 육군ROTC[22]1989-1993
13파일:external/304c02e0ffcf44096ec249b0879c6bf58e6f9de59542258b14d75c82831a3cea.jpg존 샬리카시빌리(John Shalikashvili)미 육군학사장교[23]1993-1997
14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General_Henry_Shelton%2C_official_portrait_2.jpg휴 셸턴(Hugh Shelton)미 육군ROTC1997-2001
15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ichard_Myers_official_portrait.jpg리처드 마이어스(Richard Myers)미 공군ROTC2001-2005
16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Peter_Pace_official_portrait.jpg피터 페이스(Peter Pace)미 해병대미국해군사관학교2005-2007
17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Michael_Mullen%2C_CJCS%2C_official_photo_portrait%2C_2007.jpg마이크 멀린(Michael Mullen)미 해군미국해군사관학교2007-2011
18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General_Martin_E._Dempsey%2C_CJCS%2C_official_portrait_2012.jpg마틴 뎀프시(Martin Dempsey)미 육군미국육군사관학교2011-2015
19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Dunford_CJCS.jpg조지프 던퍼드(Joseph F. Dunford, Jr.)미 해병대ROTC2015-2019
20파일:Milley CJCS.jpg마크 밀리(Mark A. Milley)미 육군ROTC2019-2023
21파일:CJCS_Brown.jpg찰스 브라운(Charles Q. Brown, Jr.)미 공군ROTC2023-


5.3. 자위대[편집]


파일:external/d2d27faa390240ebedef84082cd195c02a7fa66180da33d00ca6a320f73753e0.png

자위대법 제9조방위대신의 지휘감독을 받아 통합막료감부의 소장 사무에 관한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항공자위대의 군무[24] 및 통합막료감부 대원의 복무를 감독한다. (제1항)
자위대법 제9조 ② 통합막료감부의 소장 사무에 관한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나 항공자위대의 군무에 관한 최고의 전문 조언자로서 방위대신을 보좌한다. (제2항)
자위대법 제9조 ③ 통합막료감부의 소장 사무에 관한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나 항공자위대의 군무에 관해 부대 등에 대한 방위대신의 명령을 집행한다. (제3항)
방위성설치법 제21조 ③ 방위대신의 지휘감독을 받아 통합막료감부의 사무를 관장한다. (제3항)

타국군의 합동참모의장에 해당하는 일본통합막료장(統合幕僚長 とうごうばくりょうちょう)은 일본의 제복 자위관이 올라갈 수 있는 최고의 직위로 2005년까지는 통합막료회의(統合幕僚会議)의 통합부대만 관리했다. 그러나 2006년 통합막료회의가 통합막료감부(統合幕僚監部)로 개편되면서 전·평시에 상관없이 방위대신의 지휘를 받아 각 자위대를 지휘한다.

사실 일본에선 막료란 말은 참모의 대체어로 쓰이며[25] 통합막료장은 지휘관이 아니다. 막료장이란 단어는 참모총장과 동의어로 쓰인다.

현직
파일:yoshida(1).jpg
이름요시다 요시히데(吉田圭秀)
출신도쿄대학(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 1986년[26](육군학사장교 8기)
생년월일1961년 10월 30일
임관일1986년

역대 통합막료장은 총 네 명인데, 육상자위대에 한 명, 해상자위대에 두 명, 항공자위대에 한 명이 있으며 현직인 야마자키 코우지는 육상막료장 출신이다.

이들이 전역할 경우에는 황거에서 파티를 열어준다고 한다.

통합막료회의 시절에는 통합막료회의의장(統合幕僚会議議長)이라 불렸으며 2006년 3월 27일부로 통합막료감부가 되면서 통합막료장으로 불리게 되었다.

통합막료장

5.3.1. 역대 통합막료장[편집]




통합막료회의의장
역대이름한자(한국식 한자음)계급임기출신전직일본군 경력
1하야시 게이조林敬三(임경삼)육장1954.7.1 - 1964.8.13도쿄대학제일막료장
2스기에 이치조杉江一三(삼강일삼)해장1964.8.13 - 1966.4.29해병 56기
해대37기
해상막료장해군 중좌
3아마노 요시후사天野良英(천야양영)육장1966.4.29 - 1967.11.14육사 43기
육대 52기
육상막료장육군 중좌
4무타 히로쿠니牟田弘國(모전홍국)공장1967.11.14 - 1969.6.30육사 43기항공막료장육군 중좌
5이타야 류이치板谷隆一(판곡융일)해장1969.6.30 - 1971.6.30해병 60기해상막료장해군 중좌
6기누가사 하야오衣笠駿雄(의립준웅)육장1971.6.30 - 1973.1.31육사 48기
육대55기
육상막료장육군 소좌
7나카무라 류헤이中村龍平(중촌용평)육장1973.1.31 - 1974.6.30육사 49기
육대 56기
육상막료장육군 소좌
8시라카와 모토하루白川元春(백천원춘)공장1974.6.30 - 1976.3.15육항사 51기
육대58기
항공막료장육군 소좌
9사메시마 히로이치鮫島博一(교도박일)해장1976.3.15 - 1977.10.19해병 66기해상막료장해군 소좌
10구리스 히로오미栗栖弘臣(율서홍신)육장1977.10.19 - 1978.7.27도쿄대학육상막료장해군 대위[27]
11다카시나 다케히코高品武彦(고품무언)육장1978.7.27 - 1979.7.31육사 54기육상막료장육군 대위
12다케다 고로竹田五郞(죽전오랑)공장1979.7.31 - 1981.2.15육사 55기항공막료장육군 대위
13야다 쓰기오矢田次夫(시전차부)해장1981.2.15 - 1983.3.15해병 72기해상막료장해군 대위
14무라이 스미오村井澄夫(촌정등부)육장1983.3.15 - 1984.6.30육사 58기육상막료장육군 소위
15와타나베 게이타로渡部敬太郞(도부경태랑)육장1984.6.30 - 1986.2.5육사 60기육상막료장육군 병장[28]
16모리 시게히로森繁弘(삼번홍)공장1986.2.5 - 1987.12.10육항사 60기항공막료장사관생도
17이시이 마사오石井政雄(석촌정웅)육장1987.12.10 - 1990.3.15릿쿄대학육상막료장
18데라시마 다이조寺島泰三(사도태삼)육장1990.3.15 - 1991.6.30도호쿠대학육상막료장
19사쿠마 마코토佐久間一(좌구간일)해장1991.6.30 - 1993.6.30방대 1(해사 11)해상막료장
20니시모토 데쓰야西元徹也(서원철야)육장1993.6.30 - 1996.3.24방대 3(육사 15)육상막료장
21스기야마 시게루杉山蕃(삼산번)공장1996.3.24 - 1997.9.30방대 4(공사 8)항공막료장
22나쓰카와 가즈야夏川和也(하천화야)해장1997.9.30 - 1999.3.30방대 6(해사 16)해상막료장
23후지나와 유지藤縄祐爾(등승우이)육장1999.3.30 - 2001.3.27방대 8(육사 20)육상막료장
24다케고치 쇼지竹河內捷次(죽하내첩차)공장2001.3.28 - 2003.1.28방대 9(공사 13)항공막료장
25이시카와 도루石川亨(석천형)해장2003.1.28 - 2004.8.29방대 11(해사 21)해상막료장
26맛사키 하지메先崎一(선기일)육장2004.8.29 - 2006.3.26방대 12(육사 24)육상막료장
통합막료장
역대이름한자(한국식 한자음)계급임기출신전직일본군 경력
1맛사키 하지메先崎一(선기일)육장2006.3.27 - 2006.8.4방대 12(육사 24)통합막료회의의장
2사이토 다카시齋藤隆(재등융)해장2006.8.4 - 2009.3.24방대 14(해사 24)해상막료장
3오리키 료이치折木良一(절목양일)육장2009.3.24 - 2012.1.31방대 16(육사 28)육상막료장
4이와사키 시게루岩崎茂(석기무)공장2012.1.31 - 2014.10.14방대 19(공사 23)항공막료장
5가와노 가쓰토시河野克俊(하야극순)해장2014.10.14 - 2019.3.31방대 21(해사 31)해상막료장
6야마자키 코우지山崎幸二(산기행이)육장2019.4.1 - 2023.3.29방대 27(육사 39)육상막료장
7요시다 요시히데吉田圭秀(길전규수)육장2023.3.30 -도쿄대학육상막료장[29]

초기에는 일본 육사나 해병 출신들이 차지했다. 자위대의 수뇌부엔 일본군의 상당수가 유입됐음을 알 수 있다. 다만 군경력자 차원에서 생각해 본다면 경찰이 거기까지 올라가는 것도 무리가 아니었나 싶기도 하다. 그리고 대좌 이상의 장교에서 통합막료회의의장에 오른 사례는 없다.

다만 초대 통합막료회의의장인 하야시 게이조는 일본군 출신이 아닌 관료 출신이었다. 경찰 예비대를 거쳐 1950년에 육상자위대에 들어갔고 내무부 출신으로 구 육군 출신들과 파벌 싸움을 벌였다. 그나마 이 사람이 통합막료회의의장으로 10년, 그리고 육군막료장의 전신이자 당시 최고 선임 자위관이었던 제1막료장과 그 전신인 경찰 예비대 총감 등 14년이나 한 탓에 육상자위대에 일본 육군 출신들이 덜 들어오게 되었다. 다만 방위성을 엄청난 파벌싸움으로 얼룩지게 만들었다고 한다.

그 덕분에 일본군 출신으로 첫 의장(2대)에 오른 스기에는 일본 해군 중좌 출신이었다. 장성급들은 자위대에서 힘을 쓰지 못했다.

맛사키 하지메가 통합막료회의의장에서 통합막료장으로 넘어갔으므로 총 31명이 이 자리를 역임했다. 육상자위대 출신이 14명, 해상자위대 출신이 9명, 항공자위대 출신이 7명으로 육상자위대가 주축이긴 하지만 한국군과 비교하면 3군 모두 골고루 한 편이다. 1990년대부터 방위대학교 출신들이 독점하고 있다.

주특기를 살펴보면 보병, 수상함, 조종 출신들이 가장 많긴 하다. 역대 통합막료회의의장 및 통합막료장 26명 가운데 경찰 관료 출신이 1명(육상자위대), 보병 출신이 8명(육상자위대), 수상함 출신이 4명(해상자위대), 조종 출신이 6명(항공자위대), 포병 출신이 1명(육상자위대), 기갑 출신이 2명(육상자위대), 통신 출신이 1명(육상자위대), 잠수함 출신이 2명(해상자위대), 항공(육상자위대 항공대(1명) 및 해상자위대 항공대(3명)) 출신이 4명, 공병 출신이 1명(육상자위대)이다.

  • 통합막료회의의장(☆)






5.4. 중국 인민해방군[편집]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기능부서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중앙군사위원회 판공청|판공청]] [br]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연합참모부]] [br] ,,(정전구급)[br]前 [[총참모부]],, || [[중앙군사위원회 정치공작부|정치공작부]] [br] ,,(정전구급)[br]前 [[총정치부]],, || [[중앙군사위원회 후근보장부|후근보장부]] [br] ,,(부전구급)[br]前 [[총후근부]],, || [[중앙군사위원회 장비발전부|장비발전부]] [br] ,,(부전구급)[br]前 [[총장비부]],, || [[중앙군사위원회 훈련관리부|훈련관리부]] [br]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국방동원부|국방동원부]] [br] ,,(부전구급),, || |||||| [[중앙군사위원회 기율검사위원회|기율검사위원회]] [br] ,,(정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정치법률위원회|정치법률위원회]] [br] ,,(부전구급),, |||| [[중앙군사위원회 과학기술위원회|과학기술위원회]] [br] ,,(부전구급),, || |||| [[중앙군사위원회 전략규획판공실|전략규획판공실]] [br] ,,(정군급),, |||| [[중앙군사위원회 개혁편제판공실|개혁편제판공실]] [br] ,,(정군급),, || [[중앙군사위원회 국제군사합작판공실|국제군사합작판공실]] [br] ,,(정군급),, || [[중앙군사위원회 심계서|심계서]] [br] ,,(정군급),, || [[중앙군사위원회 기관사무관리총국|기관사무관리총국]] [br] ,,(정군급),, || ||<-7><bgcolor=#ee1c25> {{{#ffff00 {{{-2 [[틀:중국공산당의 구성|{{{#ffff00 중국공산당의 구성}}}]]}}}}}} ||



중국인민해방군 중앙군사위원회의 연합참모장을 말한다. 국방부가 아닌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지휘를 받기 때문에 사실상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지휘관보다는 참모에 가깝다. 계급은 상장이지만 중국군은 계급이 상-중-소 3단계이므로 북한군의 상장이 타국의 중장급인데 반해 중국군과 러시아군의 상장은 타국의 대장과 상응한다. 영어로도 Admiral/General(대장)으로 표기하며 사실상 해외 방문 등에서 대장으로 취급한다.

현직
파일:external/img01.imgcdc.com/26561451646211.jpg
이름리쭤청(李作成)
출신인민해방군국방대학 ?
생년월일1953. 10월
임관일1970년

2016년 1월 1일에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부의 명칭이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로 바뀌면서 팡펑후이 전 12대 총참모장이 그대로 1대 연합참모장으로 계승하였다. 이전까지는 총참모장이 육군사령원을 겸직하는 형태였으나 연합참모부로 최고 군령기관으로 바뀌면서 육군사령원이 별도의 직책으로 분리되었다. 육군사령원이란 개념과 독립한 것은 기존의 합동성 강화를 위해 역할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연합참모부 참모장


5.4.1. 역대 연합참모부 참모장[편집]


  • 총참모부 성립 전의 총참모장
순번이름정체간체출신재임기간
1류보청劉伯承(유백승)刘伯承쓰촨1930.5-1931.1
2주윈칭朱雲卿(주운경)朱云卿광저우1931.1-1931.5
3궈화뤄郭化若(곽화약)郭化若푸젠1931.5-1931.11
4예젠잉葉劍英(엽검영)叶剑英광저우1931.11-1933.5
5예젠잉葉劍英(엽검영)叶剑英광저우1933.5-1934.2
6류보청劉伯承(유백승)刘伯承쓰촨1934.2-1935.11
7예전잉葉劍英(엽검영)叶剑英광저우1935.11-1936.12
8류보청劉伯承(유백승)刘伯承쓰촨1936.12-1937.8
9샤오징광蕭勁光(소경광)萧劲光후난1937.8-1938.1
10텅다이위완滕代遠(등대원)滕代远후난1938.1-1940.5
11왕뤄페이王若飛(왕약비)王若飞구이저우1940.5-1941.2
12예젠잉葉劍英(엽검영)叶剑英광저우1941.2-1945.6
13펑더화이彭德懷(팽덕회)彭德怀후난1945.6-1947.3
14저우언라이周恩來(주은래)周恩来장쑤1947.3-1949.10
15쉬샹첸徐向前(서향전)徐向前산시(산서)1949.10-1954.10

  • 총참모부 총참모장

순번이름정체간체출신재임기간
1쑤이束裕(속유)粟裕후난1954.10-1958.10
2황커청黃克誠(황극성)黄克诚후난1958.10-1959.9
3뤄루이칭羅瑞卿(라서경)罗瑞卿쓰촨1959.9-1965.12
4양청우楊成武(양성무)杨成武푸젠1965.12-1968.3
5황용성黃永勝(황영승)黄永胜후베이1968.3-1971.9
6덩샤오핑鄧小平(등소평)邓小平쓰촨1975.1-1976.4/1977.7-1980.3
7양더지楊得志(양득지)杨得志후난1980.3-1987.11
8츠하오톈遲浩田(지호전)迟浩田산둥1987.11-1992.11
9장완녠張萬年(장만년)张万年산둥1992.11-1995.9
10푸취안여우傅全有(부전유)傅全有산시(산서)1995.9-2002.11
11량광례梁光烈(양광열)梁光烈쓰촨2002.11-2007.9
12천빙더陳秉德(진병덕)陈炳德장쑤2007.9-2012.10
13팡펑후이房峰輝(방봉휘)房峰辉산시(섬서)2012.12-2015.12

  • 연합참모부 참모장

순번이름정체간체출신재임기간
1팡펑후이房峰輝(방봉휘)房峰辉산시(섬서)2016.1-2017.8
2리쭤청李作成(이작성)李作成후난(호남)2017.8- (현직)


5.5. 중화민국 국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ROC_General_Chief_of_Staff_of_the_Ministry_of_National_Defense_Flag.svg.png

중화민국 국군에서는 참모총장(中華民國參謀總長)이 한국의 합참의장에 해당한다. 2019년부터 선이밍 공군상장이 참모총장으로 재직했으나 2020년 1월 2일 헬기 추락사고로 사망했다.

북양군벌 시절에는 당연히 육군이 강세였지만 국부천대 이후로 섬나라가 되면서 참모총장 자리를 육해공이 골고루 가져간 편이다. 대한민국 국군이 김승겸 합참의장까지 육군이 37명[31], 해군이 1명 공군이 3명이지만, 중화민국군은 메이자수까지 27명 가운데 육군이 13명, 해군이 10명, 공군이 8명이다.

현직
파일:202206160858_959302.png
이름메이자수(梅家樹)
출신해군관교 74년반(해군사관학교 39기)
생년월일1963년
임관일1983년

중화민국 참모총장


5.5.1. 역대 참모총장[편집]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제1대

천청
제2대

구주퉁
제3대

저우지러우
제4대

구이용칭
제5대

펑멍지
제6대

왕슈밍
제7대

펑멍지
제8대

리위시
제9대

가오쿠이위안
제10대

라이밍탕
제11대

쑹창즈
제12대

하오보춘
제13대

첸셴링
제14대

류허첸
제15대

뤄번리
제16대

탕페이
제17대

탕야오밍
제18대

리제
제19대

리톈위
제20대

훠서우예
제21대

린젠이
제22대

옌밍
제23대

가오광치
제24대

옌더파
제25대

추궈정
제26대

리시밍
제27대

선이밍
제28대

황수광
제29대

천바오위
제30대

메이자수




역대이름한국음한자재임기간
1대황싱황흥黃興1912년 2월 6일 - 1912년 3월 30일
2대황싱황흥黃興1912년 3월 30일
3대쉬샤오전서소정徐紹楨1912년 4월 1일 - 1912년 4월 5일
4대리위안훙여원홍黎元洪1912년 4월 13일 - 1915년 12월 18일
5대펑궈장풍국장馮國璋1915년 12월 18일 - 1916년 3월 23일
6대돤치루이단기서段祺瑞1916년 3월 23일 - 1916년 4월 23일
7대왕스전왕사진王士珍1916년 4월 23일 - 1917년 12월 1일
8대인창음창蔭昌1917년 12월 1일 - 1919년 1월 11일
9대장화이지장회지張懷芝1919년 1월 11일 - 1924년 11월 5일
10대리례쥔이열균李烈鈞1924년 11월 5일 - 1925년 1월 27일
11대류루셴유여현劉汝賢1925년 1월 27일 - 1925년 5월 15일
12대양썬양삼楊森1925년 5월 16일 - 1926년 1월 9일
13대류루셴유여현劉汝賢1926년 1월 9일 - 1926년 7월 22일
14대류샹유상劉湘1926년 7월 22일 - 1927년 6월 20일


역대이름한국음한자재임기간계급
1대천청진성陳誠1946년 5월 23일 - 1948년 5월 12일1급상장(육)
2대구주퉁고축동顧祝同1948년 5월 13일 - 1950년 3월 24일1급상장(육)
3대저우지러우주지유周至柔1950년 3월 25일 - 1954년 6월 30일1급상장(공)
4대구이용칭계영청桂永淸1954년 7월 1일 - 1954년 8월 17일1급상장(해)
5대펑멍지팽맹집彭孟緝1954년 8월 18일 - 1957년 6월 30일1급상장(육)[32]
6대왕슈밍왕숙명王叔銘1957년 7월 1일 - 1959년 6월 30일1급상장(공)
7대펑멍지팽맹집彭孟緝1959년 7월 1일 - 1965년 6월 30일1급상장(육)
8대리위시여옥새黎玉璽1965년 7월 1일 - 1967년 6월 30일1급상장(해)
9대가오쿠이위안고괴원高魁元1967년 7월 1일 - 1970년 6월 30일1급상장(육)
10대라이밍탕뇌명탕賴名湯1970년 7월 1일 - 1976년 6월 30일1급상장(공)
11대쑹창즈송장지宋長志1976년 7월 1일 - 1981년 11월 30일1급상장(해)
12대하오보춘학백촌郝柏村1981년 12월 1일 - 1989년 12월 4일1급상장(육)
13대첸셴링진신령陳燊齡1989년 12월 5일 - 1991년 12월 4일1급상장(공)
14대류허첸유화겸劉和謙1991년 12월 5일 - 1995년 6월 30일1급상장(해)
15대뤄번리라본립羅本立1995년 7월 1일 - 1998년 3월 4일1급상장(육)
16대탕페이당비唐飛1998년 3월 5일 - 1999년 1월 31일1급상장(공)
17대탕야오밍탕요명湯曜明1999년 2월 1일 - 2002년 1월 13일1급상장(육)
18대리제이걸李傑2002년 2월 1일 - 2004년 5월 19일1급상장(해)
19대리톈위이천우李天羽2004년 5월 20일 - 2007년 1월 31일1급상장(공)
20대훠서우예곽수업霍守業2007년 2월 1일 - 2009년 2월 4일1급상장(육)
21대린젠이임진이林鎭夷2009년 2월 5일 - 2013년 1월 16일1급상장(해)
22대옌밍엄명嚴明2013년 1월 16일 - 8월 7일2급상장(공)[33]
23대가오광치고광기高廣圻2013년 8월 8일 - 2015년 1월 30일2급상장(해)
24대옌더파엄덕발嚴德發2015년 1월 31일 - 2016년 11월 30일2급상장(육)
25대추궈정구국정邱國正2016년 12월 1일 - 2017년 4월 28일2급상장(육)
26대리시밍이희명李喜明2017년 4월 28일 - 2019년 6월 30일2급상장(해)
27대선이밍심일명沈一鳴2019년 7월 1일 - 2020년 1월 2일1급상장(공)추서
28대황수광황서광黃曙光2020년 1월 16일 - 2021년 6월 30일2급상장(해)
29대천바오위진보여陳寶餘2021년 7월 1일 - 2023년 4월 30일2급상장(육)
30대메이자수매가수梅家樹2023년 5월 1일 - 현직2급상장(해)


5.6. 싱가포르군[편집]


싱가포르 국방총장


5.7. 호주군[편집]




5.8. 영국군[편집]


국방참모총장(Chief of the Defence Staff (United Kingdom))이라고 부르며 약칭은 CDS이다.


5.9. 그 외[편집]


캐나다, 프랑스, 독일의 경우는 국방참모총장 항목 참조.

북한의 경우에는 총참모장이 합동참모의장의 역할도 한다.[34]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5:34:57에 나무위키 합동참모의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육군, 해군(+해병대), 공군[2] 사실 합참의장이라는 표현이 합동참모의장이라는 정식표현보다 더 많이 쓰인다.[3] 국방부 차관이 서열 9위이다.[4] 독일군의 경우 NATO에 파견된 독일 장교가 맡고 있는 직책이 4성급에 대응해야 할 경우에 한해 대장으로 추가 임명할 수 있다. 그래도 독일 연방군 내의 대장 계급은 무조건 합참의장 1명뿐이다.[5] 러시아나 이탈리아 합참의장의 경우 보유한 계급의 명칭 자체는 대장이지만 실제로는 상급대장 또는 원수에 해당한다. 바로 아래 계급인 러시아군 상장(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과 이탈리아군 특임중장(Generale di Corpo d'Armata con Incarichi Speciali)이 여타 서방권의 4성급 대장(General)에 대응하기 때문이다.[6] 그렇지 않은 국가는 북한, 중국, 러시아가 있다. 다만 러시아의 경우에는 법적으로는 제복군인 경력이 없는 비 군인인 민간인이 장관으로 임명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임명될 수 있는 한국, 미국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누구든지 국방장관으로 임명될시에 '명예직'의 개념으로 군인 신분과 군사 계급을 받는다.[7] 또는 예비역 중장 출신이 맡기도 한다. 노무현 정부의 국방장관이었던 윤광웅이 해군 3성 제독 출신이었고, 윤석열 정부의 첫 국방장관인 이종섭과 바로 다음 후임자인 신원식은 육군 중장 출신이다.[8] 초대 연합참모본부 총장 이형근부터 셀 때, 김종오 중장~대장이 총 3번 착임하였으므로 육군 출신은 37명이 아니라 35명이 된다.[9]군번 최선임은 아니다. 콜린 파월은 1958년 임관자였지만 합참의장으로 재직 당시에 1956년 임관자인 노먼 슈워츠코프보다 직책상 선임이었고, 2014년 기준 합참의장인 마틴 뎀프시는 1974년 임관자인데, 2014년 기준 해병대사령관인 제임스 에이머스는 1970년 임관자이다. 미국에선 후배 기수가 진급했다고 대장을 벗거나 후배 군번이 최고 서열에 오른다고 전역하지 않는다. 한국에선 기수제가 계급이나 직책을 씹어먹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전역시켜버리지만.[10] 국방참모총장이 최선임 군인이다.[11] 당연히 이 명칭에 등장하는 '최고사령관(The Commander in Chief)'이란 바로 군 통수권자인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12] 육군항공대는 2차대전기에도 이미 계급체계와 복제만 육군과 동일했다 뿐이지 사실상 공군으로의 분리가 거진 마무리된 상황이었다. 단지 전시상황이라서 편제에서 급격한 변화를 가져가기 어려웠을 뿐. 이후 아놀드 원수는 미 공군의 분리 몇 년 후까지 생존하며 공군 원수까지 되어 전무후무한 텐스타(...)가 된다. [13] 그의 임기 중 6.25 전쟁이 터졌고, 1950년 9월에 그는 원수로 임명된다. 이는 미군 역사상 마지막 원수 임명 사례.[14] 18대인 마틴 뎀프시 대장 이전에는 공군-해병-해군 순으로 합참의장에 내정되었다. [15] 준장만 해도 학군 등이 더 많다.[16] 참고로 이 시기 해군참모총장이 제독들의 반란을 이끌었던 알레이 버크였다. 해사 생도들은 공군 가기가 좀 눈치보였을 것 같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해사는 육사에는 비할 바가 못되지만 적지 않은 공군 소위들을 임관시켰지만 장교단에서의 목소리가 너무너무 작았다. 역대 육사 출신 공군 장교들은 60명 넘는 인원이 4성을 단 반면 해사 출신은 단 4명만이 4성을 달았다.[17] 입학 전에 사병으로 2년 근무했다. 전시라서 2년 만에 칼졸했다. 공군으로 넘어간 건 1947년의 일이다.[18] 1937년에 입학했는데 1936년에 미주리 주방위군에 입대하여 상병까지 복무했다.[19] 1942년에 조종사 라이선스를 따고 대학을 졸업한 뒤 미 육군 조종장교 과정에 지원하여 임관했다.[20] 1939년에 주방위군에 입대해서 제2차 세계대전에 참가, 1944년에 상사 계급으로 현지임관되어 소위가 되었다.[21] 이 시기부터 합동참모차장직이 신설되었다. [22] 최초의 ROTC 출신이자 흑인 출신 합참의장이다. 2년 선임인 노먼 슈워츠코프가 그의 지휘를 따랐다.[23] 1958년에 병으로 입대했고 1959년에 사관후보생에 지원하여 소위가 되었다. 폴란드에서 넘어온 조지아계로 1958년에 미국 국적을 땄다. 참고로 한국군은 귀화자는 본인은 입대가 안 되고 자녀부터 입대할 수 있다.[24] 일본에선 자위대의 업무란 의미로 대무(隊務)라고 표현.[25] 일본어에 참모라는 단어가 없는 건 아니지만 자위관은 군인이 아니기 때문에 그 대체어로써 막료라는 단어가 만들어졌다.[26] 33년만에 나온 비 방대 출신 4성 장군이다. 각군 참모총장급에 한해서만 대장을 맡는 자위대의 특성을 고려하면 한국의 남영신 대장하고 같은 업적을 세운 셈이다[27] 법무장교 출신으로, 자위대가 초법적 상황에 대처할 수 없다고 문제 제기를 하기도 했다[28] 1945년 8월에 일본 육사 마지막 기수로 입학하는 바람에 임관하지 못 하고 병으로 종전을 맞았다. 소련에 주재한 일본대사관에서 방위주재관(무관)으로 근무했는데 소련군에게 자위관은 군인이 아니다라고 폭언을 들었다고 한다. 훗날 고위 장성에 오르자 소련을 대상으로 한 북부방면대를 강화했다. 뒤끝 쩌네 어차피 냉전기 일본의 방위백서상 주적은 소련이긴 했다[29] 최초의 도쿄대학 육상자위대 간부후보생 출신[30] 일본에선 비행이라고 한다.[31] 초대 연합참모본부 총장 이형근부터 셀 때, 김종오 중장~대장이 총 3번 착임하였으므로 육군 출신은 37명이 아니라 35명이 된다.[32] (대행기간) 1954년 8월 12일-1954년 8월 17일 2급상장(육)[33] 1급상장이 사라지고 모든 제복군인의 최고 계급이 2급상장으로 정리되었다.[34]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은 군정권도 일부 보유하고 있기에 합동참모의장과 완벽히 대응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