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티오피아 프리미어 리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파일:Sudani_Premier_League.png
||<width=25%> 파일:Betking_Ethiopian_Premier_League.svg
||<width=25%> 파일:Sudán_del_Sur_-_SOUTH_SUDAN_FOOTBALL_ASSOCIATION.png
||<width=25%> 파일:Eritrea_NFF_(logo).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 파일:남수단 국기.svg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
||<height=80><width=2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wanda_FA.png
||<width=25%> 파일:부룬디 리그 A.png
||<width=25%> 파일:Somali_Premier_League_logo.png
||<width=2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88px-Fed_djibouti.svg.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르완다 국기.svg || 파일:부룬디 국기.svg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 파일:지부티 국기.svg ||
||<height=80><width=25%> 파일:Kenya_Premier_League_logo.png
||<width=25%> 파일:StarTimes_Uganda_Premier_League.svg
||<width=25%> 파일:TFF_Ligi_Kuu_Premier_League_Tanzania_Logo.png
||<width=25%> 파일:잔지바르_프리미어_리그_로고.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케냐 국기.svg || 파일:우간다 국기.svg ||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
||<-4><bgcolor=#f7f7f7,#191919> 전 세계 리그 ||



የኢትዮጵያ ፕሪምየር ሊግ
에티오피아 프리미어 리그
파일:Betking_Ethiopian_Premier_League.svg
정식명칭에티오피아 프리미어 리그
영문명칭Ethiopian Premier League
창설년도1997년
참가 팀 수16개 팀
하위 리그에티오피아 하이어 리그(Ethiopian higher league)[1]
에티오피아 퍼스트 리그(Ethiopian first league)[2]
최근 우승팀세인트 조지 SC (2022-23)
최다 우승팀세인트 조지 SC (30회)
웹사이트웹사이트
1. 개요
2. 역사
3. 리그 진행 방식
4. 참가 구단
5. 우승 경력



1. 개요[편집]


에티오피아에서 열리는 축구 리그 중 최상위 리그이며, 스폰서는 베트킹(BetKing)이다.
1944년 에티오피아 퍼스트 디비전(Ethiopia First Division)이 원조이며, 1997년 에티오피아 프리미어 리그로 개편되었다.
총 16개 팀이 참가하며, 순위에 따라 승격과 강등이 이루어지는 승강제이다. [3]


2. 역사[편집]


공식적인 축구 리그는 1944년, 에티오피아 퍼스트 디비전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원래는 수도인 아디스 아바바를 대표하는 5개의 지역 축구팀과 영국군 사절단인 BMME(British Military Mission in Ethiopia)와 우승을 놓고 경쟁하는 방식이었으며, 이듬해 에티오피안 컵이 생겨났고 중간에 특정한 시기를 제외하고는 쭉 대회가 열렸었다.
리그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여러번의 변화를 거쳐, 마침내 1997년에 에티오피아 축구 연맹(EFF)와 상위 디비전 팀들에 의해 에티오피아 프리미어 리그라는 새로운 리그가 생기게 된다.


3. 리그 진행 방식[편집]


그 해 11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리그가 진행되며, 1부 리그(프리미어 리그)의 16개 팀이 홈팀에서 한번, 원정팀에서 한번씩 총 30개의 경기를 치루게 된다.[4]
경기에서 이기면 승점 3점, 무승부는 1점, 지면 0점을 갖게 되며, 팀 순위는 총 승점과 골(goal)의 수, 승점차 순으로 가려져 매겨지게 된다.
그리하여 1부 리그 최하위 3팀 (14등~16등)은 2부 리그인 하이어 리그(higher league)로 강등되며, 반대로 2부 리그의 최상위 3팀(1등~3등)은 1부리그로 승격하게 된다.
그 하위리그에도 비슷하게 적용되는데, 2부 리그 최하위 팀이 3부 리그로 강등되고, 3부 리그 최상위 팀이 2부 리그로 승격하게 된다.



4. 참가 구단[편집]


||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파일:Adama City FC.png|height=50]][br]
[[아다마 시티 FC|{{{#529E0E '''아다마'''}}}]]
||<width=25%> [[파일:Bahir Dar Kenema.png|height=50]][br]
[[바히르다르 케네마 SC|{{{#023586 '''바히르 다르'''}}}]]
||<width=25%> [[파일:CBE FC.png|height=50]][br]
[[커머셜 뱅크 에티오피아 SC|{{{#B9A37A '''CBE'''}}}]]
|| [[파일:Dire Dawa City SC.png|height=50]][br]
[[디레다와 시티 SC|{{{#E43001 '''디레 다와'''}}}]]
|| || [[파일:Ethiopian Coffee SC.png|height=50]][br]
[[에티오피아 커피 SC|{{{#F2D90B '''에티오피아 커피'''}}}]]
|| [[파일:Fasil Kenema SC.png|height=50]][br]
[[파실 케네마 SC|{{{#fff '''파실'''}}}]]
|| [[파일:Hadiya Hossana FC.png|height=50]][br]
[[하디야 호산나 FC|{{{#EEF5C1 '''하디야'''}}}]]
|| [[파일:Hawassa City SC.png|height=50]][br]
[[하와사 시티 SC|{{{#F09D36 '''하와사'''}}}]]
|| || [[파일:Hambericho Durame.png|height=50]][br]
[[함베리초 두라메 FC|{{{#AFB8BA '''함베리초 두라메'''}}}]]
|| [[파일:Ethiopian Insurance FC.png|height=50]][br]
[[에티오피안 인슈런스 FC|{{{#fff '''인슈런스'''}}}]]
|| [[파일:Mekelakeya SC.png|height=50]][br]
[[디펜스 포스 SC|{{{#D1201B '''메켈라케야'''}}}]]
|| [[파일:Saint George SC.png|height=50]][br]
[[세인트 조지 SC|{{{#C00006 '''세인트 조지'''}}}]]
|| || [[파일:Shashemene Kenema.png|height=50]][br]
[[샤셰메네 케네마 SC|{{{#258941 '''샤셰메네'''}}}]]
|| [[파일:Sidama Coffee FC.png|height=50]][br]
[[시다마 커피 SC|{{{#601B12 '''시다마 커피'''}}}]]
|| [[파일:Wolayta Dicha SC.jpg|height=50]][br]
[[라이타 디차 SC|{{{#A84B20 '''웰라이타 디차'''}}}]]
|| [[파일:Wolkite City FC.png|height=50]][br]
[[월키테 시티 FC|{{{#fff '''월키테'''}}}]]
||



5. 우승 경력[편집]



구단연고지우승 횟수퍼스트 디비전 시절 (1944~1997)프리미어 리그 시절 (1998~)
세인트 조지 SC아디스 아바바301950, 1966, 1967, 1968, 1971, 1975, 1985, 1986, 1987, 1990, 1991, 1992, 1994, 1995, 19961999, 2000, 2002, 2003, 2005, 2006, 2008, 2009, 2010, 2012, 2014, 2015, 2016, 2017, 2022
메켈라케야[5]아디스 아바바111949, 1951, 1952, 1953, 1954, 1956, 1976, 1982, 1984, 1988, 1989-
코튼 FC디레 다와51960, 1962, 1963, 1965, 1983-
아스마라아스마라41955, 1957, 1972, 19731994년 리그 탈퇴.
에티오-일렉트릭[6]아디스 아바바319931998, 2001
텔레 SC아스마라31959, 1969, 19701994년 리그 탈퇴.
에티오피아 커피 SC아디스 아바바219972011
엠바소리아[7]아스마라21958, 19741994년 리그 탈퇴.
에티오피아 시멘트-21961, 1964-
하와사 시티시다마 주 하와사2-2004, 2007
BMME[8]-11944[9]-
파실 케네마 SC암하라주 곤다르1-2021
데데빗 FC티그라이주 메켈레1-2013
짐마 아바 지파르 FC짐마1-2018
메켈레 70 엔데르타 FC티그라이주 메켈레1-2019
에르메자첸아디스 아바바11981-
케이 바헤르아디스 아바바11948-
메드르 바부르디레 다와11977-
오가덴 안바하라르11978-
오메들라아디스 아바바11979-
테글 프레아디스 아바바1198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14:22:31에 나무위키 에티오피아 프리미어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부 리그[2] 3부 리그[3] 에티오피아 축구 리그는 3부 리그까지 이루어져 있으며, 2부 리그에는 32팀이, 3부 리그에는 48팀이 참가한다.[4] 이를 더블 라운드 로빈(Double round robin system)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유럽의 축구 리그들의 방식과 비슷하다.[5] 군경 축구단[6] 에티오피아 전력공사 축구단(EEPCO SC, Ethiopia Electric Power Corporation Sports Club.) 현지에서는 메브랏 하일(Mebrat Hail)이라고도 부른다.[7] 아칼레 구자이(Akale Guzay)라고도 불렸다.[8] British Military Mission in Ethiopia, 에티오피아 영국군 사절단[9] 첫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