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야마가타현 제3구

덤프버전 :


도호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야마가타현 제3구
山形県第3区
||
파일:shuinsen_Yamagata3.svg
선거인 수284,580명 (2022)
상위 도도부현야마가타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가토 아유코




1. 개요[편집]


야마가타현의 북부, 해안 지역인 쓰루오카시, 사카타시, 신조시, 모가미군, 히가시타가와군, 아쿠미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가토 아유코.


2. 상세[편집]


자민당 지지도가 강한 지역구로, 지역구 의원이었던 가토 고이치 전 관방장관의 강력한 지역기반이었다. 가토 고이치는 처음 두 번의 총선에서는 4구에 출마했는데, 야마가타현의 인구 감소로 4구의 대부분이 3구로 합쳐지면서 43회 총선부터는 3구에 출마했다. 국내에서는 관방장관 시절에 일본 정부가 군위안부 문제에 관여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인정한 "가토 담화"를 발표한 인물로 유명하다.

하지만 46회 총선에서는 가토 고이치가 건강 이상을 보이며 선거 운동을 원활히 하지 못했고, 자민당 공천을 받지 못자 무소속으로 출마한 보수계 무소속 아베 주이치 후보에게 패배했다. 자민당 중앙지도부는 가토 고이치를 밀었으나, 반대로 야마가타현 지부에서는 아베 주이치를 지원하는 인사들이 꽤 많았다. 게다가 쓰루오카시와 사카타시 사이의 미묘한 지역감정도 작용했다.

현직 의원인 가토 아유코는 가토 고이치의 딸이다. 47회 총선에서 아베 주이치를 꺾으며 부친을 대신해 설욕하는데 성공했고, 48회 총선에서 다시 맞붙어 이겼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신죠시, 무라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네시, 오바나자와시,
니시무라야마군 일부, 키타무라야마군, 모가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지가오카 리이치로88,389표1위


58.08%당선
사이토 쇼스케54,640표2위

무소속

[1]
35.9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엔도 고지9,162표3위


6.02%낙선
유효표 수152,191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신죠시, 무라야마시, 텐도시, 히가시네시, 오바나자와시,
니시무라야마군 일부, 키타무라야마군, 모가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지가오카 리이치로88,069표1위


57.22%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사이토 쇼스케55,891표2위


36.3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구도 에미코9,944표3위


6.46%낙선
유효표 수153,904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fff
츠루오카시, 사카타시, 신죠시, 모가미군,
히가시타가와군, 니시타가와군, 아쿠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가토 고이치137,206표1위

무소속

[2]
58.9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이토 준84,946표2위


36.4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마사유키10,735표3위


4.61%낙선
유효표 수232,887표투표율
72.09%
선거인 수

가토의 난에다가 비서의 탈세 혐의로 탈당 후 의원직을 사퇴한 가토 고이치 전 관방장관이 다시 정계에 복귀했다. 다만 아직 자민당으로 복당하지는 못한 상태라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하지만 자민당도 후보를 내지 않고 가토를 추천했기에 사실상 자민당 후보로 출마한 셈이다.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츠루오카시, 사카타시, 신죠시, 모가미군,
히가시타가와군, 니시타가와군, 아쿠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토 고이치159,486표1위


69.58%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이토 하지메49,057표2위
21.4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마사유키20,657표3위
9.01%낙선
유효표 수229,200표투표율
72.20%
선거인 수327,511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츠루오카시, 사카타시, 신죠시, 모가미군,
히가시타가와군, 니시타가와군, 아쿠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토 고이치130,502표1위
56.86%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요시이즈미 히데오80,362표2위
[3]35.0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세가와 쓰요시13,789표3위
6.01%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시로토리 료타4,880표4위
2.13%낙선
유효표 수229,533표투표율
73.85%
선거인 수318,892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fff
츠루오카시, 사카타시, 신죠시, 모가미군,
히가시타가와군, 니시타가와군, 아쿠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아베 주이치71,768표1위
35.9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토 고이치70,303표2위
[4]35.24%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사토 다케하루25,299표3위
12.68%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요시이즈미 히데오22,930표4위
11.5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세가와 쓰요시9,170표5위
4.60%낙선
유효표 수199,470표투표율
65.32%
선거인 수311,172인

가토 고이치 의원의 14선 도전이 좌절되었다. 자민당 현역 의원 중 유일한 낙선자이다. 공천을 받았으나, 건강 이상에다 당 지역조직마져 분열하며 보수계 무소속 아베 주이치 전 사카타 시장에게 접전패했다.

가토 고이치의 패배에는 쓰루오카시와 사카타시 사이의 미묘한 지역감정도 작용했다. 쓰루오카를 기반으로 한 가토에 맞서 사카타의 지역 조직 및 시민들이 똘똘 뭉쳐 아베 주이치를 압도적으로 지지했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쓰루오카시, 사카타시, 신조시, 모가미군,
히가시타가와군, 아쿠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토 아유코79,872표1위
[5]42.86%당선
아베 주이치78,384표2위
42.06%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요시다 다이세이15,981표3위
8.5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세가와 쓰요시10,794표4위
5.79%낙선
사토 마코토1,319표5위
0.71%낙선
유효표 수186,350표투표율
61.96%
선거인 수305,295인

가토 고이치 전 의원이 패배 후 정계를 은퇴했고, 후계자로 딸인 가토 아유코가 낙점되었다.

지난 총선에 이어 또다시 1% 미만의 초박빙 승부가 펼쳐졌는데, 이번에는 가토 아유코 후보가 당선되었다. 가토 당선자로써는 2년 전 패배한 아버지를 대신해 나름 복수를 한 셈이다. 이후 부친인 가토 고이치는 2016년 9월 9일 향년 77세를 일기로 별세한다.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쓰루오카시, 사카타시, 신조시, 모가미군,
히가시타가와군, 아쿠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토 아유코103,973표1위
[6]52.18%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아베 주이치81,708표2위
41.0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토 다이치11,241표3위
5.64%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시로토리 료타2,329표4위
행복실현당
1.17%낙선
유효표 수199,251표투표율
66.75%
선거인 수302,085인

지난 두 번의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한 아베 주이치가 이번에는 야당인 희망의 당에 입당해서 출마했다. 지난 두 번 연속으로 박빙의 결과가 나왔고, 이번에는 아베 주이치가 야당표까지 흡수한 덕분에 유리해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다. 하지만 자민당이 우세한 선거구답게 오히려 보수계 무소속 후보일때 얻었던 자민당 지지자들의 표가 달아나면서 11.2%의 비교적 큰 격차로 패배했다.

이후 아베는 2019년 사카타 시장선거에 출마해 시장직 복귀를 노렸으나, 현직 시장에게 패배했다. 차기 총선 출마여부는 불투명하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가타현 제3구
쓰루오카시, 사카타시, 신조시, 모가미군,
히가시타가와군, 아쿠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토 아유코108,558표1위
[7]58.06%당선
아베 히토미66,320표2위
35.4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메키 다케시12,100표3위
6.47%낙선
유효표 수186,978표투표율
65.74%
선거인 수287,642인



현역 자민당 가토 아유코 의원이 재출마한다.

공산당은 노조 위원장 출신인 우메키 다케시 후보를 공천했다. 공산당 이외의 야당은 출마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 지난 총선에서 출마한 아베 주이치 전 의원도 사카타 시장선거에서 낙선한 이후 정치활동을 재개하지 않았다.

그렇게 자민당과 공산당 후보만 출마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9월 21일 사카타시를 기반으로 하는 아베 히토미 현의원이 출마 의향을 굳혔다는 소식이 보도되면서, 자민・공산 후보에 더해져 선거는 3파전 구도가 되었다.

아베 히토미 현의원은 본래 자민당 계열 인사지만, 공인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이후 야당계인 현직 요시무라 지사를 지원해 왔다. 전술된 사카타 시장선거에서도 아베 주이치 전 의원을 지지했던 만큼, 오히려 공산당 우메키 후보를 지지율에서 제치고 사실상의 야권 제1후보로 자민당 가토 후보와 맞서는 구도가 펼쳐졌다.

개표 결과, 자민당 가토 아유코 후보가 압승했다. 무소속 아베 히토미 후보는 사카타시와 아쿠미군에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가토 아유코에게 큰 표차로 패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민당에서는 최근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저출산대책담당)으로 임명된 가토 아유코 의원의 4선 도전이 예상된다.

일본공산당은 야마다 마모루 당 사카타시 지구 위원장을 차기 후보로 공천했다.

[1]

,

추천
[2]

추천
[3] ,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