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유넥스트/8회

덤프버전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예고편
3. 5라운드: 콘셉트 이해력 (COLOR MISSION)
3.1. 두 번째 미션: 블랙 미션
3.2. 5라운드 결과
4. 순위 발표식
4.1. 레벨별
4.2. 최종 순위
4.3. 네 번째 탈락자
4.4. 평가 결과
5. 6라운드: 세미파이널
5.1. 첫 번째 미션: 신곡 대결
6. 여담
6.1. 이벤트 투표 결과[1]
6.2. 하프타임 운동회
6.3. 경연 외 비하인드


1. 개요[편집]


2023년 8월 18일에 방영된 R U Next? 8회에 관한 문서.

2. 예고편[편집]


무려 신.곡. 대결이다! 대망의 세미파이널!

3. 5라운드: 콘셉트 이해력 (COLOR MISSION)[편집]



3.1. 두 번째 미션: 블랙 미션[편집]


2번째 미션은 숨겨진 컬러, 블랙 미션으로, 첫 번째 미션인 컬러 미션이 최종 점수에 50% 반영되며 블랙미션이 50% 반영되어 합산된다. 유닛에서 내부적으로 총대를 멜 1명을 선정해 총 3명이 블랙 콘셉트로 구성된 노래 1곡으로, 1:1:1로 단판 승부한다. 팀원의 점수와 운명이 총대를 멘 팀별 에이스의 손에 달렸다.

Shut Down
블랙유닛

그린유닛퍼플유닛레드유닛
파일:알유넥스트-영서.png
영서 파일:알유넥스트 HIGH.png
파일:알유넥스트-히메나.png
히메나 파일:알유넥스트 LOW.png
파일:알유넥스트-이로하.png
이로하 파일:알유넥스트 HIGH.png
3910점3770점3925점

총대 연습생 3인의 개인점수는 각 유닛 인원인 5를 곱하여 계산되며, 총대 연습생의 개인점수를 컬러 미션 유닛점수에 합산하여 최종점수를 계산한다.

최종 우승유닛 전원에게 베네핏 점수가 부여되며, 총대 3인 중 최고점 1인에게도 별도 베네핏이 부여된다.

3.2. 5라운드 결과[편집]



유닛합산 점수첫 번째 미션블랙 미션 점수
퍼플유닛7306점
3등
3536점3770점
그린유닛7393점
2등
3483점3910점
레드유닛7648점
1등
3723점3925점


4. 순위 발표식[편집]



4.1. 레벨별[편집]



레벨 심사 결과
배경색 기준 좌측, 하단은 등급하락 / 우측, 상단은 등급상승 / 대각선은 등급 유지
전(→)

후(↓)
HIGH LEVEL
MIDDLE LEVEL
LOW LEVEL
NEXT ZONE
이로하, 지우, 영서민주, 윤아, 원희
7위 - 12위
지민, 지현샤넬, 모카정은, 히메나
레벨 체제가 사실상 종료되었고 TOP 6가 '넥스트 존'에 들게 되었다.

4.2. 최종 순위[편집]


NEXT ZONE
1위 - 6위
이로하, 지우, 민주, 윤아, 영서, 원희


4.3. 네 번째 탈락자[편집]



파일:알유넥스트 로고 화이트.svg
5R - 네 번째 탈락자
13위, 14위, 15위 연습생
파일:알유넥스트-후우나.png
후우나
LOW 파일:알유넥스트 LOW.png
13위
파일:알유넥스트-서연.png
서연
LOW 파일:알유넥스트 LOW.png
14위
파일:알유넥스트-혜원.png
혜원
LOW 파일:알유넥스트 LOW.png
15위


4.4. 평가 결과[편집]



순위참가자최종 점수점수[2]5R 베네핏5R 레벨
1위이로하1291점1091점200점HIGHNEXT
2위지우1248점1148점100점HIGHNEXT
3위민주1230점1230점0점MIDNEXT
4위윤아1167점1067점100점MIDNEXT
5위영서1151점1151점0점HIGHNEXT
6위원희1027점1027점0점MIDNEXT
7위지민1023점1023점0점HIGH
8위정은1014점914점100점LOW
9위샤넬980점980점0점MID
10위모카955점955점0점MID
11위지현869점869점0점HIGH
12위히메나828점828점0점LOW
13위후우나808점708점[3]100점LOW탈락
14위서연688점688점[4]0점LOW탈락
15위혜원650점650점[5]0점LOW탈락

5라운드: 콘셉트 이해력
베네핏의 영향
[ 베네핏 없이 실제 순위 ]

순위실제 순위참가자실제 점수5R 베네핏5R 레벨실제 존
1위3위민주1230점0점MIDNEXTNEXT
2위5위영서1151점0점HIGHNEXTNEXT
3위2위지우1148점100점HIGHNEXTNEXT
4위1위이로하1091점200점HIGHNEXTNEXT
5위4위윤아1067점100점MIDNEXTNEXT
6위6위원희1027점0점MIDNEXTNEXT
7위7위지민1023점0점HIGH
8위9위샤넬0980점0점MID
9위10위모카0955점0점MID
10위8위정은0914점100점LOW
11위11위지현0869점0점HIGH
12위12위히메나0828점0점LOW
13위13위후우나0708점100점LOW
14위14위서연0688점0점LOW
15위15위혜원0650점0점LOW

[ 퍼플유닛이 베네핏을 받았을 경우 ]

순위실제 순위참가자최종 점수5R 베네핏5R 레벨실제 존
1위3위민주1230점0점MIDNEXTNEXT
2위5위영서1151점0점HIGHNEXTNEXT
3위2위지우1148점0점HIGHNEXTNEXT
4위6위원희1127점100점MIDNEXTNEXT
5위1위이로하1091점0점HIGHNEXTNEXT
6위9위샤넬1080점100점MIDNEXT
7위4위윤아1067점0점MIDNEXT
8위10위모카1055점100점MID
9위12위히메나1028점200점LOW
10위7위지민1023점0점HIGH
11위8위정은0914점0점LOW
12위11위지현0869점0점HIGH
13위14위서연0788점100점LOW
14위13위후우나0708점0점LOW
15위15위혜원0650점0점LOW

[ 그린유닛이 베네핏을 받았을 경우 ]

순위실제 순위참가자최종 점수5R 베네핏5R 레벨실제 존
1위5위영서1551점200점HIGHNEXTNEXT
2위3위민주1330점100점MIDNEXTNEXT
3위2위지우1148점0점HIGHNEXTNEXT
4위7위지민1123점100점HIGHNEXT
5위1위이로하1091점0점HIGHNEXTNEXT
6위4위윤아1067점0점MIDNEXTNEXT
7위6위원희1027점0점MIDNEXT
8위9위샤넬0980점0점MID
9위11위지현0969점100점HIGH
10위10위모카0955점0점MID
11위8위정은0914점0점LOW
12위12위히메나0828점0점LOW
13위15위혜원0750점100점LOW
14위13위후우나0708점0점LOW
15위14위서연0688점0점LOW


5. 6라운드: 세미파이널[편집]


6라운드는 세미파이널로써 본인의 잠재력을 증명하는 무대이며, 무려 알유넥스트 자체 제작 신곡 2곡으로 경쟁하게 된다.

신곡 파트 오디션을 통해 곡과 파트가 결정된다. 연습생은 두 곡을 모두 연습해 코치진들에게 두 곡을 모두 선보이며, 코치진들의 협의, 평가, 판단 하에 곡과 파트를 배정받는다.

5.1. 첫 번째 미션: 신곡 대결[편집]



곡명파트
센터메인보컬리드보컬서브보컬 1서브보컬 2서브보컬 3
Scrum정은원희지우이로하민주모카
Pride지민샤넬윤아지현영서히메나
[ 곡별 1지망 연습생 ]

곡명지망 연습생
Scrum센터 지망: 정은, 모카, 원희
히메나, 샤넬
Pride센터 지망: 지민, 민주
영서, 지현, 윤아



6. 여담[편집]



6.1. 이벤트 투표 결과[6][편집]



파일:알유넥스트 로고 화이트.svg
이벤트 투표 결과
1위 & 순위 상승 연습생[a]
1위순위 상승 연습생[a]
874
파일:알유넥스트-원희.png
원희
파일:알유넥스트-정은.png
정은
파일:알유넥스트-원희.png
원희
파일:알유넥스트-샤넬.png
샤넬
특전: 커피차, 위버스 배너(2일), 미공개 셀카 공개특전: 위버스 배너(1일), 미공개 셀카 공개


6.2. 하프타임 운동회[편집]






6.3. 경연 외 비하인드[편집]




7화 5라운드에 이어 8화 6라운드에서도 샤넬의 방송 태도가 다시 논란이 됐는데, 본인이 하고 싶지 않은 곡과 파트를 맡게 되자 메인보컬 포지션을 맡았음에도 이례적으로 강하게 반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른 참가자들은 물론, 코치들 또한 메인보컬의 표정이 저렇게 안 좋은건 처음 봤다면서 당황했을 정도.[7] 프로듀스 48 당시 허윤진이 재평가를 받기도 했다.

사실 샤넬이 무조건 옳은 것도 아니고, 케이팝 아이돌 시스템이 무조건 옳다는 것도 아니다. 다만, 한중일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아이돌 육성 및 활동 시스템과 현대 서구사회의 가치관이 너무 어울리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개개인을 회사가 원하는 대로 끝까지 갈고 닦아 데뷔시킨 후 회사가 정해준 음악과 콘셉트로 승부하는 것이 현 케이팝 아이돌 시장의 주요 키포인트이지만, 이것이 자기가 하고 싶은 음악을 자유롭게 하면서 인기를 얻으면 음반사와 본격적으로 계약하는, 보편적인 서양 음반 시장의 가치관과는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이 문제이기 때문이다.[8] 사실, 이것은 아이돌 말고도 공부나 사회생활에서 또한 똑같이 적용되는 문제점이다.[9] 그래서 연습생으로서의 워크에식을 중시하는 한중일 팬덤에서는 샤넬의 이기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이 많지만, 개인의 자유의지를 중시하는 서양 팬덤에서는 샤넬의 언행을 두고 소신이 뚜렷하다면서 응원하고 존중하는 의견이 많은 등 반응이 극과 극으로 갈리는 상황이다. 실제로 샤넬은 해외 팬덤들의 지지가 매우 탄탄한 멤버라, 샤넬의 언행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이 많은 국내 팬덤에서는 샤넬이 데뷔조에 포함된다면 탈덕할 것이라는 급진적인 의견까지 서슴없이 나오고 있다.

현 시점에서 K-POP 아이돌은 전소연이나 G-DRAGON처럼 직접 그룹의 콘셉트와 곡을 기획하고 이끌어 나갈 수 있는, 본인의 원맨 캐리로 멤버들과 회사를 모두 먹여살릴 수 있는 역량이 있지 않다면 회사에서 내리는 지침과 콘셉트대로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이돌의 시스템에 맞지 않고 본인이 원하는 음악과 노래를 부르며 활동하기를 원한다면 처음부터 솔로 아티스트의 길을 걸어가는 것이 맞는 것이다. 아이돌을 선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에서 보여준 샤넬의 태도는 프로그램과 산업의 취지에 맞지 않는 명백한 잘못이다.[10][11]

무엇보다 아이돌 산업은 돈과 인기를 최대한 많이 벌기 위해 수많은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이 고민하여 결정하는 중요한 산업이기 때문에 본인의 희망과 상관없이 회사가 정해 주는 콘셉트로 활동을 시키고[12], 실력에 상관 없이 인기 멤버를 푸쉬하기도 하는 곳이다. 달리 말하면 개인의 편의나 욕심을 위해 그룹의 균형을 해치거나 깨뜨릴수 없다는 것이다.[13]

결국 샤넬은 9화에서 11위로 탈락했다. 글로벌 투표에서 6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해외에서 지우와 함께 가장 인기가 많은 연습생이었음에도 코치들의 혹평과 낮은 평가 점수[14]가 패인으로 보인다. 다만 해외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샤넬의 탈락을 용납하지 못하고 있으며 코치진의 판단을 인종차별로 몰아가면서 HYBE와 제작진과 코치진을 욕하는 등 그야말로 난리가 발생한 상황. 그나마 온건한 팬들도 샤넬이 미국 혼혈임을 고려해 미국 현지에서 활동할 다국적 그룹을 결성하는 The Debut: Dream Academy에 참가하는 것이 더 좋았겠다는 의견이 많다.

국내에서는 환호와 아쉬움이 공존하는 상황이다. 대다수 국내 시청자들은 2년 전 휴닝바히에 관련 사태처럼 해외 시청자들의 몰표 및 해외 팬덤의 비상식적인 요구를 막아낸 것을 칭찬하고 있다. 하지만, 샤넬의 비주얼 및 보컬 실력이라면 충분히 파이널 데뷔까지 노려볼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멘탈 컨디션 악화로 인해 데뷔가 물건너간 것에 대해 아쉬워하는 국내 시청자 의견도 적지 않다.[15]

다만 이 문제는, 해외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하는 케이팝의 문제점, 한계 사항이라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KPOP이 해외 인기를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얻으려면 기획사들이 어떻게든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6:02:44에 나무위키 알유넥스트/8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집계기간: 2023년 8월 11일 22:30 – 8월 17일 24:00[2] 2차 글로벌 투표 + 코치 평가 + 관객 평가 점수[3] 코치진 480점 + 평가단 122점 + 글로벌 106점[4] 코치진 488점 + 평가단 134점 + 글로벌 66점[5] 코치진 406점 + 평가단 136점 + 글로벌 108점[6] 집계기간: 2023년 8월 11일 22:30 – 8월 17일 24:00[a] A B 3차 글로벌 투표 순위 비교[7] 그래도 상대적으로 편집이 착하고 담백한 JTBC라서 다행이지, 악마의 편집으로 유명한 엠넷에서 방송하는 오디션이었으면 대형사고가 벌어질 확률이 매우 높았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엠넷 오디션에서 악편이 나왔을때의 반응보단 비판 여론이 유한 편이며, 실제 편집도 9회에서 좋은 방향으로 살려주기도 했다.[8] 그나마 예외 사례를 꼽자면, 퀸덤 1, 퀸덤 2처럼 (부분적이긴 하지만) 본인들이 직접 하고 싶어했던 음악을 창작해 경연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사례가 있고, 전소연처럼 아이돌 본인의 프로듀싱, 디렉팅 능력이 매우 뛰어나서 본인의 원맨 캐리로 멤버들과 회사를 모두 먹여 살리는 사례가 있다.[9] 이 점은 한중일 이외 서구권 연습생을 선발하여 훈련시키는 모든 기획사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같은 시기에 JYP엔터테인먼트에서 방송하고 있는 미국 현지화 걸그룹 서바이벌인 A2K 또한 이와 같은 우려를 사고 있다.[10] 때문에 옆에서 샤넬의 파트 체인지를 도와줄려고 한 지우도 생각이 짧았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수는 없다. 코치들이 일방적으로 파트를 분배한 것이 아닌 오디션과 내부심사 및 기준, 연습생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려고 했기 때문이다.[11] 알유넥스트라는 오디션 내에서 연습생의 프로듀싱 실력은 볼 수 없었기에 샤넬이 뛰어난 작곡 및 프로듀싱 실력도 가졌을 가능성은 배제할수 없지만 본 오디션의 포맷과 그 안에서 보여준 샤넬의 모습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그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12] 이러한 사례에는 무려 원더걸스의 'Tell me'와 소녀시대의 'Gee'도 포함되어 있다. 당사자들이 당시에는 정말로 하기 싫어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대성공하였다.[13] 특히 알유넥스트 방영 전부터 지금까지 이 부분과 관련된 역대급 사건사고가 벌어지고 있기에 국내 팬덤 분위기가 더욱 험악해질 수 밖에 없다.[14] 코치들은 연습 도중 태도와 실력을 꾸준히 점검하기에 멘탈이 약해지면서 좋지 못한 태도를 보인 샤넬이 6라운드에서 극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기는 힘들었다.[15] 샤넬하고는 전혀 다른 사유이긴 하지만, 올림픽 브레이크가 있었음에도 제작진의 투표수 재반영 및 재촬영 없이 한 달 전의 투표 결과를 그대로 적용시키는 바람에 한 등수 차이로 매우 안타깝게 탈락한 김인혜하고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김인혜가 탈락하지 않았다면 충분히 파이널 데뷔까지도 노려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