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후이성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베이징시
· 톈진시
· 허베이성
· 산시성
·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
화둥 지구
상하이시
파일:1px 투명.svg
· 장쑤성
· 저장성
· 안후이성
· 푸젠성
· 장시성
· 산둥성
· 타이완성
중난 지구
허난성
· 후베이성
· 후난성
· 광둥성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이난성
·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시난 지구
충칭시
· 쓰촨성
파일:1px 투명.svg
· 구이저우성
파일:1px 투명.svg
· 윈난성
파일:1px 투명.svg
· 티베트 자치구
시베이 지구
산시성
파일:1px 투명.svg
· 간쑤성
파일:1px 투명.svg
· 칭하이성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한자
: 행정 약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의 성
안후이성
安徽(Ānhuī(Shěng[1] | Anhui Provinc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0px-China_Anhui.svg.png

지역화둥
면적139,400km²
성도허페이시
청사소재지안후이성 허페이시 바오허구 중산루1호
安徽省合肥市包河区中山号
하위 행정구역16지급시
시간대UTC+8[2]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6,200만명
인구밀도440명/km²
민족 구성한족 99.32% | 후이족 0.57%
몽골족 0.02% | 만주족 0.01%
HDI0.717 (2017)
서기정자제(郑栅洁)
성장왕칭셴(王清宪)
GRDP전체$6,753억 (2021)
1인당$11,067 (2021)[1]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340100
지역전화번호0551 ~ 0559
0561 ~ 0566
우편번호230000 ~ 247000
ISO 3166-2CN-AH

홈페이지

파일:안후이성 전경 1.jpg
안후이성 전경

1. 개요
2. 행정구역
3. 역사
5. 역대 영도인
6. 출신인물



1. 개요[편집]


안후이성중국의 성으로, 성도는 허페이시다. 약칭은 완((wǎn)으로, 과거부터 이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에서 유래했다. 화이((huái)라는 약칭도 쓰인다.

성의 면적은 약 139,600km²이며 인구는 약 6,600만명이다. 안후이성 북부와 중부는 화이허가 흐르며 평야가 많고, 남부는 장강(양쯔강)이 흐르며 산지가 많다. 안후이성은 청나라 시기 1667년에, 기존에 있던 강남성을 안후이성과 장쑤성으로 나누면서 탄생하였다. 안후이성이란 성 이름의 의미는 이 지역의 역사적 중심도시들인 안칭(安庆)과 후이저우(徽州)의 첫글자를 따서 지어진 것이다.

중국에서 손꼽히는 명산 황산, 주화산이 있어 한국에서 등산하러도 많이 간다. 또한 중국의 KAIST라고 할 수 있는 중국과학기술대학이 성도 허페이시에 위치하고 있다.

2. 행정구역[편집]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6
현급행정구
시할구 45, 현급시 9, 50
허페이시
성도
合肥市
수산구
蜀山区
야오하이구
瑶海区
루양구
庐阳区
바오허구
包河区
차오후시
巢湖市
창펑현
长丰县
페이둥현
肥东县
페이시현
肥西县
루장현
庐江县
우후시
芜湖市
주장구
鸠江区
징후구
镜湖区
이장구
弋江区
완즈구
湾沚区
판창구
繁昌区
우웨이시
无为市
난링현
南陵县
벙부시
蚌埠市
벙산구
蚌山区
룽쯔후구
龙子湖区
위후이구
禹会区
화이상구
淮上区
화이위안현
怀远县
우허현
五河县
구전현
固镇县
화이난시
淮南市
톈자안구
田家庵区
다퉁구
大通区
셰자지구
谢家集区
바궁산구
八公山区
판지구
潘集区
서우현
寿县
펑타이현
凤台县
마안산시
马鞍山市
위산구
雨山区
화산구
花山区
보왕구
博望区
당투현
当涂县
한산현
含山县
허현
和县
화이베이시
淮北市
샹산구
相山区
두지구
杜集区
례산구
烈山区
쑤이시현
濉溪县
퉁링시
铜陵市
퉁관구
铜官区
이안구
义安区
자오구
郊区
쭝양현
枞阳县
안칭시
安庆市
다관구
大观区
잉장구
迎江区
이슈구
宜秀区
퉁청시
桐城市
첸산시
潜山市
화이닝현
怀宁县
타이후현
太湖县
쑤쑹현
宿松县
왕장현
望江县
웨시현
岳西县
황산시
黄山市
툰시구
屯溪区
황산구
黄山区
후이저우구
徽州区
서현
歙县
슈닝현
休宁县
이현
黟县
치먼현
祁门县
추저우시
滁州市
랑야구
琅琊区
난차오구
南谯区
톈창시
天长市
밍광시
明光市
라이안현
来安县
취안자오현
全椒县
딩위안현
定远县
펑양현
凤阳县
푸양시
阜阳市
잉저우구
颍州区
잉둥구
颍东区
잉취안구
颍泉区
제서우시
界首市
린취안현
临泉县
타이허현
太和县
푸난현
阜南县
잉상현
颍上县
쑤저우시
宿州市
융차오구
埇桥区
당산현
砀山县
샤오현
萧县
링비현
灵璧县
쓰현
泗县
루안시
六安市
진안구
金安区
위안구
裕安区
예지구
叶集区
훠추현
霍邱县
수청현
舒城县
진자이현
金寨县
훠산현
霍山县
보저우시
亳州市
차오청구
谯城区
궈양현
涡阳县
멍청현
蒙城县
리신현
利辛县
츠저우시
池州市
구이츠구
贵池区
둥즈현
东至县
스타이현
石台县
칭양현
青阳县
쉬안청시
宣城市
쉬안저우구
宣州区
닝궈시
宁国市
광더시
广德市
랑시현
郎溪县
징현
泾县
지시현
绩溪县
징더현
旌德县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3. 역사[편집]


산이 많은 지역으로 고대부터 오랑캐 취급받은 산월족이 활동했다.

초한쟁패기의 마지막을 장식한 해하 전투가 이곳에서 있었고 삼국시대에는 위와 오의 경계지역으로 북부 합비에서 몇 차례나 격전을 벌였다. 이외에도 원술이 황제를 참칭한 수춘(지금의 루안시 서우현), 장강을 낀 루장(여강) 등 삼국지에 익숙한 지역이 이곳에 많다.

신라에서 건너온 왕자 김교각이 이곳 안후이성 구화산(九華山)에 입적했다. 한국에서 낮은 인지도와 달리 해당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에서는 엄청나게 존중받는 고승으로 취급한다.

산이 많아 농사지을 땅이 부족하니 사람들이 상업에 많이 종사해 이들 안휘출신 상인집단을 휘상(徽商)이라 불렀고 장사꾼으로 유명했다. 지금은 강남지방 중 하나로 치지만, 고속경제성장을 보이는 해안지역이 아니라서 옆동네 장쑤성, 저장성에 비하면 경제적으로는 조금 쳐져있다.

4. 요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안휘 요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역대 영도인[편집]


파일:중국 국장.svg
안후이성 영도인
[ 성장 ]

#FFF ||<-3><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 '''{{{#ffff00 안후이성 인민정부 주석}}}''' || ||<-3> {{{-2 {{{#ffff00 초대}}}}}} || ||<-3><rowbgcolor=#fff,#191919> [[청시성]] || ||<-3> '''{{{#ffff00 안후이성 인민위원회 성장}}}''' || ||<-3> {{{-2 {{{#ffff00 초대}}}}}} || ||<-3><rowbgcolor=#fff,#191919> [[황옌]] || ||<-3> '''{{{#ffff00 안후이성 혁명위원회 주임}}}''' || ||<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width=33%>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리더성]] || [[쑹페이장]] || [[완리]] || ||<-3> '''{{{#ffff00 안후이성 인민정부 성장}}}''' || || {{{-2 {{{#ffff00 초대}}}}}} || {{{-2 {{{#ffff00 제2대}}}}}} ||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장징푸]] || [[저우즈젠]] || [[왕위자오]] || || {{{-2 {{{#ffff00 제4대}}}}}} || {{{-2 {{{#ffff00 제5대}}}}}} || {{{-2 {{{#ffff00 제6대}}}}}} || ||<rowbgcolor=#fff,#191919> [[루룽징]] || [[푸시서우]] || [[후이량위]] || || {{{-2 {{{#ffff00 제7대}}}}}} || {{{-2 {{{#ffff00 제8대}}}}}} || {{{-2 {{{#ffff00 제9대}}}}}} || ||<rowbgcolor=#fff,#191919> [[왕타이화]] || [[쉬중린]] || [[왕진산]] || || {{{-2 {{{#ffff00 제10대}}}}}} || {{{-2 {{{#ffff00 제11대}}}}}} || {{{-2 {{{#ffff00 제12대}}}}}} || ||<rowbgcolor=#fff,#191919> [[왕싼위안]] || [[리빈(정치인)|리빈]] || [[리쉐쥔]] || || {{{-2 {{{#ffff00 제13대}}}}}} || {{{-2 {{{#ffff00 제14대}}}}}} || {{{-2 {{{#ffff00 제15대}}}}}} || ||<rowbgcolor=#fff,#191919> [[리리빈]] || [[리궈잉]] || [[왕칭셴]] ||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FFF ||<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width=33%>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청시성]] || [[리바오화]] || [[리더성]] || || {{{-2 {{{#ffff00 제4대}}}}}} || {{{-2 {{{#ffff00 제5대}}}}}} || {{{-2 {{{#ffff00 제6대}}}}}} || ||<rowbgcolor=#fff,#191919> [[쑹페이장]] || [[완리]] || [[장징푸]] || || {{{-2 {{{#ffff00 대리}}}}}} || {{{-2 {{{#ffff00 제7대}}}}}} || {{{-2 {{{#ffff00 제8대}}}}}} || ||<rowbgcolor=#fff,#191919> [[저우즈젠]] || [[황황]] || [[리구이셴]] || || {{{-2 {{{#ffff00 제9대}}}}}} || {{{-2 {{{#ffff00 제10대}}}}}} || {{{-2 {{{#ffff00 제11대}}}}}} || ||<rowbgcolor=#fff,#191919> [[루룽징]] || [[후이량위]] || [[왕타이화]] || || {{{-2 {{{#ffff00 제12대}}}}}} || {{{-2 {{{#ffff00 제13대}}}}}} || {{{-2 {{{#ffff00 제14대}}}}}} || ||<rowbgcolor=#fff,#191919> [[궈진룽]] || [[왕징산]] || [[장바오슌]] || || {{{-2 {{{#ffff00 제15대}}}}}} || {{{-2 {{{#ffff00 제16대}}}}}} || {{{-2 {{{#ffff00 제17대}}}}}} || ||<rowbgcolor=#fff,#191919> [[왕쉐쥔]] || [[리진빈]] || [[정자제]] ||





6. 출신인물[편집]


이 지역 출신 가운데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람들이 많다.

6.1. 고대[편집]



6.2. 삼국시대(중국)[편집]


대부분의 오나라 인물 뿐만 아니라 조조를 비롯한 상당수의 조씨나 하후씨의 위나라 인물이 이곳 출신이다. 삼국시대에 안후이성 남부는 오나라, 북부는 위나라의 영역에 속했다.

6.2.1. 위나라[편집]


조조의 친족인 조씨와 하후씨는 모두 예주 패군 초현(현재의 보저우)출신이다.

6.2.2. 오나라[편집]



6.3. 중세[편집]



6.4. 근대[편집]



6.5. 현대[편집]




[1] 또는 安徽(Ang1huei1(Sen3.[2] 중국은 전 지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이 중국 표준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