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산 버스 600번대

덤프버전 : (♥ 0)

||
[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충남형
M버스
순환
배방
송악
유구
성환
신창
선장
신창
도고
선장
성환
둔포
평택
염치
영인
인주
탕정
음봉
배방
천안
900천안
910천안
천안: 천안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

[ 공영버스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역사
3. 노선 목록
3.1. 600번
3.2. 601번
3.3. 610번
3.4. 614번
3.5. 615번
3.6. 620·622번
3.7. 621번
3.8. 650번
3.9. 660번
4. 연계 철도역



1. 개요[편집]


염치읍, 영인면, 인주면, 당진시 신평면 (1일 8회)방향으로 가는 노선이다.

600, 610번대는 아산리, 공세리를 경유하여 인주면소재지로, 620번대는 미진아파트를 경유하여 인주면소재지로 간다.

2. 역사[편집]


  • 2015년 하반기 버스노선 개편안에서 일부 노선이 신설, 통합, 폐선되는 것으로 나왔다. 아산시청 공지사항



3. 노선 목록[편집]



3.1. 600번[편집]




파일:아산600.png파일:아산600.jpg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아산600노선도.png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방축동(신정호관광지)종점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운정리(삽교천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8:00기점행첫차09:20
막차16:40막차18:00
배차 간격1일 4회
노선신정호관광지 - 방축주공아파트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중방리마을회관 - 서원1리마을회관 - 서원리벌판 - 서원2리 - 영인면사무소 - 아산3리 - 신운리 - 인주파출소 - 인주초교 - 밀두1리 - 문방삼거리 - 삽교천시외버스터미널
(※ 8:00, 16:40분 버스는 희안마을 출발, 나머지 2대는 신정호관광지 출발)

3.2. 601번[편집]




파일:P7296311.jpg파일:아산601.jpg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득산동(득산동)종점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운정리(삽교천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9:25기점행첫차10:35
막차18:45막차19:55
배차 간격1일 4회
노선득산동 - 득산2통마을입구 - 신정호저수지 - 방축주공아파트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서원2리 - 영인면사무소 - 아산3리 - 신운리 - 인주파출소 - 인주초교 - 밀두1리 - 문방삼거리 - 삽교천시외버스터미널


3.3. 610번[편집]


파일:아산_610번.jpg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10번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방축동(신정호관광지)종점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금성리(금성리마을회관)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25
막차21:50막차19:15
배차 간격1일 10.5회 (※금성리행 11회 신정호행 10회)
노선신정호관광지 - 방축주공아파트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서원2리 - 영인면사무소 - 아산3리 - 신운리 - 인주파출소 - 인주초교 - 밀두1리 - 인주공단 - 문방삼거리 - 대음1리.나룻말 - 현대차사원아파트 - 금성리마을회관





3.4. 614번[편집]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14번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방축동(신정호관광지)종점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금성리(금성리마을회관)
종점행첫차07:05기점행첫차08:35
막차19:20막차20:45
배차 간격1일 4회
노선신정호관광지 - 두진매 - 기산동 - 창암2리 - 점량동 - 신정호저수지 - 방축주공아파트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서원2리 - 영인면사무소 - 아산3리 - 신운리 - 인주파출소 - 인주초교 - 밀두1리 - 인주공단 → 인주농협 → 인주중 → 금성초교 → 금성리마을회관 → 현대차사원아파트 → 대음1리.나룻말 → 문방삼거리 → 인주공단 → 이후 역순

2021년 5월 이후로 613번과 통합되면서 하루 1회에서 하루 4회로 변경되었다.

3.5. 615번[편집]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15번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아산2리)종점충청남도 아산시 용화동(아산시평생학습관)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
막차06:40막차-
배차 간격1일 1회
노선아산2리 → 영인면사무소 → 서원2리 → 염치농협 → 석정4리 → 석정2리 → 온양민속박물관 → 아산소방서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고오거리 → 온양온천역 → 굴다리 → 아산시평생학습관


3.6. 620·622번[편집]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20번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온양온천역)종점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걸매리(걸매사거리)
종점행첫차08:30기점행첫차09:30
막차17:30막차18:30
배차 간격1일 4회
노선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중방리마을회관 - 강청리 - 도흥1리입구 - 도흥1리회관 - 도흥1리입구 - 미진아파트 - 금성초교 - 문방3리입구 - 문방3리마을회관 - 문방3리입구 - 인주중 - 인주농협 - 걸매사거리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22번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온양온천역)종점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걸매리(걸매리종점)
종점행첫차07:20기점행첫차06:50
막차21:30막차20:25
배차 간격1일 6회
노선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중방리마을회관 - 강청리 - 도흥1리입구 - 미진아파트 - 금성초교 - 문방3리입구 - 인주중 - 인주농협 - 걸매사거리 - 걸매리종점


3.7. 621번[편집]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21번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온양온천역)종점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불당골)
종점행첫차06:30기점행첫차07:20
막차20:30막차19:25
배차 간격1일 5.5회 (※ 냉정리행 6회 온양행 5회)
노선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중방리마을회관 - 강청리 - 도흥1리입구 - 미진아파트 - 금성초교 - 문방3리입구 - 인주중 - 인주농협 - 냉정저수지 - 불당골


3.8. 650번[편집]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50번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용화동(아산시평생학습관)종점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쌍죽리(쌍죽리종점)
종점행첫차09:00기점행첫차07:20
막차19:00막차19:30
배차 간격1일 5.5회 (※ 쌍죽리행 5회, 평생학습관행 6회)
노선아산시평생학습관 - 굴다리 - 온양온천역 - 아고오거리 -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소방서 - 온양민속박물관 → 석정2리 → 석정4리 → 염치농협 →/← 한남프레시앙아파트 ← 석정1리마을회관 ← 곡교2리 ← 동정리 ← 곡교2리 ← 염성1리 ←) - 염치읍사무소 - 쌍죽리입구 - 쌍죽리마을회관 - 쌍죽리종점


3.9. 660번[편집]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 간선버스 660번
기점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현충사)종점충청남도 아산시 모종동(아산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6:30기점행첫차-
막차07:25막차-
배차 간격1일 3회
노선현충사 → 신일아파트 → 송곡2리마을길 → 송곡2리 → 충남경제진흥원 → 온양민속박물관 → 아산소방서 → 아산시외버스터미널
2018년 2월 1일 개편으로 900, 910번이 현충사에서 터미널로 단축되자 이 노선이 현충사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아침 3회 운행하는 노선이다. (6:30, 7:00, 7:25)
이 노선은 현충사에서 터미널방향으로만 운행하며 터미널에서 현충사로 갈려면 아산 버스 970, 971을 이용하자

4.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23:53:35에 나무위키 아산 버스 600번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