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제1연방공화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과달루페 빅토리아비센테 게레로호세 마리아 보카네그라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메호르 무스키스마누엘 고메스 페드라사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산타 안나
제9대
미겔 바라간
중앙집권공화국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
호세 후스토 코로니콜라스 브라보프란시스코 에체베리아발렌틴 카날리소
제14대제15대
호세 호아킨 데 에레라마리아노 파레데스
제2연방공화국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마누엘 데 라 페냐마리아노 아리스타
제20대제21대제22대제23대
후안 바우티스타 세바요스마누엘 마리아 롬바르디니마르틴 카레라로물로 디아스 데 라 베가
제24대제25대제26대제27대
후안 알바레스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베니토 후아레스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
제28대제29대제30대
마누엘 로블레스 페수엘라미겔 미라몬호세 이그나시오 파본
합중국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
세바스티안 데 테하다호세 마리아 이글레시아스포르피리오 디아스후안 네포무세노 멘데스
제35대제36대제37대제38대
마누엘 곤살레스 플로레스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프란시스코 마데로페드로 라스쿠라인
제39대제40대제41대제42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프란시스코 카르바할에우랄리오 구티에레스로케 곤살레스 가르사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프란시스코 라고스 차사로베누스티아노 카란사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알바로 오브레곤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에밀리오 포르테스 힐파스쿠알 오르티스 루비오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제51대제52대제53대제54대
라사로 카르데나스마누엘 아빌라 카마초미겔 알레만 발데스아돌포 루이스 코르티네스
제55대제56대제57대제58대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루이스 에체베리아호세 로페스 포르티요
제59대제60대제61대제62대
미겔 데 라 마드리드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에르네스토 세디요비센테 폭스
제63대제64대제65대
펠리페 칼데론엔리케 페냐 니에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아즈텍 · 제1제국 · 제2제국



멕시코 제45대 대통령
펠리페 아돌포 데라우에르타 마르코르[1]
Felipe Adolfo de la Huerta Marcor
파일:Adolfo_de_la_Huerta_-_Archivo_Hist_rico_del_Estado_de_Sonora__1_.jpg
출생1881년 5월 26일
멕시코 소노라 주 과이마스
사망1955년 7월 9일 (향년 74세)
멕시코 멕시코시티
재임 기간제45대 대통령
1920년 6월 1일 ~ 1920년 11월 30일
직업정치인
국적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정당자유입헌당
경력뉴욕시 멕시코 총영사(1918)
소노라 주지사(1919 - 1923)
제45대 멕시코 대통령 (1920)
재무장관(1920 - 1923)

1. 개요
2. 생애
3. 아구아 프리에타 혁명
4. 대통령 재임기
5. 갈등과 반란
6. 말년



1. 개요[편집]


멕시코의 45대 대통령. 사실상 임시 대통령이다.

2. 생애[편집]


원래 음악을 공부했지만 생계를 위해 회계사가 되었다. 그러나 1908년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재출마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가 직업을 잃었다.

1911년 소노라 주의원 자리를 놓고 뒷날 가장 큰 경쟁자가 되는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와 맞붙어 승리했다. 머지않아 1913년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쿠데타를 일으켜 프란시스코 마데로 정부를 전복시키자, 카예스와 함께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를 수장으로 한 입헌군에 가담했다.

이후 카란사 정부 하에서 뉴욕시 주재 멕시코 총영사, 상원의원, 소노라 주지사를 지냈다.

1920년 소노라 주지사를 역임하던 중 카란사 정부와 소노라 강 수역 통제를 놓고 갈등을 벌인다. 또한 카란사는 알바로 오브레곤과 갈등이 생기자 오브레곤을 배제하고 외교관 출신인 이그나시오 보니야스를 후계자로 지명한다.

3. 아구아 프리에타 혁명[편집]


오브레곤과 멀어진 카란사는 오브레곤을 체포하도록 한다. 하지만 오브레곤은 소노라에서 데 라 우에르타, 카예스와 손잡고 카란사 정부에 반란을 일으킨다. 이 사건이 아구아 프리에타 혁명이다.

이 반란에 멕시코군의 4분에 3이 가담하면서 카란사 정부는 붕괴 직전에 놓였고, 카란사는 항복도 협상도 하지 않고 항구도시 베라크루스로 도주했다. 하지만 동행하던 부하의 배신으로 혁명군에게 피살당했다.

이때 데 라 우에르타는 의회에서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소노라 주지사직을 겸임한 상태에서 약 6개월간 재임했다.

4. 대통령 재임기[편집]


짧은 임기 동안 오브레곤파에게 있어서 눈엣가시였던 판초 비야에게 대농장을 주고 은퇴시켰다. 그리고 1920년 대선에서 오브레곤이 승리하자 정권을 이양하고 퇴임했다.

5. 갈등과 반란[편집]


이후 데 라 우에르타는 카예스와 함께 오브레곤의 후계자 자리를 두고 경쟁했다. 결국 오브레곤이 카예스의 손을 들어주자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오브레곤 정부의 교회 재산 몰수 정책에 반감을 가지던 가톨릭 교회와 일부 육군 장교들에게 지지를 얻었지만, 미국 정부와 대다수 국민들에게 지지받지 못했고 결국 진압당했다.

데 라 우에르타를 따르던 소령보다 높은 계급은 전부 처형당했고, 데 라 우에르타는 로스엔젤레스로 망명하여 할리우드에서 성악 교실을 열어 생계를 이어나갔다.

6. 말년[편집]


1935년 라사로 카르데나스 대통령의 대사면을 통해 멕시코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후 1955년에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5:00:26에 나무위키 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상 로망스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