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겔 알레만 발데스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제1연방공화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과달루페 빅토리아비센테 게레로호세 마리아 보카네그라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메호르 무스키스마누엘 고메스 페드라사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산타 안나
제9대
미겔 바라간
중앙집권공화국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
호세 후스토 코로니콜라스 브라보프란시스코 에체베리아발렌틴 카날리소
제14대제15대
호세 호아킨 데 에레라마리아노 파레데스
제2연방공화국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마누엘 데 라 페냐마리아노 아리스타
제20대제21대제22대제23대
후안 바우티스타 세바요스마누엘 마리아 롬바르디니마르틴 카레라로물로 디아스 데 라 베가
제24대제25대제26대제27대
후안 알바레스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베니토 후아레스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
제28대제29대제30대
마누엘 로블레스 페수엘라미겔 미라몬호세 이그나시오 파본
합중국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
세바스티안 데 테하다호세 마리아 이글레시아스포르피리오 디아스후안 네포무세노 멘데스
제35대제36대제37대제38대
마누엘 곤살레스 플로레스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프란시스코 마데로페드로 라스쿠라인
제39대제40대제41대제42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프란시스코 카르바할에우랄리오 구티에레스로케 곤살레스 가르사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프란시스코 라고스 차사로베누스티아노 카란사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알바로 오브레곤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에밀리오 포르테스 힐파스쿠알 오르티스 루비오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제51대제52대제53대제54대
라사로 카르데나스마누엘 아빌라 카마초미겔 알레만 발데스아돌포 루이스 코르티네스
제55대제56대제57대제58대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루이스 에체베리아호세 로페스 포르티요
제59대제60대제61대제62대
미겔 데 라 마드리드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에르네스토 세디요비센테 폭스
제63대제64대제65대
펠리페 칼데론엔리케 페냐 니에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아즈텍 · 제1제국 · 제2제국



멕시코 제53대 대통령
미겔 알레만 발데스
Miguel Alemán Valdés
파일:알레만 발데스.jpg
출생1900년 9월 29일
멕시코 베라크루스 주 사율라 데 알레만
사망1983년 5월 14일 (향년 82세)
멕시코 멕시코시티
학력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재임 기간제53대 대통령
1946년 12월 1일 ~ 1952년 11월 30일
직업변호사, 정치인
국적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정당
경력베라크루스 주지사
내무부 장관
제53대 멕시코 대통령 (1946 - 1952)
서명파일:미겔 알레만 발데스 서명.svg

1. 개요
2. 생애
2.1. 정계 입문 전
3. 정치 활동
4. 여담



1. 개요[편집]


멕시코의 제53대 대통령.

2. 생애[편집]



2.1. 정계 입문 전[편집]


멕시코 혁명에 참여하지 않았던 첫 대통령이다.

유년기에 자주 이사를 다녔다. 그러다 영국 소유의 멕시코 석유 회사에서 일하게 되면서 영어를 배웠다. 군인은 하지 말고 안정된 직장을 찾으라는 아버지의 생전 조언에 따라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법대에 진학하여 직업병 및 근로자의 재해에 관한 논문으로 1928년 법학 학위를 받았다.

규폐증으로 고통받는 광부들을 변호하는 것으로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또한 멕시코 혁명 과정에서 희생된 철도 노동자와 일하다가 다친 노동자들이 보상을 받도록 하는 판결을 이끌었다. 이 승소들을 통해 멕시코의 노동 조합에서 상당한 호감을 얻었다. 이는 훗날 대통령 선거에서 노동자 연합의 지지를 받는 계기가 된다.

3. 정치 활동[편집]


농림축산부 장관의 법률 고문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그 후 여러 직책을 거치다가 1934년 고향 베라크루스 주에서 상원의원으로 당선돼 2년간 재직했다. 1936년 베라크루스 주지사 당선자가 암살되자 1936년부터 39년까지 주지사를 역임했다. 1940년에는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의 선거운동을 돕고 내무장관에 임명되었다.

이후 1946년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혁명 이후 첫 비(非)군인 출신 대통령이었다.

발데스 정부는 수입대체산업화를 추진했다. 수입대체산업화란 수입하던 상품을 국내에서 직접 생산하여 해외의존도를 줄이는 산업구조를 말한다. 이는 이후 1970년대까지 멕시코의 경제 정책을 담당했다. 이 정책으로 멕시코는 급속한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이루게 되었다.

또한 군사적 지출을 줄이고 인프라 구축과 공공 개발에 많은 투자를 했다. 특히 1947년 오아하카 주에서 미겔 알레만 댐 공사를 시작했다. 이 댐은 1955년에 완성된다. 또한 철도와 고속도로 등 교통망을 확충했다. 그리고 기존의 푸에르토 아에로 센트럴(Puerto Aéreo Central)을 확장하여 멕시코시티 국제공항의 제1터미널을 세웠다.

1952년에는 바하 칼리포르니아를 멕시코의 주로 승격시켰다. 당시에는 칼리포르니아 반도 전체를 아울렀지만 1971년 반도 남부 지역이 바하 칼리포르니아 수르 주로 떨어져 나갔다.

그 외에도 아카풀코를 국제 관광지로 개발하기도 했다.

이렇게 경제 성장의 스타트를 끊었지만, 정부에는 부패가 만연해 있었고, 발전의 혜택은 소수에게만 돌아갔다.

1952년 퇴임한 후에도 영향을 계속 끼쳤다. 1961년 국가 관광 위원회의 초대 회장이 되었고,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의 개최권을 따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3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4. 여담[편집]


  • 발데스의 재임 기간 동안 한반도에서는 남북이 분단되었고, 6.25 전쟁이 터져 국토가 초토화되었다. 멕시코는 지원군을 파병하지 않았지만, 1943년 발효되어 1952년까지 유지되었던 '멕시코와 미국 간 상대국 거주 자국민 병역에 관한 협정'에 따라 미국에 거주하던 멕시코 국적자들 중 약 12만명이 미군 소속으로 참전했다. 영국과 당시 영연방 국가들[1]의 참전자 수를 합친 것보다도 많다.

  • 알레만 발데스 정부도 공식적으로 CRIK(한국민간구제단)을 통해 약 37만 8천 달러 가량의 식량을 지원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7:42:03에 나무위키 미겔 알레만 발데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