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구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신구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전문대학
[ 펼치기 · 접기 ]

파일:동양미래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미래대학교 · 파일:명지전문대학 엠블럼.svg 명지전문대학 ·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배화여자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서울여자간호대학교 UI.svg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파일:서일대학교 UI.svg 서일대학교 ·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숭의여자대학교 · 파일:인덕대학교 엠블렘.svg 인덕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 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 파일:김포대학교 UI.svg 김포대학교 · 파일:농협대학교 엠블럼.svg 농협대학교 · 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 · 파일:동남보건대학교 UI.svg 동남보건대학교 ·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 동서울대학교 · 파일:동아예대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 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 · 파일:서울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예술대학교 · 파일:서정대학교 심볼.svg 서정대학교 · 파일:수원과학대학교 UI.svg 수원과학대학교 ·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 파일:신구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 파일:연성대학교 엠블럼.svg 연성대학교 ·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 파일:오산대학교 UI.svg 오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웅지세무대학교 엠블럼.svg 웅지세무대학교 · 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 ·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 파일:청강문화산업대학교 UI.sv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인하공업전문대학 UI.svg 인하공업전문대학 · 파일:인천재능대학교 엠블럼.svg 인천재능대학교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 강릉영동대학교 · 파일:강원관광대학교 UI.svg 강원관광대학교 · 파일:강원도립대학교 UI.svg 강원도립대학교 · 파일:세경대학교 UI.svg 세경대학교 · 파일:송곡대학교 UI.svg 송곡대학교 · 파일:송호대학교 UI.svg 송호대학교 · 파일:한국골프대학교 UI.svg 한국골프대학교 · 파일:한림성심대학교 UI.svg 한림성심대학교
파일:한국영상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영상대학교
파일:대덕대학교 UI.svg 대덕대학교 ·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대전보건대학교 심볼.svg 대전보건대학교 · 파일:우송정보대학 심볼.svg 우송정보대학
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 파일:대구공업대학교 UI.svg 대구공업대학교 ·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 파일:수성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 파일:영남이공대학교 UI.svg 영남이공대학교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 광주보건대학교 · 파일:기독간호대학교 심볼.svg 기독간호대학교 · 파일:동강대학교 교표.svg 동강대학교 · 파일:서영대학교 교표.svg 서영대학교 · 파일:조선간호대학교 UI.svg 조선간호대학교 ·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대동대학교 UI.svg 대동대학교 · 파일:동의과학대학교 UI.svg 동의과학대학교 · 파일:부산경상대학교 UI.svg 부산경상대학교 · 파일:부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부산보건대학교 심볼.svg 부산보건대학교 ·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부산여자대학교 · 파일:부산예술대학교 UI.svg 부산예술대학교
파일:울산과학대학교_UI.svg 울산과학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파일:강동대학교 UI.svg 강동대학교 · 파일:대원대학교 UI.svg 대원대학교 · 파일:충북도립대학교 UI.svg 충북도립대학교 · 파일:충북보건과학대학교 UI.svg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파일:충청대학교 UI.svg 충청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 파일:아주자동차대학 엠블럼.svg 아주자동차대학교 · 파일:연암대학교 엠블럼.svg 연암대학교 · 파일:충남도립대학교 심볼.svg 충남도립대학교 · 파일:혜전대학교 UI.svg 혜전대학교
파일:군산간호대학교 UI.svg 군산간호대학교 · 파일:군장대학교 UI.svg 군장대학교 · 파일:백제예술대학교 UI.svg 백제예술대학교 · 파일:원광보건대학교 UI.svg 원광보건대학교 · 파일:전북과학대학교 UI.svg 전북과학대학교 ·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고구려대학교 엠블럼.svg 고구려대학교 · 파일:광양보건대학교 로고.svg 광양보건대학교 · 파일:동아보건대학교 심볼.svg 동아보건대학교 · 파일:목포과학대학교 UI.svg 목포과학대학교 · 파일:순천제일대학교 UI.svg 순천제일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 파일:전남도립대학교 UI.svg 전남도립대학교 · 파일:청암대학교 심볼.svg 청암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파일:가톨릭상지대학교 UI.svg 가톨릭상지대학교 ·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 파일:경북도립대학교 UI.svg 경북도립대학교 · 파일:경북보건대학교 심볼.svg 경북보건대학교 ·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성운대학교 UI.svg 성운대학교 ·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 파일:포항대학교 UI.svg 포항대학교 ·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파일:거제대학교 UI.svg 거제대학교 · 파일:경남도립거창대학 UI.svg 경남도립거창대학 · 파일:경남도립남해대학 UI.svg 경남도립남해대학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연암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연암공과대학교 · 파일:진주보건대학교 UI.svg 진주보건대학교 · 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 창원문성대학교 · 파일:한국승강기대학교 심볼.svg 한국승강기대학교
파일:제주관광대학교 심볼.svg 제주관광대학교 · 파일:제주한라대학교 UI.svg 제주한라대학교





파일:성남시 CI_White.svg 성남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신구대학교
新丘大學校
Shingu College
파일:신구대학교 로고.svg
건학이념성실, 근면, 정직
상징동물백마
교목잣나무
교화철쭉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2/3년제 사립 전문대학[1]
개교1973년 10월 20일
설립자이종익
총장이숭겸
재단 및 법인신구학원
주소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 377
재학생7,587명(2022년 4월 1일)
교직원교원510명(2019년 4월 1일)
직원63명(2019년 4월 1일)
대학기본역량진단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홈페이지파일:신구대학교 UI.svg
본교


1. 개요
2. 계열 및 학과
2.1. 산업디자인학부
2.2. 생명환경학부
2.3. 정보미디어학부
2.4. 비즈니스실무학부
2.5. 보건복지학부
2.6. 공간시스템학부
2.7. 자율전공학과
4. 부속 및 부설기관
5. 백마체전
6. 학교 주변
7. 주변 교통편
7.1. 지하철
7.2. 버스
8. 출신 인물
9. 여담




1. 개요[편집]


신구대학교 공식 홍보영상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위치한 전문대학이다.

신구대학교는 1973년 7월 학교법인 신구학원이 설립한 신구산업전문학교가 전신이다. 1974년 3월 조경원예과를 최초로 만들고,물리치료과, 방사선과, 치기공과를 증설하고, 교명을 신구전문학교로 바꾸었다.1975년 3월 조경원예과가 조경과와 원예과로 분리되었다. 1979년 1월 신구실업전문대학으로 개편하고, 1985년 3월 신구전문대학을 거쳐 1998년 5월 신구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2011년 12월 지금의 신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보건 계열과 수목원을 가지고 있는 조경학과 계열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2. 계열 및 학과[편집]


6개의 학부가 있다. 별도의 표기가 없으면 2년제. 전공심화과정 학사 학위 취득이 가능한 과도 있다. 오랜 전통에 따라 전국 최초 물리치료 학과와 수도권 최초 방사선학과 필두로 보건계열과 유아교육과 및 환경조경과가 강세이고 최근엔 항공서비스과항공사에 취업하는 졸업생을 내기 시작하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분당신도시, 성남 쪽의 유치원에선 신구대 유아교육과를 인정해 주고 있고 유치원장 중에서 이 학교 출신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하는 전국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을 보면 유아교육과가 가끔 전국 1위를 차지하기도 하고 상위권에 주로 포진하고 있다. 또한 성남시 대부분의 유초중고는 신구대학교 식물원을 방문하는 게 연례행사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를 조성하는 관련학과인 환경조경과는 수도권을 넘어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입학을 할만큼 많이 알려져 있다.

2.1. 산업디자인학부[편집]


  • 영상디자인과(3년제)
  • 시각디자인과(3년제)
  • 패션디자인과(3년제)
  • e-스포츠과(2023년 신설)

2.2. 생명환경학부[편집]


  • 환경조경과(3년제)
  • 가드닝전공(3년제)
  • 플로리스트전공
  • 정원문화산업전공(야간)(2023년 신설)
  • 애완동물과
  • 바이오생명과학과(3년제)
  • 유아교육과(3년제)
  • 식품영양학과(3년제)
  • 호텔외식베이커리과

2.3. 정보미디어학부[편집]


  • 사진영상미디어과(3년제)
  • 그래픽커뮤니케이션과
  • IT소프트웨어과(3년제)
  • AI소프트웨어과(3년제)
  • 정보통신보안과
  • 미디어콘텐츠과(3년제)
  • VR게임콘텐츠과(3년제)


2.4. 비즈니스실무학부[편집]




2.5. 보건복지학부[편집]


  • 물리치료학과(3년제)
  • 방사선학과(3년제)
  • 치기공학과(3년제)
  • 치위생학과(3년제)
  • 뷰티케어과
  • 보건의료행정학과(3년제)
  • 스포츠재활과(2023년 신설)


2.6. 공간시스템학부[편집]


  • 스마트건설정보과
  • 지적공간정보학과
  • 실내건축과(3년제)
  • 건축학과(3년제)

2.7. 자율전공학과[편집]




3. 학사학위과정[편집]


  • 토목과
  • 패션디자인학과
  • 환경조경학과
  • 원예디자인학과
  • 바이오생명과학과
  • 유아교육학과
  • 식품영양학과
  • 사진영상미디어학과
  • IT미디어학과
  • 미디어콘텐츠학과
  • 호텔관광학과
  • 항공서비스학과
  • 물리치료학과
  • 방사선학과
  • 치기공학과
  • 치위생학과
  • 사회복지학과
  • 보육복지학과
  • 공간디자인학과
  • 그래픽커뮤니케이션학과
  • 지적공간정보학과



4. 부속 및 부설기관[편집]


부속 및 부설기관을 보면 전문대 답지않게 4년제 못지 않다. 부속유치원, 학술정보원, 우촌박물관, 평생교육원, 신문방송국, 글로벌센터, 부속치과의원, 신구대학교식물원, 창업보육센터 등이 있다. 특히 박물관과 부속치과, 신구대학교식물원 등이 유명하다. 특히 전문대로서는 드물게 우촌학사라는 신축 기숙사가 있고 그 외 별도로 남,여 구분된 기숙사가 있다.

캠퍼스 풍경은 언덕이 등산 수준으로 매우 심하다는 것만 빼면[2] 부지가 작은 편에도 있는건 다 있다는 평가. 특히 기숙사가 있다는 점이 멀리 타 지방에 사는 학생들의 선택에 영향을 주고 있다.


5. 백마체전[편집]


신구대학교는 매년 5월마다 백마체전이라는 체육대회를 한다. 그런데 이 체육대회 참가가 학과마다 차이가 있으나 반강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참가하지 않을 경우 결석 처리와 같은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다고 한다. 그 외 10월에는 축제인 백마대동제가 있고 그 밖에 대학EXPO로는 최초로 개최한 진로탐색 기회제공 목적의 신구 EXPO가 있는데 보통 백마대동제와 신구 EXPO가 같은 기간에 열린다.


6. 학교 주변[편집]


대학 주변이라 음식점, 카페, 호프집 등이 많다. 학교에서 제일 가까운 지하철역은 8호선 단대오거리역으로, 약간의 경사이므로 걸어서도 15분 정도면 학교까지 오갈 수 있다. 버스도 많이 다니고, 학교 셔틀버스도 있으므로,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셔틀버스는 정문과 단대오거리역을 오가는 노선이 있고 아침(등교)시간에만 운영하는 남한산성입구역에서 후문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후문에서는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이 더 가깝다고.. 등산해야 하는 것은 덤
(2022년 8월 기준 남한산성입구역 노선은 폐선되었다)
2023년 3월 기준 남한산성입구역 노선이 다시 운행되고 있다.

인근에는 하원초등학교, 숭신여자중학교, 숭신여자고등학교 등의 학교들이 있다. 조금 더 떨어진 곳에는 대원중학교와 금광중학교가 있다.


7. 주변 교통편[편집]



7.1. 지하철[편집]



두 역 모두 도보로 20~25분 걸리니 시내버스나 학교 셔틀버스를[2]타는 것이 낫다.

분당에서 수인분당선을 타고 올 때 환승하기 귀찮다면 모란역에 내려서 시내버스로 환승하면 된다. 참고로 분당에서 신구대까지는 거리가 가까운 편은 아니기 때문에 분당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지하철 이용이 권장된다.

7.2. 버스[편집]



광역버스나 서울 시내버스(4425, 303, 452번이 해당)를 타고 온다면 단대오거리역에 내려서 시내버스로 환승하거나 학교 셔틀버스를 타면 된다.

8. 출신 인물[편집]


  • 김보성: 토목학과 졸업
  • 이나영: 경영학과 졸업
  • 유현서: 항공서비스학과 재학
  • 류시원: 산업디자인과 졸업[3]
  • 문지은: 의상디자인과 졸업
  • 민준기: 패션디자인과 중퇴
  • 김도연: 식품영양과 졸업
  • 김윤경[4]: 사진과 졸업
  • MC신건: 시각디자인과 졸업
  • 사진작가 최원석
  • 이제규[5]
  • 스포츠트레이너 최주영: 물리치료학과 졸업.[6]
  • 신동훈: 사진영상학과 중퇴.[7]
  • 신성은
  • 최승준: 강원도 정선군수
  • 안윤상: 지적정보학과 졸업
  • 가랏 혜수몬 : 미디어콘텐츠과
  • 강철원(사육사) : 자원동물학

9. 여담[편집]


  • 기존 로고는 사람 안에 '新丘'가 아니라 '大學'이라 써 있었다. 1980년대 신구전문대학 시절부터 써 오다가#, 신구대학에서 신구대학교로 교명을 바꾸던 2011년경 무렵에 로고도 변경되었다.

  • 로고가 거열형을 연상시킨다고 한다.#

  • 학교 재단인 신구학원은 출판사 신구문화사를 운영 중이다.



[1] 학사학위과정 개설[2] 운동삼아 다닐만 하다.[2] 단대오거리역과 남한산성입구역 노선만 있으며 장거리 통학버스는 없다.[3] 1998년에 이곳을 졸업한 후, 1999년에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 학사편입하여 졸업한 것이다.[4] 옥중화, 왕가네 식구들 등에 나온 배우다.[5] 메타코미디클럽 소속 스탠드업 코미디언[6] 1994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대한축구협회 의무팀 팀장으로 있었다. 그 후 자신의 이름을 내건 스포츠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7] 쿠쿠크루의 前(전)멤버이고, 현재 딕헌터라는 이름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