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전신계중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대전신계중학교
Daejeon Singye Middle School

개교2006년
유형일반계 중학교
성별남녀공학
형태공립
교장고영우
교감남영임
교훈나를 알고 봉사하며 꿈을 키우자
교화개나리
교목느티나무
학생 수621명[1][기준]
교직원 수68명[기준]
관할 교육청대전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주소대전광역시 서구 복수동로 40-30 (복수동)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화
3.3. 교목
3.4. 교훈
3.5. 교가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6.2. 학교 일과
7. 운동부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9. 사건 사고
10. 출신 인물
11. 기타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전광역시 서구 복수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다.


2. 학교 연혁[편집]


2005. 10. 27.대전신계중학교 설립인가(31학급)
2006. 03. 02.대전신계중학교 개교(2학년 76명, 3학년 17명)
2006. 03. 02.초대 임기수 교장 취임
2006. 03. 03.입학식(남 64, 여60 계 124명)
2007. 02. 08.제1회 졸업식(1학급 24명)
2007. 03. 02.입학식(남 94, 여 98 계 192명)
2008. 02. 05.제2회 졸업식(3학급 91명)
2008. 03. 03.입학식(남 94, 여 98 계 192명)
2009. 02. 10.제3회 졸업식(4학급 124명)
2009. 03. 02.입학식(남 114, 여 141 계 255명)
2010. 02. 10.제4회 졸업식(4학급 139명)
2010. 03. 02.입학식(남 129, 여 142 계 271명)
2011. 02. 10.제5회 졸업식(5학급 191명)
2011. 03. 02.입학식(남 114, 여 153 계 267명)
2012. 02. 09.제6회 졸업식(7학급 254명)
2012. 03. 02.입학식(남 128, 여 161 계 289명)
2013. 02. 09.제7회 졸업식(7학급 267명)
2013. 03. 04.입학식(남 153, 여 156 계 309명)
2013. 09. 01.제5대 안종권 교장 취임
2014. 02. 11.제8회 졸업식(7학급, 276명)
2014. 03. 04.입학식(남 123, 여 149 계 272명)
2015. 02. 12.제9회 졸업식(8학급 290명)
2015. 03. 04.입학식(남 115, 여 91 계 206명)
2016. 02. 05.제10회 졸업식(8학급 298명)
2016. 03. 02.입학식(남 70명, 여 141 계 211명)
2017. 02. 08.제11회 졸업식(8학급 255명)
2017. 03. 02.입학식(남 96, 여 123 계 219명)
2018. 02. 08.제12회 졸업식(8학급 191명)
2018. 03. 02.입학식(남 75, 여 77 계 152명)
2018. 09. 01.제6대 신현자 교장 취임
2019. 02. 08.제13회 졸업식(7학급 191명)
2019. 03. 04.입학식(남 66, 여 106 계 172명)
2020. 01. 31.제14회 졸업식(7학급, 212명)
2020. 03. 02.입학식(남 115, 여 125 계 240명)


3. 교훈 및 상징[편집]


출처: 대전신계중학교 홈페이지


3.1. 교표[편집]


파일:IMG_113606.gif

3.2. 교화[편집]


개나리

3.3. 교목[편집]


느티나무

3.4. 교훈[편집]


나를 알고 봉사하며 꿈을 펼치자.

3.5. 교가[편집]


파일:신계중학교 교가.png


4. 학교 특징[편집]


2013년부터 선진형 교과교실제를 실시했다. 교과교실제는 2020학년도부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이동수업을 할 수 없어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2014년부터 자유학기제를 실시했다. 특이하게도 시범실시(~2015학년도) 당시 자유학기제는 1학년이 아닌 2학년 대상이었다.

2019년까지는 전국에 몇 없는 휴대폰을 가져오기만 해도 벌점을 받고 압수당하는 학교였다.[2] 2020년 그 규정이 없어지고 조례시간에 교사가 휴대폰을 걷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학교 교복이 괜찮고 심플하다. #


5. 학교 시설[편집]


학교가 디귿자 모양으로 생겼지만 2층에는 앞동과 후동을 잇는 다리(?)가 있어 미음자로 생겼다. 2층에는 배드민턴 등을 칠 수 있는 소운동장이 있다.

대강당과 소강당으로 두 개의 강당이 있지만 옆에 있는 신계초등학교와 강당을 공유하기 때문에 사실상 강당이 한 개인 셈이다. 초등학교와는 격일로 강당을 사용한다.

소운동장 옆 2층 후동 2개의 교실은 2015년 개축하였으며, 개축 이전까지 해당 공간은 안 쓰는 교탁, 책상 등을 모아놓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교실 개축 이전까지는 밖에서 학교 건물에 들어가지 않고 소운동장으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했다.[3]

교과교실제 실시로 인해 홈베이스가 3, 4, 5층에 하나씩 존재한다. 2019년까지는 교과교실제 실시로 복도와 홈베이스에 사물함이 있었고 문제 상 도난사고가 빈번한 관계로 CCTV가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홈베이스 중심에는 사물함을 벽처럼 둘러 남녀 탈의실을 만들었으며, 천장에는 에어컨이 설치되었다. 요즘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교과교실제 폐지로 쓰이지 않고 여느 학교처럼 각 학급 뒤쪽에 사물함이 있다.

바로 옆 신계초등학교와 매우 비슷한 구조이나, 신계초등학교의 운동장이 1층 더 낮은 관계로 양 건물 간 층수 차이가 있다. [4]


6. 학교 생활[편집]


방송부에서 사연을 종이에 적어서 사연상자에 넣으면 읽어주는 신계 라디오를 했었다. 현재는 점심시간에 노래를 틀어주는 방식으로만 하고 있다.


6.1. 주요 행사[편집]


입학식 : 3월 초
중간고사 : 4월 말~5월 초 (이틀)
체육대회 : 5월 중순
기말고사 : 7월 중순 (사흘)
여름방학 : 7월 말~8월 말
중간고사 : 10월 초 (이틀)[자유학기제]
수련회/수학여행 : 10월 중순
기말고사 : 11월 중순[3학년] 12월 중순[2학년][자유학기제]
겨울방학 : 12월 말~1월 말
봄방학 : 2월 중순~다음 학년도의 입학식 전까지

2022학년도 겨울방학은 봄방학과 합쳐 1월 중순에 시행되었다.


6.2. 학교 일과[편집]




7. 운동부[편집]


역도부와 배구부가 존재한다.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8.1. 버스[편집]


신계초등학교314, 316, 312
초록마을1단지301, 314, 316, 312

신계초등학교 맞은편에서 승하차 시, 학교 진입로가 초록마을2, 3단지 방면으로만 난 관계로 행정복지센터 앞의 초록마을3단지 정류장에서 승하차하는 것이 더 가깝다.


9. 사건 사고[편집]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10. 출신 인물[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11. 기타[편집]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주로 위두랑을 이용한 과제 제출 및 쌍방향 온라인수업을 진행하였고, 줌으로 아침조회와 종례를 진행하였다.


12.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9:04:39에 나무위키 대전신계중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 294명 , 여 327명[기준] A B 2023년 3월 1일[2] A B 2015년 기준으로는 휴대폰을 걷었다가 종례 때 가져가는 방식이었으며, 각 학급별로 휴대폰 가방이 있었다.[3] A B 뒤편 분리수거장 옆 계단만 오르면 바로 소운동장이었다.[4] 신계중 4층에서 들어갈 수 있는 대강당이 신계초에서는 5층이다.[자유학기제] A B 1학년은 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