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 해운대-경주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부산광역시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부산(노포) ]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고속전산]↔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 성남
↔구리, 의정부↔ 광주↔ 순천, 여수↔ 전주
↔ 청주↔ 동대구↔ 논산↔ 당진
↔ 대전복합[운행중단]↔ 세종[운행중단]↔경주(고속)[폐지]
시외버스[시외전산]↔ 인천공항↔ 오산, 수원, 안산↔ 이천↔ 원주
↔ 횡성, 홍천, 춘천↔ 울진, 부구, 호산, 태백, 고한↔ 강릉, 속초↔ 울진, 삼척, 동해, 강릉, 속초, 간성, 거진
↔ 충주↔ 안동, 영주, 제천↔ 경주(시외), 포항↔ 구미, 상주, 점촌
↔ 영천↔ 마산↔ 마산남부↔ 진주
↔ 창원, 진해↔ 광양↔ 언양↔ 고현, 통영
↔ 7번국도 완행[폐지]↔ 울산[폐지]↔ 주왕산[폐지]

[고속전산]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운행중단] A B [폐지] A B C D [시외전산]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부산서부(사상) ]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고속전산]↔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광주,나주
↔여수↔ 청주↔ 당진
↔ 순천[운행중단]↔ 성남[운행중단]↔ 수원[운행중단]↔ 용인[운행중단]
시외버스 및 전환고속[시외전산]↔ 서울남부↔ 남원↔ 전주↔장계
↔ 목포, 진도↔ 경주, 포항↔ 현풍, 고령, 거창↔ 창녕, 대구서부
↔함안, 의령, 합천↔밀양(직행)↔밀양(완행)↔ 마산 / 창원
↔진주↔삼천포↔함양↔ 통영(직행)
↔ 남마산, 고성, 통영↔ 고현, 장승포↔ 용원↔진해(완행)
↔ 율하↔ 진영↔ 장유↔ 진교, 남해

[고속전산]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운행중단] A B C D [시외전산]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파일:해경포버스.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특징
4. 시간표
5. 운임표
6.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시외버스 해운대↔경주
기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종점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경주시외버스터미널)
경주행첫차07:20해운대행첫차08:10
막차21:20막차21:10
운수사명해운대고속, 금아여행, 아성고속, 천마고속운행횟수1일 15회
상세 노선1번: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로 ↔ (←우동3로←) → 양운로 → 장산로 ↔ 동해고속도로 ↔ 울주JC ↔ 함양울산고속도로 ↔ 서울주JC ↔ 경부고속도로 ↔ 경주IC ↔ 서라벌대로 ↔ 강변로경주시외버스터미널
2번: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로 ↔ 원동IC ↔ 번영로 ↔ 구서IC ↔ 경부고속도로 ↔ 경주IC ↔ 서라벌대로 ↔ 강변로경주시외버스터미널


2. 개요[편집]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을 잇는 노선으로, 해운대고속, 금아여행, 아성고속, 천마고속이 운행한다.


3. 특징[편집]


  • 원래 모두 일반이었으나, 2021년부터 전 시간대 우등차량이 운행한다.[1][2]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보다도 운행횟수가 적으며 소요시간도 오래 걸린다.[3]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에서는 포항행, 경주행이 따로 나뉘어져 있다. 이는 과거 도로망이 좋지 못했던 것의 흔적이다.포항선은 여타 부산-포항 계통이 경주-포항을 국도로 운행하기 때문에 요금이 비싸져 체감상 요금이 비싸지지 않게 느껴진다.

  • 시외버스 해운대-포항과 달리 이 노선은 부산동부발과의 요금 차이가 2600원으로 상당하다. 이는 부산동부발 포항행이 경주부터 포항까지 국도를 길게 타기 때문에 요금이 비싸지는데 경주까지만 가는 경우 부산동부발도 대부분 고속도로 구간이기 때문이다.

  • 대구광역시+구미시와 인구 차이가 어마어마하지만 동대구행과 운행횟수가 동일하다.[4]
  • 7시 부터 21시까지 해운대에서는 매시 20분, 경주에서는 매시 10분에 출발한다.

  • 동해고속도로의 정체가 심하면 BRT 타고 원동으로 가서 번영로 타고 구서IC에서 경부고속도로 타고 경주IC로 나가기도 한다.[5]

  • 과거에는 동해고속도로를 쭉 관통해 남경주IC에서 내려서 갔지만 현재는 함양울산고속도로를 이용해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한다. 남경주에서 경주 터미널까지는 거리가 꽤 되기도 하고, 수많은 화물차와 관광객, 감포방면수요, 출퇴근 수요 등으로 상습정체구역이라 소요시간이 늘어지기 때문이다.

  • 2023년 1월 6일 부터 15회로 원복되었으며 시외버스 해운대-포항의 평일 배차와 동일해지게 되었다. 한 때 경주행의 배차를 늘리는 방법으로 포항행과 통합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포항행의 소요시간 증가와 요금의 증가, 포항시민들의 반발로 인해 실현되지는 않았다.


4. 시간표[편집]


시외버스 해운대-경주 운행시간표
2023년 1월 6일 기준 및 출처 경주터미널 시간표 발췌
[ 펼치기 · 접기 ]

횟수해운대경주
107:2007:10
208:2008:10
309:2009:10
410:2010:10
511:2011:10
612:2012:10
713:2013:10
814:2014:10
915:2015:10
1016:2016:10
1117:2017:10
1218:2018:10
1319:2019:10
1420:2020:10
1521:2021:10



5. 운임표[편집]


  • 성인 10,500원
  • 중고생 8,400원
  • 아동 5,300원


6.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2:41:26에 나무위키 시외버스 해운대-경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요금은 우등할증된 가격으로 받는다.[2] 우등할증 순서는 해운대고속 - 금아여행 - 아성고속, 천마고속 순으로 시행되었다.[3] 부산동부 - 경주 50분 ~ 55분, 부산서부 - 경주 1시간, 해운대 - 경주 1시간 10분 정도가 소요된다.[4] 아무래도 경주를 찾는 관광객이 많다는 점과 부산에서 경주로 가는데 열악한 철도의 접근성이 원인인 듯 하다.[5] 포항선도 마찬가지다. 이는 주간에 시외버스 해운대-포항, 시외버스 포항-광양과 함께(포항행 한정, 부산동부 하차 승객이 없을시) 구서IC에서 고속도로를 타는 셋 뿐인 시외버스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