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모나 지올리

덤프버전 : (♥ 0)

시모나 지올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4201,#191919><rowcolor=#FFF> 1973년 ||<width=20%> 1977년 ||<width=20%> 1981년 ||<width=20%> 1985년 ||<width=20%> 1989년 ||
|| 조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시라이 다카코
파일:일본 국기.svg || 쑨진팡
파일:중국 국기.svg || 랑핑
파일:중국 국기.svg || 미레야 루이스
파일:쿠바 국기.svg ||
||<rowbgcolor=#ff4201,#191919><rowcolor=#FFF> 1991년 || 1995년 || 1999년 || 2003년 || 2007년 ||
|| 카렌 켐너
파일:미국 국기.svg || 미레야 루이스
파일:쿠바 국기.svg || 타이스마리 아궤로
파일:쿠바 국기.svg || 마우고자타 글린카
파일:폴란드 국기.svg || 시모나 지올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rowbgcolor=#ff4201,#191919><rowcolor=#FFF> 2011년 || 2015년 || 2019년 || 2023년 || 2027년 ||
|| 카롤리나 코스타그란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주팅
파일:중국 국기.svg || 주팅
파일:중국 국기.svg || || ||
||<-5><bgcolor=#ff4201> MVP · 기록상 ||
||<-5><bgcolor=#fff,#191919> 메이저대회 MVP | 올림픽 · 세계선수권 · 월드컵 · 월드그랑프리 · 네이션스리그 · 그랜드챔피언스컵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12D><width=25%> 2001-2002 ||<width=25%> 2002-2003 ||<width=25%> 2003-2004 ||<width=25%> 2004-2005 ||
||<rowbgcolor=#ffffff,#191919>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옐레나 고디나
테네리페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류보프 소콜로바
베르가모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 2005-2006 || 2006-2007 || 2007-2008 || 2008-2009 ||
||<rowbgcolor=#ffffff,#191919>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안젤리나 그륀
베르가모 / OS
파일:독일 국기.svg || 시모나 지올리
페루자 / MB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세레나 오르톨라니
베르가모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2009-2010 || 2010-2011 || 2011-2012 || 2012-2013 ||
||<rowbgcolor=#ffffff,#191919>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베르가모 / O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마우고자타 글린카
바키프방크 / OPP
파일:폴란드 국기.svg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바키프방크 / OPP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 2013-2014 || 2014-2015 || 2015-2016 || 2016-2017 ||
||<rowbgcolor=#ffffff,#191919> 예카테리나 가모바
디나모 카잔 / OPP
파일:러시아 국기.svg || 조던 라슨
엑자시바시 / OS
파일:미국 국기.svg ||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카살마조레 / O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주팅
바키프방크 / OS
파일:중국 국기.svg ||
|| 2017-2018 || 2018-2019 || 2019-2020 || 2020-2021 ||
||<rowbgcolor=#ffffff,#191919> 괴즈데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 O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파올라 에고누
노바라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공석[a] || 파올라 에고누
이모코 발리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2021-2022 || 2022-2023 || 2023-2024 || 2024-2025 ||
||<rowbgcolor=#ffffff,#191919> 가비 기마랑이스
바키프방크 / OS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올라 에고누
바키프방크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
||<-4><bgcolor=#fff,#191919>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대회 중단 ||
||<-4><bgcolor=#00012D> 역대 우승 구단 · MVP · 기록상 · 베스트7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004ea2,#191919><rowcolor=#FFF> 1993년 ||<width=20%> 1997년 ||<width=20%> 2001년 ||<width=20%> 2005년 ||<width=20%> 2009년 ||
|| 레글라 벨
파일:쿠바 국기.svg || 예브게니야 아르타마노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 양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 셰일라 카스트로
파일:브라질 국기.svg || 시모나 지올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rowbgcolor=#004ea2,#191919><rowcolor=#FFF> 2013년 || 2017년 || 2021년 || 2025년 || 2029년 ||
|| 파비아나 클라우디노
파일:브라질 국기.svg || 주팅
파일:중국 국기.svg || || ||
||<-5><bgcolor=#fff,#191919> 메이저대회 MVP | 올림픽 · 세계선수권 · 월드컵 · 월드그랑프리 · 네이션스리그 · 그랜드챔피언스컵 ||




파일:시모나 지올리.jpg
시모나 지올리
Simona Gioli
출생1977년 9월 17일 (46세)
리구리아제노바광역시 라팔로시
국적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출신지움브리아주 페루자도 페루자
포지션미들블로커
신체 조건신장 185cm, 체중 70kg
점프 높이스파이크 높이 309cm, 블로킹 높이 295cm
국가대표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1998~2012)
클럽레지오 칼라브리아 (1994~2001, 이탈리아)
레지오 에밀리아 (2001~2002, 이탈리아)
시리오 페루자 (2002~2008, 이탈리아)
디나모 모스크바 (2008–2011, 러시아)
Fakel Novy Urengoi (2011-2012, 러시아)
갈라타사라이 다이킨 (2012-2013, 터키)
IHF Volley (2013-2014, 이탈리아)
Metalleghe Montichiari (2014~2017, 이탈리아)
골라 볼리 (2017~2018, 이탈리아)
올림피아 테오도라 (2018~2019, 이탈리아)
리얼 볼리 마자노 (2019~2020)

1. 개요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2.2. 국가대표 경력
2.3. 개인 수상



1. 개요[편집]


이탈리아 페루자 출신의 여자 배구 선수. 전 국가대표.


2. 선수 경력[편집]


1992년 4부 리그의 Libertas Volleyball Rovigo에서 선수생활을 시작하였다.

1994-05시즌 2부리그의 레지오 칼라브리아 팀에 이적하였고, 그 뒤로 칼라브리아에서 약 7시즌을 보내는 동안 팀이 세리에A로 승격하였다.

1998년 처음으로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1999년, 2003년 월드컵에도 출전하였으나 2000 시드니 올림픽2004 아테네 올림픽 최종 명단에서는 떨어지는 아픔을 겪었다.

결혼과 출산 이후 2007년 유럽선수권과 월드컵에 출전하면서 3년 만에 대표팀 복귀에도 안정적인 공수 밸런스를 보여주었다. 특히 월드컵에선 인상적인 퍼포먼스로 MVP까지 수상하였고 이듬해 2008 베이징 올림픽 본선행에 성공하였다.

2008-09시즌 러시아의 디나모 모스크바로 이적하였다.

2011년 대표팀에선 임시로 아포짓 스파이커로 뛰기도 했다.

2020년 현재 여전히 현역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2.1. 클럽 경력[편집]


  • 유럽 대회
  • 이탈리아
    • 세리에A 우승 (4) : 2000-01, 2002-03, 2004-05, 2006-07
    • 세리에A 준우승 (3) : 19898-99, 1999-00, 2007-08
    • 이탈리아컵 우승 (5) : 1999-00, 2000-01, 2002-03, 2004-05, 2006-07
    • 이탈리아컵 준우승 (1) : 1998-99
    • 이탈리아컵 3위 (3) : 2003-04, 2005-06, 2015-16
    • 이탈리아 슈퍼컵 우승 (2) : 2000-01, 2007-08
    • 이탈리아 슈퍼컵 준우승 (2) : 2003-04, 2004-05
  • 러시아
    • 슈퍼리그 우승 (1) : 2008-09
    • 슈퍼리그 준우승 (2) : 2009-10, 2010-11
    • 러시아컵 우승 (1) : 2009-10
    • 러시아컵 준우승 (1) : 2008-09
  • 터키
    • 아로마리그 3위 (1) : 2012-13
    • 슈퍼컵 준우승 (1) : 2012-13
    • 터키컵 3위 (1) : 2012-13

2.2. 국가대표 경력[편집]


  • 1999 유럽선수권 3위
  • 2004 FIVB 월드그랑프리 준우승
  • 2005 유럽선수권 준우승
  • 2007 FIVB 월드그랑프리 3위
  • 2007 유럽선수권 우승
  • 2007 FIVB 월드컵 우승
  • 2009 유럽선수권 우승
  • 2009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우승
  • 2011 FIVB 월드컵 우승

2.3. 개인 수상[편집]


  • 2006-07 CEV 챌린지컵 MVP
  • 2007 FIVB 월드컵 MVP
  • 2007 FIVB 월드컵 블로킹상
  • 2007-08 CEV 챔피언스리그 MVP
  • 2008-09 CEV 챔피언스리그 공격상
  • 2009 유럽선수권 공격상
  • 2009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MVP

3. 여담[편집]


  • 최근 소식을 기다리는 팬들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0:43:22에 나무위키 시모나 지올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