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보프 소콜로바

덤프버전 : (♥ 0)


류보프 소콜로바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12D><width=25%> 2001-2002 ||<width=25%> 2002-2003 ||<width=25%> 2003-2004 ||<width=25%> 2004-2005 ||
||<rowbgcolor=#ffffff,#191919>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옐레나 고디나
테네리페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류보프 소콜로바
베르가모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 2005-2006 || 2006-2007 || 2007-2008 || 2008-2009 ||
||<rowbgcolor=#ffffff,#191919>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안젤리나 그륀
베르가모 / OS
파일:독일 국기.svg || 시모나 지올리
페루자 / MB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세레나 오르톨라니
베르가모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2009-2010 || 2010-2011 || 2011-2012 || 2012-2013 ||
||<rowbgcolor=#ffffff,#191919>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베르가모 / O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마우고자타 글린카
바키프방크 / OPP
파일:폴란드 국기.svg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바키프방크 / OPP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 2013-2014 || 2014-2015 || 2015-2016 || 2016-2017 ||
||<rowbgcolor=#ffffff,#191919> 예카테리나 가모바
디나모 카잔 / OPP
파일:러시아 국기.svg || 조던 라슨
엑자시바시 / OS
파일:미국 국기.svg ||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카살마조레 / O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주팅
바키프방크 / OS
파일:중국 국기.svg ||
|| 2017-2018 || 2018-2019 || 2019-2020 || 2020-2021 ||
||<rowbgcolor=#ffffff,#191919> 괴즈데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 O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파올라 에고누
노바라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공석[a] || 파올라 에고누
이모코 발리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2021-2022 || 2022-2023 || 2023-2024 || 2024-2025 ||
||<rowbgcolor=#ffffff,#191919> 가비 기마랑이스
바키프방크 / OS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올라 에고누
바키프방크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
||<-4><bgcolor=#fff,#191919>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대회 중단 ||
||<-4><bgcolor=#00012D> 역대 우승 구단 · MVP · 기록상 · 베스트7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03-2004 ||<width=25%> 2004-2005 ||<width=25%> 2005-2006 ||<width=25%> 2006-2007 ||
|| 네슬리한 데미르
바키프방크 / OPP
파일:터키 국기.svg || 로건 톰
치에리 / OS
파일:미국 국기.svg || 타이스마리 아궤로
노바라 / OS
파일:쿠바 국기.svg || 류보프 소콜로바
무르시아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07-2008 || 2008-2009 || 2009-2010 || 2010-2011 ||
|| 베스나 조바노비치
페자로 / MB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크리스티나 바르첼리니
노바라 / O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카르멘 툴레
부스토 아르시치오 / OP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키아라 디 울리오
우르비노 / O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11-2012 || 2012-2013 || 2013-2014 || 2014-2015 ||
|| 아네타 하블리치코바
부스토 아르시치오 / OP
파일:체코 국기.svg || 산야 포포비치
무시나 / OP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타티아나 코셸레바
크라스노다르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15-2016 || 2016-2017 || 2017-2018 || 2018-2019 ||
|| 나탈리아 말리흐
크라스노다르 / OP
파일:러시아 국기.svg || 발렌티나 디우프
부스토 아르시치오 / O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티아나 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 OP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브리트 헤르보츠
부스토 아르시치오 / OS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19-2020 || 2020-2021 || 2021-2022 || 2022-2023 ||
|| 공석[a] || 알레시아 오로
사우젤라 몬자 / 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4><bgcolor=#fff,#191919>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대회 중단 ||



파일:Sultanlar_Ligi_logo.png
터키 리그 역대 MVP
[ 펼치기 · 접기 ]


||<rowbgcolor=#253b84><tablewidth=100%> 2008-2009 ||<width=25%> 2009-2010 ||<width=25%> 2010-2011 ||<width=25%> 2011-2012 ||
|| 세다 토카티로을루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터키 국기.svg || 예카테리나 가모바
페네르바흐체 / OP
파일:러시아 국기.svg || 류보프 소콜로바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에스라 귀뮈쉬
엑자시바시 / OS
파일:터키 국기.svg ||
||<rowbgcolor=#253b84> 2012-2013 ||<width=25%> 2013-2014 ||<width=25%> 2014-2015 ||<width=25%> 2015-2016 ||
|| 괴즈데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 OP
파일:터키 국기.svg || 괴즈데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 OP
파일:터키 국기.svg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킴벌리 힐
바키프방크 / OS
파일:미국 국기.svg ||
||<rowbgcolor=#253b84> 2016-2017 || 2017-2018 || 2018-2019 || 2019-2020 ||
|| 나탈리아 페레이라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브라질 국기.svg || 주팅
바키프방크 / OS
파일:중국 국기.svg || 주팅
바키프방크 / OS
파일:중국 국기.svg || [a] ||
||<rowbgcolor=#253b84> 2020-2021 || 2021-2022 || 2022-2023 || 2023-2024 ||
|| 이사벨 하크
바키프방크 / OP
파일:스웨덴 국기.svg || || ||
||<-4><bgcolor=#ffffff>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리그 중단 ||
||<-4><bgcolor=#e60881> MVP · 기록상 · 베스트7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191919> 1993년 ||<width=20%> 1994년 ||<width=20%> 1995년 ||<width=20%> 1996년 ||<width=20%> 1997년 ||
|| 미레야 루이스
파일:쿠바 국기.svg || 페르난다 벤트리니
파일:브라질 국기.svg || 타라 크로스-배틀
파일:미국 국기.svg || 레일라 바로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예브게니야 아르타마노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
||<rowbgcolor=#fff,#191919>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레일라 바로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비르나 디아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류보프 소콜로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 다니엘 스콧-아루다
파일:미국 국기.svg || 예브게니야 아르타마노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
||<rowbgcolor=#fff,#191919>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파울라 카둘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로건 톰
파일:미국 국기.svg || 파울라 페케누
파일:브라질 국기.svg || 셰일라 카스트로
파일:브라질 국기.svg || 마농 플리에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rowbgcolor=#fff,#191919>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마리 스테인브레혀
파일:브라질 국기.svg || 셰일라 카스트로
파일:브라질 국기.svg || 폴루케 아킨라데우
파일:미국 국기.svg || 데스티니 후커
파일:미국 국기.svg || 메건 하지
파일:미국 국기.svg ||
||<rowbgcolor=#fff,#191919>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타이사 메네지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노 유코
파일:일본 국기.svg || 카스타 로우
파일:미국 국기.svg || 나탈리아 페레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 나탈리아 페레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
||<-5><bgcolor=#ddd,#212121>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고 네이션스리그로 개편되었다. ||
||<-5><bgcolor=#fff,#191919> 메이저대회 MVP | 올림픽 · 세계선수권 · 월드컵 · 월드그랑프리 · 네이션스리그 · 그랜드챔피언스컵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ee193a><rowcolor=#FFF><width=12.5%> 득점상 ||<width=12.5%> 공격상 ||<width=12.5%> 서브상 ||<width=12.5%> 블로킹상 ||<width=12.5%> 세터상 ||<width=12.5%> 수비/리베로상 ||<width=12.5%> 리시브상 ||<width=12.5%> 디그상 ||
||<-8><bgcolor=#000,#fff> 1977 ||
|| || 포마레스 || 에가미 유미 || 차오휘잉 || 마츠다 노리코 || 조혜정 || || ||
||<-8><bgcolor=#000,#fff> 1981 ||
|| || 하이먼 || 리에코 || 아카미노바 || 쑨진팡 || 히로세 미요코 || || ||
||<-8><bgcolor=#000,#fff> 1985 ||
|| || 미레야 루이스 || 미츠오 사나에 || 페레즈 || 양씨란 || || 사토 이치코 || ||
||<-8><bgcolor=#000,#fff> 1989 ||
|| || 미레야 루이스 || 장윤희 || 카브라할 || 나카다 구미 || 사토 이치코 || 모니카 루그 || ||
||<-8><bgcolor=#000,#fff> 1991 ||
|| || 미레야 루이스 || 칼데론 || 페레즈 || 마팡 || 장윤희 || || ||
||<-8><bgcolor=#000,#fff> 1995 ||
|| 바바라 옐리치 || 미레야 루이스 || 레페링크 || 카브라할 || || || || ||
||<-8><bgcolor=#000,#fff> 1999 ||
|| 바바라 옐리치 || 소콜로바 || 아구에로 || 프란시아 || 바실레프스카야 || || 소콜로바 || 히로코 ||
||<-8><bgcolor=#000,#fff> 2003 ||
|| 글란카 || 쟈오뤼뤼 || 바로스 || 메네지스 || 펑쿤 || 자비에르 || 저우쑤홍 || ||
||<-8><bgcolor=#000,#fff> 2007 ||
|| 스코브론스카 || 카릴로 || 산토스 || 시모나 지올리 || 포펑 || 카둘로 || 사노 유코 || 사노 유코 ||
||<-8><bgcolor=#000,#fff> 2011 ||
|| 데 라 크루스 || 후커 || 데 라 크루스 || 퓌르스트 || 다케시타 || 남지연 || 올리베이라 || 사노 유코 ||
||<-8><:><bgcolor=#ee193a><color=#FFF>아래 연도부터 기록상 수상을 폐지하고 베스트팀 수상으로 변경되었다. ||
||<-8><bgcolor=#000,#fff> 2015 ||
|| 김연경 || 주팅 || 장창닝 || 로야스 || 마르테 || || 코가 || 카스티요 ||
||<-8><bgcolor=#000,#fff> 2019 ||
|| 곤차로바 || 주팅 || 니제티치 || 코롤레바 || 미야 || || 로빈슨 || 김해란 ||
||<-8><bgcolor=#ee193a> MVP · 기록상 ||




파일:류보프 소콜로바.jpg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코치
류보프 소콜로바
Любо́вь Соколо́ва | Lyubov Sokolova
출생1977년 12월 4일 (46세)
소련 러시아SFSR 모스크바
국적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포지션윙스파이커 (레프트)
신체 조건신장 192cm, 체중 72kg
점프 높이스파이크 314cm, 블로킹 302cm
국가대표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1996~2016)
소속팀CSKA 모스크바 (러시아, 1992~1995)
로씨 모스크바 (러시아, 1995~1996)
믈라도스트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1997~1998)
히타치 리바레 (일본, 1998~1999)
우랄로츠카-NTMK (러시아, 1999~2000)
엑자시바시 (터키, 2000~2001)
포파페드레티 베르가모 (2002~2005)
몬테 스키아보 반카 마르케 예시 (이탈리아, 2005~2006)
그루포 2002 무르시아 (스페인, 2006~2007)
자레치에 오딘초보 (러시아, 2007~2008)
몬테스키아보 반카 마르케 예시 (이탈리아, 2009~2010)
페네르바흐체 (터키, 2010~2012)
엑자시바시 (터키, 2012~2013)
디나모 크라스노다르 (러시아, 2013~2016, 2017~2018)
직책디나모 크라스노다르 (2018~2019 / 팀매니저)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2021 / 코치)

1. 개요
2. 상세
3. 선수 경력
3.1. 국가대표 성적
3.2. 클럽 성적
3.3. 개인 수상



1. 개요[편집]


러시아배구선수이자 前 국가대표 선수. 공격과 수비 모두 완벽한 올라운드 플레이어로 유명하고 배구의 여신이라는 별명이 있기도. 나중에 터키로 귀화하였다.


2. 상세[편집]


김연경페네르바흐체에서 2011-12 시즌 동안 함께 뛰었다. 당시 김연경은 평소 우상이던 소콜로바와 함께 뛰게 돼서 영광이라는 말을 남겼다.

2016 리우 올림픽 유럽 예선에서 대표팀에 참가하였으나 본선에 가기 전에 대표팀 은퇴를 발표하였다.


3. 선수 경력[편집]



3.1. 국가대표 성적[편집]


올림픽
은메달2000 시드니
은메달2004 아테네
세계선수권
은메달1998 일본
금메달2006 일본
금메달2010 일본
월드그랑프리
동메달1996 상하이
은메달1998 홍콩
금메달1999 위시
은메달2000 케손시티
동메달2001 마카오
은메달2006 레조디칼라브리아
유럽선수권
금메달1999 이탈리아
금메달2001 불가리아
동메달2007 벨기에/룩셈부르크


3.2. 클럽 성적[편집]


  • CEV 챔피언스 리그 우승 (2회): 2004-05, 2011-12
  • CEV 챔피언스 리그 3위 (1회): 2010-11
  • CEV컵 우승 (3회): 2006-07, 2014-15, 2015-16
  • CEV 챌린지컵 우승 (1회): 2003-04
  • FIVB 세계 클럽 챔피언십 우승 (1회): 2010
  • FIVB 세계 클럽 챔피언십 준우승 (1회): 2015
  • 터키 리그 우승 (3회): 2000-01, 2010-11, 2012-13
  • 터키 컵 우승 (2회): 2001, 2013
  • 터키 슈퍼 컵 우승 (2회): 2010, 2012
  • 이탈리아 리그 우승 (1회): 2003-04
  • 이탈리아 슈퍼 컵 우승 (1회): 2004
  • 스페인 리그 우승 (1회): 2006-07
  • 스페인 슈퍼 컵 우승 (1회): 2006
  • 스페인 여왕 컵 우승 (1회): 2007
  • 러시아 리그 우승 (1회): 2007-08
  • 러시아 컵 우승 (1회): 2008


3.3. 개인 수상[편집]


  • 1999 FIVB 월드그랑프리 서브상
  • 1999 FIVB 월드컵 공격상, 리시브상
  • 2001 CEV 유럽 선수권 대회 서브상, 리시브상
  • 2003-4 CEV컵 MVP, 서브상
  • 2004-05 CEV 챔피언스 리그 MVP, 공격상
  • 2007 CEV 유럽 선수권 대회 리시브상
  • 2006-07 CEV컵 MVP, 서브상
  • 2010-11 터키 아로마 리그 MVP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5:09:23에 나무위키 류보프 소콜로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