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세가 새턴의 CM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세가타 산시로 문서
세가타 산시로번 문단을
세가타 산시로# 부분을
, 일본의 오와라이 콤비에 대한 내용은 산시로(오와라이) 문서
산시로(오와라이)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세리에 A 로고.svg
2023-24 시즌 구단별 홈구장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2 스타디오}}}[br]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br][[SSC 나폴리|[[파일:SSC 나폴리 로고.svg|height=40]]]][br]
[[SSC 나폴리|{{{#ffffff '''나폴리'''}}}]]
||<width=25%> [[스타디오 올림피코|{{{-2 스타디오}}}[br]올림피코]][br][[SS 라치오|[[파일:SS 라치오 로고.svg|height=40]]]][br]
[[SS 라치오|{{{#ffffff '''라치오'''}}}]]
||<width=25%>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2 스타디오}}}[br]비아 델 마레]][br][[US 레체|[[파일:US 레체 로고.svg|height=40]]]][br]
[[US 레체|{{{#ffffff '''레체'''}}}]]
||<width=25%> [[스타디오 올림피코|{{{-2 스타디오}}}[br]올림피코]][br][[AS 로마|[[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40]] ]][br]
[[AS 로마|{{{#ffffff '''로마'''}}}]]
|| ||<height=80> [[스타디오 브리안테오|U-파워[br]{{{-2 스타디움}}}]][br][[AC 몬차|[[파일:AC 몬차 로고.svg|height=40]]]][br]
[[AC 몬차|{{{#ffffff '''몬차'''}}}]]
||<width=25%>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스타디오 산 시로]][br][[AC 밀란|[[파일:AC 밀란 로고.svg|height=40]]]][br]
[[AC 밀란|{{{#ffffff '''밀란'''}}}]]
||<width=25%>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2 스타디오}}}[br]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br][[엘라스 베로나 FC|[[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height=40|]]]][br]
[[엘라스 베로나 FC|{{{#ffffff '''베로나'''}}}]]
||<width=25%>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2 스타디오}}}[br]레나토 달라라]][br][[볼로냐 FC 1909|[[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svg|height=40]]]][br]
[[볼로냐 FC 1909|{{{#ffffff '''볼로냐'''}}}]]
|| ||<height=80> [[마페이 스타디움|마페이[br]{{{-2 스타디움}}}]][br][[US 사수올로 칼초|[[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height=40]]]][br]
[[US 사수올로 칼초|{{{#ffffff '''사수올로'''}}}]]
||<width=25%> [[스타디오 아레키|{{{-2 스타디오}}}[br]아레키]][br][[US 살레르니타나 1919|[[파일:US 살레르니타나 1919 로고.svg|height=40]]]][br]
[[US 살레르니타나 1919|{{{#ffffff '''살레르니타나'''}}}]]
||<height=80> [[게비스 스타디움|게비스[br]{{{-2 스타디움}}}]][br][[아탈란타 BC|[[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height=40]]]][br]
[[아탈란타 BC|{{{#ffffff '''아탈란타'''}}}]]
||<width=25%> [[스타디오 카를로 카스텔라니|{{{-2 스타디오}}}[br]카를로 카스텔라니]][br][[엠폴리 FC|[[파일:엠폴리 FC 로고.svg|height=40]]]][br]
[[엠폴리 FC|{{{#ffffff '''엠폴리'''}}}]]
|| ||<width=25%> [[스타디오 프리울리|{{{-2 스타디오}}}[br]프리울리]][br][[우디네세 칼초|[[파일:우디네세 칼초 엠블럼.svg|height=40]]]][br]
[[우디네세 칼초|{{{#ffffff '''우디네세'''}}}]]
||<width=25%> [[알리안츠 스타디움|알리안츠[br]{{{-2 스타디움}}}]][br][[유벤투스 FC|[[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height=40]]]][br]
[[유벤투스 FC|{{{#ffffff '''유벤투스'''}}}]]
||<height=80>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2 스타디오}}}[br]주세페 메아차]][br][[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height=40]]]][br]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ffffff '''인테르'''}}}]]
||<width=25%>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2 스타디오}}}[br]루이지 페라리스]][br][[제노아 CFC|[[파일:제노아 CFC 엠블럼 (2023).svg|height=40]]]][br]
[[제노아 CFC|{{{#ffffff '''제노아'''}}}]]
|| ||<width=25%> [[우니폴 도무스|우니폴 도무스]][br][[칼리아리 칼초|[[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height=40]]]][br]
[[칼리아리 칼초|{{{#ffffff '''칼리아리'''}}}]]
||<width=25%>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2 스타디오}}}[br]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br][[토리노 FC|[[파일:토리노 FC 엠블럼.svg|height=40]]]][br]
[[토리노 FC|{{{#ffffff '''토리노'''}}}]]
||<width=25%> [[스타디오 베니토 스티르페|{{{-2 스타디오}}}[br]베니토 스티르페]][br][[프로시노네 칼초|[[파일:프로시노네 칼초 로고.svg|height=40]]]][br]
[[프로시노네 칼초|{{{#ffffff '''프로시노네'''}}}]]
||<width=25%>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랑키|{{{-2 스타디오}}}[br]아르테미오 프랑키]][br][[ACF 피오렌티나|[[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height=40]]]][br]
[[ACF 피오렌티나|{{{#ffffff '''피오렌티나'''}}}]]
|| ||<-4><bgcolor=#007d32> [[틀:세리에 B 홈구장|[[파일:세리에 B 로고 화이트 가로형.png|height=40]] {{{#ffffff ▶}}}]] || ||<-4><bgcolor=#f7f7f7,#222> [[틀:라리가 경기장|[[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라리가]] | [[틀:프리미어 리그 홈구장|[[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리그]] | [[틀:세리에 A 홈구장|[[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세리에 A]] | [[틀:분데스리가 홈구장|[[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분데스리가]][br][[틀:리그 1 홈구장|[[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리그 1]] | [[틀:프리메이라 리가 홈구장|[[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프리메이라 리가]] | [[틀: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경기장|[[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리그]] | [[틀:쉬페르리그 홈구장|[[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쉬페르리그]] ||




파일:San_siro_stadium.jpg
파일:external/www.hotelsansirofiera.com/san-siro_0.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Scudo2009.jp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AC 밀란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Stadio Giuseppe Meazza》
위치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밀라노
시공1925년 12월
개장1926년 9월 19일 (97주년)
개보수1935년, 1955년, 1990년, 2016년
좌석 수80,018석
홈 팀AC 밀란 (1926년 – 현재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947년 – 현재 )
UEFA 등급
★★★★
UEFA 명칭스타디오 산 시로[1]
Stadio San Siro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편집]


이탈리아 세리에 A의 명문 클럽인 AC 밀란인테르의 홈구장이다. 원래 이름은 경기장이 지어진 곳의 지명에서 유래한 '산 시로'였으나, 1980년에 1930년대 이탈리아의 축구 영웅인 주세페 메아차의 이름을 경기장에 헌정함으로써 정식명칭이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가 되었다. 하지만 현재 밀란은 주로 구장의 지명에서 유래한 '산 시로', 인테르는 공식 명칭인 '주세페 메아차'로 따로 부르는 경향이 있다. 양팀 팬들은 그냥 주세페 메아차보다 글자 수도 적고 부르기 쉬운 산 시로로 부른다.[2][3]

1926년에 개장한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구장이다. 하지만 초기에는 작은 구장이었다가 1948년부터 1955년에 걸친 대규모 개수, 증축으로 현 구장의 원형이 되는 몸체가 완성되었다. 이때는 지붕이 없는 미식 축구장과 같은 형태였다. 1990년 월드컵을 위해 1987년부터 1990년에 걸친 대대적인 개수 및 상단부 증축을 통해 지붕과 기둥이 있는 현재의 모습으로 변했다.

이곳에서 벌어지는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 즉, 밀라노 더비는 이탈리아 축구계 최고의 흥행카드이자 세계적인 더비 경기 중 하나이다.

현재 이탈리아에 있는 4개의 UEFA 카테고리 4 축구장 중 하나이다.[4]


2. 역사[편집]


1925년 밀라노의 산 시로 지역에서 새 경기장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당시 AC 밀란의 회장인 피에로 피렐리가 경마장과 같은 지역에 축구 경기장을 건설하자는 의견을 내놓았으며, 건축가들은 국채로 지어진 이탈리아 경기장들의 특징인 육상 트랙이 없는 축구 전용 구장을 설계하였다. 1926년 9월 19일 경기장이 개장되었고, 35,000명의 관중의 입장하에 AC 밀란과 인테르의 기념 경기가 열렸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는 6-3으로 인테르가 승리했다.

이후 1935년 밀라노 시 소유가 되었다. 처음에는 AC 밀란이 단독으로 경기장을 소유하고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였으나, 1947년부터 원래 아레나 치비카(Arena Civica)를 쓰던 인테르가 이 구장으로 이사를 옴으로써 AC 밀란과 인테르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메이저 국가대항전으로는 1934년1990년, 2차례의 월드컵1980년, 한 차례의 유로 대회, 2020-21 시즌, 한 차례의 UEFA 네이션스 리그가 열렸다. 그리고 1964-65, 1969-70, 2000-01, 2015-16 이렇게 총 4번의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을 개최하여, 총 7번을 개최한 웸블리 스타디움에 이어 두 번째로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을 많이 개최한 세 경기장 중 하나이다.[5]

1996년에는 양 구단의 역사를 기념하는 박물관도 설치되었다.


3. 수용 인원[편집]


1940년 이후에는 건축가 아르만도 론카(Armando Ronca)와 페루초 칼초랄리(Feruccio Calzolari)의 주도 아래 리모델링을 거쳐 약 15만명까지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고 1955년에도 10만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던 초거대 경기장이었으나, 1985년 헤이젤 참사 이후 수용 인원을 90,000명 밑으로 줄였다. 현재는 특별 좌석을 포함, 최대 80,018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데 그래도 이탈리아의 축구장 중 가장 많은 관중을 동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이탈리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축구장답게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축구장이자 세계 최고의 축구장 중 하나로 꼽힌다.

이곳에서 개최된 메이저 국가대항전으로는 1934년 월드컵1990년 월드컵, 1980년 유로가 있다. 최근의 리모델링은 1990년 당시 경기장 개조를 위해 진행한 것으로 약 6,000만 달러가 소모되었고, UEFA 카테고리 4 경기장으로 선정되었다. 이 개조를 통해 경기장에 입석이 사라지고 모든 자리에 좌석이 설치되었으며, 삼면에 한 층씩 증축되었다.

연도1926193919401952195519881990200220032008현재
수용인원26,00055,000150,000100,00085,00072,00088,50085,70082,95581,27780,018

다만, 유럽 대항전에서 관중석을 채울 때는 안전 문제나 시인성 문제 등을 고려해서 모든 좌석을 다 팔지 않고, 75,817석만 판매하고 있다.


4. 구장 이전 및 철거[편집]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에서 신구장으로의 이전은 현재 인테르와 밀란의 지상 과제이기도 하다.

이는 세리에 소속 구단들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와도 연관이 있는데, 거의 대부분이 1990년 월드컵 당시 신축 또는 개축한 구장에서 경기를 치르는 세리에 구단들은 구장 소유권이 지자체에 있기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에 일정 수준의 수익을 떼어줘야 한다. 이를 차치하고서라도 지자체의 동의가 있어야 홈 구장에 개축이든 증축이든 신축이든 구장이전이든 뭘 할 수가 있으므로, 의사결정 과정이 굉장히 빡빡해진다. 당장 현대 프로 스포츠 구단은 아스날 FC, 로스앤젤레스 램스 등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저평가된 적당한 부지에 새로운 구장을 신축하는 지역개발 후 그 부지 인근을 비싼 값에 되파는 일종의 부동산 PF가 된 지 오래다. 여기에 태클이 걸리니 나름 세리에 빅클럽이라는 인테르와 밀란이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에 제약이 있는 것.

현재 Exor 그룹 하에서 빵빵한 자금력으로 자체적으로 구장을 지어버린 유벤투스 FC를 빼고는 거의 대부분의 구단들이 신구장을 지을 자금력이 없다. 인테르와 밀란 또한 마찬가지라서, 밀란은 아예 구장 신축을 지상과제로 하는 미국 사모펀드 레드버드가 구단주로 들어와 있고 쑤닝 그룹의 인테르도 호시탐탐 이전을 노리고 있다.

원래는 인테르 쪽에서 가칭 스타디오 자친토 파케티(Stadio Giacinto Facchetti)를 건설해서 그 경기장을 쓰고, 밀란이 주세페 메아차를 재보수해서 쓰기로 되어 있었으나, 인테르의 새 경기장 건설 계획이 부지 선정과 관련하여 밀라노 시의회의 반대에 부딪쳐 표류했고, 반대로 밀란 쪽에서 새 경기장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시킴에 따라 인테르 쪽에서 주세페 메아차를 개보수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방향이 잡혔다. 그러나 AC 밀란의 새 경기장 건설 역시 부지 선정 문제가 걸리면서 좌초할 뻔 했지만 이전처럼 신축 구장을 양팀이 공유하기로 하면서 주세페 메아차 스타디움을 철거할 수도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최대의 변수는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으로 올림픽 기간 동안 주세페 메아차를 주경기장으로 쓸 예정인지라 밀라노 시장이 2022년 철거를 반대하고 있지만 양팀은 철거 계획을 이미 수립한 상황이다. 신구장이 완성되는 2022년 이후에 진행할 예정이라고. 2020년 5월, 이탈리아 문화재청은 이에 반대 의견을 내놓지 않았다.

2019년 기준으로 인테르와 밀란 양 구단이 함께 가칭 스타디오 라 카테드랄레를 계획하고 있다.

2023년 7월, 인테르 측에서도 신구장을 위한 부지 선정을 알아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테르 관련 1티어 기자인 비아신 측에서 밀라노 남부의 로짜노 지역에 2024년 9월까지 경기장 건설 부지 검증을 위한 계약을 체결함을 알렸다. 다만 이러한 기사들이 그렇듯이, 이제 겨우 부지 선정 후보지를 알아본 단계일 뿐이고, 이탈리아 특유의 느릿한 관료제와 매번 반복되는 밀라노 시의회의 반대를 뚫기까지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현재 두 구단이 진짜로 신구장을 지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AC 밀란이 드디어 신구장 부지확보와 산 도나토 시의회를 통해 신구장을 가질 준비가 거의 완료되자 밀라노 시는 두 구단을 붙잡으려고 3억 유로를 들여 산 시로를 보수하겠다고 했지만 AC 밀란, 인터 밀란 양측 모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면서 이제는 두 구단이 정말 떠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밀라노 시장도 두 구단을 설득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는 있지만 끝까지 입장료 수익을 포기 안하고 끝까지 경기장 소유권을 가져가려는 얌체같은 조약만을 들이밀면서 보수만 하겠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인테르와 밀란은 단칼에 거절했다.


5. 주요 경기[편집]



5.1. 클럽 경기[편집]



5.1.1. 유러피언 컵 / UEFA 챔피언스 리그[편집]


경기일자(현지 시각)홈 팀결과원정 팀대회관중 수
1965년 5월 27일파일:Inter Milan 1960-1965 logo.png 인테르1:0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벤피카유러피언컵 결승89,000명
1970년 5월 6일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1973~1978).svg 페예노르트2:1파일:셀틱 FC 유니폼 엠블럼(1888~1977).svg 셀틱유러피언컵 결승53,187명
2001년 5월 23일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96~2002).svg 바이에른 뮌헨1:1
(5:4)
파일:발렌시아 CF 로고(1992~2001).svg 발렌시아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79,000명
2016년 5월 28일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1:1
(5:3)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70~2016).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71,942명
2027년 ?월 ??일미정?:?미정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미정


5.2. 국가대표 경기[편집]



5.2.1. FIFA 월드컵[편집]



5.2.1.1.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편집]

경기일자팀 1결과팀 2라운드관중
1934년 5월 27일
16:30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3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1라운드33,000
1934년 5월 31일
16:30
독일
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
2:1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8강3,000
1934년 6월 3일
16:3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0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준결승35,000


5.2.1.2.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편집]

경기일자팀 1결과팀 2라운드관중
1990년 6월 8일
18:00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0:1카메룬
파일:카메룬 국기.svg
조별 예선 B조73,180
1990년 6월 10일
21:00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4:1유고슬라비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조별 예선 D조74,765
1990년 6월 15일
21:00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5:1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조별 예선 D조71,169
1990년 6월 19일
17:00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1:1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조별 예선 D조72,510
1990년 6월 24일
21:00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2:1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6강74,559
1990년 7월 1일
17:00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0:1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8강73,347


5.2.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편집]



5.2.2.1. UEFA 유로 1980[편집]

경기일자팀 1결과팀 2라운드관중
1980년 6월 12일
20:30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0:0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별 예선 2조46,337
1980년 6월 15일
17:45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2:1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조별 예선 2조11,430
1980년 6월 17일
17:45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1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조별 예선 1조11,889


5.2.3. UEFA 네이션스 리그[편집]



5.2.3.1. 2020-21 시즌[편집]

경기일자팀 1결과팀 2라운드관중
2021년 10월 7일
18:45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2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준결승33,524
2021년 10월 11일
18:45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1:2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결승31,511


5.3. 2026년 동계 올림픽[편집]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이어 2번째로 축구 전용 구장에서 성화가 켜지게 된다.


6. 교통[편집]


밀라노 지하철 5호선을 타고 San Siro Stadio에서 내리면 편하다.[6] 5호선은 2010년대에 개통되어서 상대적으로 깔끔한 편이다.
동명의 정류장에 16번 트램이 지난다. 종점이 San Siro Stadio M5라서 쭉 타고 가면 된다.


7. 투어[편집]


경기가 없는 날에는 가이드를 동반한 투어가 가능하다. Gate 8에서 티케팅이 가능하며 온라인 예약도 가능하다. 가격은 온/오프라인 동일하게 성인 30유로. 매 30분마다 이탈리아어-영어의 2개 국어를 하는 가이드와 함께 투어를 출발하며, 구장 박물관 - 라커룸 - 경기장 순으로 투어가 진행된다. 박물관은 규모는 작지만 인터 밀란과 AC 밀란의 주요 선수들의 모습을 담았으며 구장의 역사까지도 전시하고 있다. 라커룸에서 실제 밀란과 인테르 선수들이 앉았던 자리도 앉아볼 수 있며, 경기장에서도 잔디 코앞까지 가볼 수 있다. 투어 종료 이후 박물관은 18시까지는 추가로 관람 가능하다.

주의점은 경기 당일에는 투어를 진행하지 않으며, 그 외 이유로 투어가 없는 날이 있다. 다만 홈페이지에 미리 공지되어 있으니 공식 홈페이지를 반드시 참고하고 가야 한다. 또한 해당 주차에 홈경기인 팀의 컬러와 슬로건으로 경기장 전체를 래핑하기 때문에[7], 밀라니스타 및 인테리스타들은 자기 팀의 홈경기 스케줄을 확인하고 가야 제대로 된 홈경기 투어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8. 기타[편집]


경기장 구조는 콘크리트 타워 11개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모서리에 설치된 타워들이 밖으로 툭 튀어나온 붉은색의 인상적인 대들보와 지붕을 지탱하고 있다. 경기장의 대부분을 뒤덮는 거대한 지붕이 경기장 내 잔디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고 양 밀란 구단이 공유하는 특성 상 손상이 일반 경기장보다 심해서 잔디 교체로 인한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기 때문에[8] 인조잔디를 사용한적도 있었지만 현재는 하이브리드 잔디로 교체했다. 해당 지붕으로 인해 홍염 등의 연기도 제대로 빠지지 않아서 산시로 경기를 관람하면 특유의 안개 낀 듯한 으스스함을 느낄 수 있다.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는 축구 경기 이외에도 라우라 파우시니, U2, 밥 말리, 마이클 잭슨, 디페쉬 모드, 브루스 스프링스틴, 데이비드 보위, 로비 윌리엄스, 롤링 스톤즈, 원디렉션, 콜드플레이 등의 많은 팝 가수의 콘서트 장소로 이용되었다. 1960년에는 두일리오 로이와 카를로스 오르티스 간의 라이트 웰터급 타이틀 복싱 경기가 열렸다. 2009년 7월에는 마돈나의 스티키 & 스위트 투어의 공연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60,000명의 팬들이 몰려 표가 매진되었다. 2009년 11월에는 이탈리아 럭비 대표팀과 뉴질랜드 럭비 대표팀 간의 경기가 열렸으며, 80,000명의 관중석이 매진되었다. 2010년 6월 8일에는 뮤즈의 공연이 열렸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예선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스웨덴에게 1-0으로 패한 상황에서 2차전에서 0-0으로 비기는 바람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는 비극의 장소가 되고 말았다.

축구왕 슛돌이에서 슛돌이가 제노바 대표팀으로 참가한 이탈리아 전국 소년축구대회에서 외형적으로 굉장히 똑같은 경기장이 나온다. 무엇보다도 해당 대회가 열린 도시가 바로 밀라노.

2019-20 시즌 아탈란타 BCUEFA 챔피언스 리그 홈 경기가 열리게 된다. 본래의 홈구장 아탈란타 스타디움이 UEFA 규정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이로인해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와 홈/어웨이를 고려하여 경기가 편성되었다.

당연히 AC 밀란과 인터 밀란의 메가스토어가 경기장 내에 있다. Gate 14 근처에 있으며 큰 공간을 갈라서 좌우로 물건이 배치되어 있고, 추가금 지불시 즉석에서 원하는 이름과 배번의 마킹도 가능하다.


9. 둘러보기[편집]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역대 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 파일:눈결정 아이콘.svg
(Citius, Altius, Fortius)
24회25회26회
2022 올림픽
베이징국가체육장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올림픽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베로나 아레나
2030 올림픽
(개최지 미정)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 역대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개최 경기장
1963-641964-651965-66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스타드 루아 보두앵
1968-691969-701970-71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웸블리 스타디움
1999-002000-012001-02
스타드 드 프랑스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햄던 파크
2014-152015-162016-17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밀레니엄 스타디움
2025-262026-272027-28
푸슈카시 아레나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미정


[1] 다른 경기장들처럼 스폰서 명칭에 의해 경기장 명칭이 변경된 것은 아니고 UEFA 챔피언스 리그의 전신인 유러피언컵 초대 출전 팀인 AC 밀란이 당시 사용했던 '스타디오 산 시로'를 UEFA 지정 명칭으로 사용한다.[2] 주세페 메아차는 양 밀란에서 모두 뛰긴 했지만 인테르의 색이 훨씬 짙은 레전드이기 때문이다. 밀란에서 잠시 뛴 적이 있지만 나중에는 결국 인테르에서 감독까지 역임했다.[3] 명칭에 관해 세리에 A 에서는 공식적으로 매치업이나 박스 스코어를 올릴 때 등 AC 밀란의 홈 경기일 때에도 공식 명칭인 주세페 메아차를 사용하고 있지만, UEFA 챔피언스 리그UEFA 유로파 리그 등 유럽 대항전에서는 인테르의 홈 경기일 때도 스타디오 산 시로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4] 카테고리 4는 옛날 5성 경기장을 대체하는 최고 등급이다. 이탈리아에 있는 나머지 3개의 카테고리 4 축구장으로는 로마스타디오 올림피코, 토리노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 알리안츠 스타디움이 있다.[5] 하나는 로마의 스타디오 올림피코, 다른 한 경기장은 레알 마드리드의 홈구장인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이다.[6] San Siro Ippodromo 역과는 별개의 역이다. Ippodromo 역에서 내린다고 못 가는 거리는 아니지만 바로 그 다음 역이자 5호선의 종점 역이다.[7] 그렇지만 홈경기 바로 다음날 또는 다다음날까지는 래핑을 유지하고 있다[8] 한 달에 두 번 이상 잔디를 바꿔야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09:56:07에 나무위키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