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슈발 그랑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문서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번 문단을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800px-Cheval_Grand_Japan_Cup_2017(IMG1).jpg
이름シュヴァルグラン
Cheval Grand
高尚駿逸
출생2012년 3월 14일 (12세)
성별수컷
털색밤색(栗毛, 쿠리게)
아비하츠 크라이
어미할와 스위트
외조부마키아벨리안(Machiavellian)
생산자노던 팜
마주사사키 가즈히로
조교사토모미치 야스오 (릿토)
성적33전 7승 (7-7-7-12)
30전 7승[중앙]
2전 0승[GB]
1전 0승[UAE]
총상금11억 3497만 1300엔
10억 69만 7000엔[중앙]
+120만 미국 달러[UAE]
주요
우승
G1재팬 컵(2017)
G2한신대상전(2016)
아르헨티나 공화국배(2016)
레이팅WBRRL123 (2017) / L119 (2018 / 2019)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3.1. 2014~2015년 (2세~3세)
3.2. 2016년 (4세)
3.3. 2017년 (5세)
3.4. 2018년 (6세)
3.5. 2019년 (7세)
4. 종마 생활
5. 기타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마명은 프랑스어로 '위대한 말'이라는 뜻이다. 마주는 '대마신'으로 유명했던 전직 야구선수 사사키 가즈히로.

커리어 동안 2400m를 기준으로 더 짧은 거리에서는 단 1승밖에 거두지 못한 중장거리형 경주마였는데, 적성거리를 파악한 뒤에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짧은 거리의 경주를 출주시킨 진영과, 하필이면 같은 시대에 중장거리 최강자로 군림한 키타산 블랙 때문에 커리어가 단단히 꼬인 말이다.

하지만 키타산 블랙과의 승부를 피하지 않고 계속 도전하여 결국 승리를 따내는 근성을 가진 말이기도 하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하츠 크라이
ハーツクライ
2001
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로
Halo
위싱 웰
Wishing Well
아이리시 댄스
アイリッシュダンス
1990
토니 빈
Tony Bin
뷰퍼 댄스
Buper Dance
할와 스위트
ハルーワスウィート
2001
마키아벨리안
Machiavellian
1987
파일:미국 국기.svg
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쿠 드폴리
Coup de Folie
할와 송
Halwa Song
1996
파일:미국 국기.svg
누레예프
Nureyev
몬 오브 송
Morn of Song
* 헤일로 3×4×5 21.875%
* 노던 댄서 5×4 9.375%
* 나탈마 M5×M5 6.25%
주요 반형제[1]비르시나(父 딥 임팩트)(2009)
비블로스(父 딥 임팩트)(2013)

꼬리털이 없는 것으로 유명한 슈발 그랑의 어미 할와 스위트는 현역 당시 성적이 좋지 못한 말이었는데, 모마로는 G1마를 셋이나[2] 배출하는 큰 업적을 이루었다. 이는 댄싱 키[3], 세자리오와 함께 JRA 최다 G1산구 기록이다. 암말이 둘인 할와 스위트에 비해 종마만 셋을 낳은 세자리오가 조금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기는 하지만 충분히 위대한 업적.

일설에 의하면 꼬리털이 없어 뛰는 폼이 독특했던 할와 스위트를 본 사사키가 첫눈에 반했고,[4] 할와 스위트의 자식은 모두 자기가 사겠다며 노던 팜에 부탁을 했다고 한다. 실제로 할와 스위트 산구는 2022년 데뷔한 키타산 블랙 산구 그란 비노스까지 전부 사사키 소유.


3. 커리어[편집]


소개글

3.1. 2014~2015년 (2세~3세)[편집]


적성거리가 아주 긴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신마 때는 2000m 이상 경주가 아주 드물기 때문에, 슈발 그랑이 힘을 쓸 수 있는 경주가 드물었다. 2세 신마전에서는 2착으로 패배했고, 이후 미승리전에서 1.5마신 차로 앨버트 독을 꺾고 승리를 거둔다. 그러나 이후 출전한 조건전, 중상에서 한번도 승리하지 못했다. 결국 2세 시즌은 조건전을 탈출하지 못한 채 4전 1승으로 끝난다.

3세 시즌에 들어서자마자 등록한 첫 OP전 와카고마 스테이크스는 출주를 취소한다. 출주 전날 오른쪽 어깨가 파행되는 사고가 일어났기 때문. 더비 출주를 목표로 마이니치배교토신문배에 출주했으나 각각 5착, 8착에 그치며 실패로 끝났고, 이후 마체 완성을 위해 킷카상에 등록하지 않고 클래식 출주를 포기, 3개월 휴양 후 조건전으로 복귀한다. 복귀 후 2000m로 나간 조건전은 2착에 그쳤지만 이후 거리를 더 늘려 2400m로 바꾸었는데, 2세 때의 평가를 반영하듯 3연승으로 조건전을 통과한다. 이렇게 1600만[5] 조건전을 통과한 채로 3세 시즌을 마친다.


3.2. 2016년 (4세)[편집]


닛케이 신춘배(2400m) 2착에 이은 한신대상전(3000m) 1착으로 중상마가 된 슈발 그랑은, 한신대상전 우승으로 우선출주권을 얻은 천황상(봄)에 도전하게 된다. 천황상(봄)에서는 잘 달렸지만 키타산 블랙카렌 미로틱에 이은 3착에 그쳤으며, 이 날 이후 슈발 그랑과 키타산 블랙의 기나긴 악연이 시작되게 된다.

다음으로 출주한 타카라즈카 기념(2200m)에서는 몸조차 풀리지 않은 모습을 보이며 9착으로 침몰, 2400m 밑으로는 달리게 하면 안된다는 사실만 재확인했으며, 넉 달 뒤 아르헨티나 공화국배(2500m)를 우승하며 중상 2승째를 기록한다. 그리고 재팬 컵에 도전했으나 다시 키타산 블랙에게 완패하며 3착. 뒤이어 출주한 아리마 기념에서는 사토노 다이아몬드에게 패해 6착에 그치며 4세 시즌을 마감하였다.


3.3. 2017년 (5세)[편집]




휴식을 취한 슈발 그랑은 한신대상전 2연패를 노렸으나, 지난 아리마 기념에서 완패당했던 사토노 다이아몬드에게 최종 직선에서 추월당하며 2착에 그쳤고, 역대급 하이페이스로 3200m 레코드 타임까지 나온 천황상(봄)에서는 다시 키타산 블랙에 이은 2착으로 들어왔다.

이후 진영이 멘탈이 나갔는지 이미 거리 적성이 안 된다고 확인이 끝난 타카라즈카 기념에 다시 출주. 무려 도주를 때린다는 기행을 벌여보지만, 그냥 망해버리고 8착. 이때 하이페이스의 천황상에서 무리한 반동이 터지며 다리 파행까지 일어나 가을까지 휴식을 취하게 되었다.

2017년 재팬 컵 영상

복귀전인 교토대상전에서는 분위기 쇄신을 위해 주전 기수였던 후쿠나가 유이치를 내리고 미르코 데무로를 태웠으나, 7세마 스마트 레이어에게 완패. 데무로는 1전 만에 강판당했고, 이후 재팬 컵에는 단기면허로 들어와 있던 휴 보먼[6]이 안장에 앉게 되었다. 이때 키타산 블랙의 연말 은퇴가 이미 결정났던 상황이라, 슈발 그랑 진영은 2년동안 지긋지긋하게 이어진 악연을 끊기 위해 언론과의 인터뷰마다 타도 키타산 블랙을 내세우며 전의를 불태웠고, 마침내 재팬 컵에서 키타산 블랙을 꺾고 승리를 거두며 G1마가 된다.[7]

마침내 키타산 블랙에게 승리한 슈발 그랑 진영은 연승을 위해 당당히 아리마 기념에 도전했으나, 은퇴전을 맞아 만전의 태세로 임한 키타산 블랙을 이길 수는 없었고 3착으로 패배. 어쨌든 큰 경기에서 한번 이기긴 했지만 결국 또 패하면서 찜찜한 결과를 받아들여야 했다.


3.4. 2018년 (6세)[편집]


6살이 된 슈발 그랑은 노쇠화가 뚜렷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덤으로 진영이 그새 거리적성을 까먹었는지 2000m인 오사카배에 출주시켰다 13착으로 대패. 이후 천황상(봄)에서는 레인보우 라인이 굴건이 파열되는 와중[8]에도 골 지점 약 100m 앞에서 선두를 달리던 슈발 그랑을 따라잡아 목 차이로 2착. 교토대상전에서는 또다시 사토노 다이아몬드에게 선두를 내주며 4착. 재팬 컵에서는 3관 암말 아몬드 아이의 3세 재팬 컵 우승을 지켜보며 4착. 아리마 기념에서는 블래스트 원피스에게 밀리며 3착에 그쳤다.

이후 슈발 그랑의 진영은 키타산 블랙이나 사토노 다이아몬드 같은 숙적들도 은퇴했겠다, 거리 적성이 아닌 오사카배를 제외하면 G1에서 꾸준히 게시판에는 들어가는 선전을 펼쳤던지라 현역 생활을 1년 더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3.5. 2019년 (7세)[편집]


7세 시즌은 두바이 시마 클래식으로 시작했는데, 여기에서 뜻밖의 2착을 거두자 이것이 회광반조임을 몰랐던 진영은 해외 적성일지도 모른다는 엉뚱한 판단으로 슈발 그랑을 유럽으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KGVI&QES에서는 이네이블에게 완패하며 6착, 인터네셔널 스테이크스에서는 재팬[9]에게 패해 8착을 하며 은퇴 시기를 놓친 대가를 톡톡히 치르게 되었다.

이후 연말 은퇴를 발표하고 해외 원정에서 복귀한 재팬 컵에서는 작년 초 오사카배에서 패했던 스와브 리처드에게 또 패하며 9착. 은퇴전인 아리마 기념에서는 6착을 기록했는데, 이때 아몬드 아이가 마장 적성 문제와 르메르의 판단 미스로 인해 9착으로 침몰하자 진영은 인터뷰로 아몬드 아이 이겼도르 정신승리를 시전하는 등 마지막 순간까지 팬들의 어이를 가출시키기도 했다.


4. 종마 생활[편집]


2019년 은퇴 후 2020년부터 샤다이의 2군 종마장인 브리더스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종마일을 시작했고, 1년차 산구는 총 89두를 기록하였다. 수태조건 80만엔의 저렴한 교배비용 덕분인지 그럭저럭 영세 목장의 선택을 받은 편. 2021년에 태어난 1세대 산구가 2023년 데뷔할 예정이다.

2023년 8월 27일 2021년산 산구 중 G1레이싱 소속의 아트 폼이 미승리전에서 첫 승을 거두었다. 다만 아버지가 같고 슈발 그랑과 같이 첫 자마가 데뷔하는 스와브 리처드가 2세 리딩 사이어를 딸 기세를 보일 정도로 잘 나가는 반면, 슈발 그랑은 첫 세대 산구의 기세가 매우 좋지 않다.

5. 기타[편집]


  • G1 1승마지만, 하츠 크라이의 자마 중에는 가장 많은 획득 상금을 기록한 말이다, 진영의 어이없는 판단과 최대의 라이벌 키타산 블랙(…)이 아니었으면 G1은 조금 더 딸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 만큼 정말 아쉬운 부분.

6.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
(odds)[10]
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14년 (2세)
9.21한신2세 신마잔디 2000m6.332착후쿠나가 유이치드래곤 버스
10.12교토2세 미승리잔디 2000m1.711착(앨버트 독)
11.29교토교토 2세 스테이크스GIII잔디 2000m15.153착우치다 히로유키벨 랩
12.27한신에리카상500만잔디 2000m2.913착베루프
2015년 (3세)
1.24교토와카고마(若駒) 스테이크스OP잔디 2000m출주 취소우치다 히로유키애덤스 브리지
3.28한신마이니치배GIII잔디 1800m16.485착뮈제 에일리언
5.9교토교토신문배GII잔디 2200m12.378착사토노 라젠
8.30삿포로3세 이상 500만 이하잔디 2000m3.112착후쿠나가 유이치앨버트
10.3한신3세 이상 500만 이하잔디 2400m1.611착(미키 파우치)
10.31교토3세 이상 1000만 이하잔디 2400m1.711착(에이신 알롱지)
12.13한신오리온 스테이크스1600만잔디 2400m1.311착크리스토프 르메르(시호)
2016년 (4세)
1.17교토닛케이 신춘배GII잔디 2400m2.012착크리스토프 르메르레브 미스트랄
3.20한신한신대상전GII잔디 3000m3.011착후쿠나가 유이치(탄타 알레그리아)
5.1교토천황상(봄)GI잔디 3200m6.433착키타산 블랙
6.26한신타카라즈카 기념GI잔디 2200m15.859착마리알라이트
11.6도쿄아르헨티나 공화국배GII잔디 2500m3.921착(앨버트)
11.27도쿄재팬 컵GI잔디 2400m13.963착키타산 블랙
12.25나카야마아리마 기념GI잔디 2500m16.256착사토노 다이아몬드
2017년 (5세)
3.19한신한신대상전GII잔디 3000m4.922착후쿠나가 유이치사토노 다이아몬드
4.30교토천황상(봄)GI잔디 3200m12.042착키타산 블랙
6.25한신타카라즈카 기념GI잔디 2200m12.768착사토노 크라운
10.9교토교토대상전GII잔디 2400m2.213착미르코 데무로스마트 레이어
11.26도쿄재팬 컵GI잔디 2400m13.351착휴 보우먼(레이 데 오로)
12.24나카야마아리마 기념GI잔디 2500m6.733착키타산 블랙
2018년 (6세)
4.1한신오사카배GI잔디 2000m9.2413착미우라 코세이스와브 리처드
4.29교토천황상(봄)GI잔디 3200m3.012착휴 보우먼레인보우 라인
10.8교토교토대상전GII잔디 2400m2.214착후쿠나가 유이치사토노 다이아몬드
11.25도쿄재팬 컵GI잔디 2400m12.954착크리스티안 데무로아몬드 아이
12.23나카야마아리마 기념GI잔디 2500m22.793착휴 보우먼블래스트 원피스
2019년 (7세)
3.30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메이단두바이 시마 클래식G1잔디 2410m미발매2착휴 보우먼올드 페르시안[11]
7.27파일:영국 국기.svg 애스컷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G1잔디 11f 211y [12](33/1)76착오이신 머피이네이블
8.21파일:영국 국기.svg 요크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G1잔디 10f 56y[13](28/1)88착재팬[14]
11.24도쿄재팬 컵GI잔디 2400m20.089착크리스토프 수미용스와브 리처드
12.23나카야마아리마 기념GI잔디 2500m135.4146착후쿠나가 유이치리스 그라슈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재팬 컵
(G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81
파일:미국 국기.svg 메어지 도츠
1982
파일:미국 국기.svg 하프 아이스트
198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스타네라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카츠라기 에이스
1985
심볼리 루돌프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주피터 아일랜드
1987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 글로리외
1988
파일:미국 국기.svg 페이 더 버틀러
198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홀릭스
1990
파일:호주 국기.svg 베터 루슨 업
1991
파일:미국 국기.svg 골든 페전트
국제 GI 승격 후
1992
토카이 테이오
1993
레거시 월드
1994
마블러스 크라운
1995
파일:독일 국기.svg 란도
1996
파일:영국 국기.svg 싱스필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피우수트스키
1998
엘 콘도르 파사
1999
스페셜 위크
2000
티엠 오페라 오
2001
정글 포켓
200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팔브라브
2003
탭 댄스 시티
2004
젠노 롭 로이
2005
파일:영국 국기.svg 알카세트
2006
딥 임팩트
2007
어드마이어 문
2008
스크린 히어로
2009
보드카
2010
로즈 킹덤
2011
부에나 비스타
2012 · 2013
젠틸돈나
2014
에피파네이아
2015
쇼난 판도라
2016
키타산 블랙
2017
슈발 그랑
2018
아몬드 아이
2019
스와브 리처드
2020
아몬드 아이
2021
콘트레일
2022
벨라 아줄
2023
이퀴녹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한신대상전
(G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53
코란
1954
히야키오간
1955
세카이 오
1956
다이나나 호슈
1957
탑 런
1958
카츠라 슈호
1959
토키츠 히로
1960
야마닌 모어
1961
헬리오스
1962
모토이치
1963
히카루 폴라
1964
코타로
1965
치토세 오
1966
류 파로스
1967
피니
1968
무오
1969
다테 하쿠타카
1970
스피디 원더
1971
스윈 호슈
1972
하마노 퍼레이드
1973
딕터 보이
1974
쿠리 온워드
1975
롱 호크
1976
호쿠토 보이
1977
타니노 체스터
1978
캡틴 나무라
1979
파인 드래곤
1980
그레이트 타이탄
1981
아레나 오
1982
한키 이나리
1983
신 브라운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신 브라운
1985
니시노 라이덴
1986
메지로 보아루
1987
스다 호크
1988
타마모 크로스 · 다이나 카펜터
1989
나무라 모노노후
1990
오스미 샤다이
1991 · 1992
메지로 맥퀸
1993
메지로 파머
1994
무슈 셰클
1995 · 1996
나리타 브라이언
1997
마야노 탑건
1998
메지로 브라이트
1999
스페셜 위크
2000
티엠 오페라 오
2001
나리타 탑 로드
국제 GII 지정 후
2002
나리타 탑 로드2연패
2003
다이타쿠 버트럼
2004
링컨
2005
마이 솔 사운드
2006
딥 임팩트
2007
아이 포퍼
2008
어드마이어 주피터
2009
아사쿠사 킹스
2010
토카이 트릭
2011
나무라 크레센트
2012
귀스타브 크라이
2013 ~ 2015
골드 쉽
2016
슈발 그랑
2017
사토노 다이아몬드
2018
레인보우 라인
2019
샤케트라
2020
유 캔 스마일
2021 · 2022
딥 본드
2023
저스틴 팰리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아르헨티나 공화국배
(G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63
엠론
1964
토스트
1965
토사 이사미
1966
코레히데
1967
리코
1968
스피드 심볼리
1969
메지로 타이요
1970
마츠 세단
1971
메지로 아사마
1972
젠마츠
1973
쿠리 이와이
1974
토요 아사히
1975
키쿠노 오
1976 · 1977
아이풀
1978
카네 미노부
1979
카네 미카사
1980
블루 맥스
1981
웨스턴 제트
1982 · 1983
미나가와 만나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메지로 시튼
1985
이나노 러버 존
1986
사쿠라 서니 오
1987
카시마 윙
1988
레전드 테이오
1989
쿠리 로터리
1990
메지로 몬테레이
1991
야마닌 글로벌
1992
미나미노 아카리
1993
무슈 셰클
1994
마치카네 알레그로
1995
고 고 제트
1996
엘웨이 윈
1997
타이키 엘도라도
1998
유세이 탑 런
1999
마블러스 타이머
2000
마치카네 킨노호시
2001
토카이 오자
2002
선라이즈 제거
2003
액티브 바이오
2004
레닌그라드
2005
사쿠라 센추리
2006
토쇼 나이트
2007
어드마이어 주피터
2008
스크린 히어로
국제 GII 지정 후
2009
미야비 란벨리
2010
토센 조던
2011
트레일블레이저
2012
를르슈
2013
아스카 쿠리짱
2014
페임 게임
2015
골드 액터
2016
슈발 그랑
2017
스와브 리처드
2018
퍼폼 어 프로미스
2019
무이투 오브리가두
2020 · 2021
오소리티
2022
브레이크업
2023
제피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3:41:41에 나무위키 슈발 그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중앙] A B [GB] [UAE] A B [1] 중상마만 서술, 볼드 표시는 G1/Jpn1 우승마.[2] 비르시나, 슈발 그랑, 비블로스[3] 댄스 파트너, 댄스 인 더 다크, 댄스 인 더 무드의 어미.[4] 꼬리털이 없는 몸인데도 미승리전을 돌파해 조건전까지 이기는 모습을 보고는, '꼬리가 없는데도 조건전까지 갔다면, 꼬리가 있는 자식들은 더 잘 뛸 수 있을 것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5] 현재 3승 클래스, 준 오픈이라고도 부른다.[6] 호주에서 윙크스와 콤비로 31연승, G1 25승이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우고, 홍콩에서도 워더와 함께 G1 2승을 거둔 명기수.[7] 슈발 그랑에게는 행운, 키타산 블랙에게는 불운이었던 것이, 경기 중에 키타산 블랙의 편자가 빠져 제 실력을 낼 수 없는 상황이었다.[8] 경기가 끝나자마자 마체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한 이와타 야스나리 기수가 바로 하마하고, 위닝 런도 없이 바로 구무원에게 끌려 이동하는 심각한 상황이었다. 다행히 굴건이 완전히 끊어진 것은 아니라 안락사는 면했지만,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그대로 은퇴하게 되었다.[9] 타케 유타카의 광팬인 마츠시마 마사아키가 2021년 개선문상을 위해 쿨모어에서 지분을 구입한 말. 이 때는 아직 지분 구입 전이라 쿨모어 단독 소유의 말이었다.[10]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분수로 표기하며,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11] 영국의 경주마. 이후 2019년 노던 댄서 터프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12] 약 2406m[13] 약 2063m[14] 영국에서 생산된 아일랜드의 경주마. 2019년 파리 대상을 우승했다. 브룸과 동일하게 두 듀스의 마주 마츠시마 마사아키가 공동 명의로 소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