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숙원 김씨(연산군)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정식 후궁 첩지가 있는 사람만 기재





조선 연산군의 후궁
숙원 김씨 | 淑媛 金氏
출생미상
사망1506년 9월 22일(음력 9월 2일)
조선 한성부 군기시 앞
귀비(貴非)
부모부친 - 생불(生佛)
부군연산군
자녀없음
봉작숙원(淑媛)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조선 연산군후궁. 이름은 김귀비(金貴非)이다. 아버지는 생불(生佛)이라는 사람으로 가계에 대해 더이상 알려진 바 없다.

언제 어떻게 연산군의 후궁이 되었는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중종반정이 일어나기 전까지 연산군의 총애를 받으며 전횡을 휘둘렀던 것으로 보인다.


2. 생애[편집]


중종실록》에서는 신하들이 김씨의 종 말응삭(末應朔)이 남의 집 재산을 빼앗고, 사람을 다치게 하였으며, 의롭지 못한 행동을 많이 하였으니 치죄하라고 주청한다.[1]

또한, 시간이 많이 흐른 1544년(중종 39)에도 '연산군의 후궁 김숙원의 아비 생불(生佛)이 세력을 믿고서 전답과 노비를 빼앗았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당시 연산군의 총애를 믿고 상당한 악행을 저지른 모양이다.[2]

대신 등이 모두 아뢰기를,

"숙용(淑容) 장녹수(張綠水)·숙용(淑容) 전전비(田田非)·숙원(淑媛) 김귀비(金貴非) 등 세 사람은 모두 화근의 장본인이니, 마땅히 속히 제거하여야 합니다." 하니, 그리하라고 전교하였다. 모두 참형에 처하고, 가산을 적몰하였다.

《중종실록》 중종 1년 9월 2일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자 그의 후궁들도 마찬가지로 지은 죄에 맞는 처분을 받았다. 이때 장녹수, 전전비와 함께 처형되었으며 가산은 적몰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1:28:20에 나무위키 숙원 김씨(연산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종실록 1권, 중종 1년 9월 3일 기묘 12번째기사. # [2] 중종실록 102권, 중종 39년 4월 17일 을유 2번째기사. #